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AHP기법을 이용한 부동산 중개플랫폼 정보서비스 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전양규(Yang Kyu Chun),권대중(Dae Jung Kwon)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2022 부동산융복합연구 Vol.2 No.2
부동산 중개플랫폼에서 일반인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의 품질을 향상하기 위해저해요인과 성공적인 시스템 활성화 방안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정보서비스의 시장성, 용이성, 정보 품질, 시스템 품질, 서비스 품질, 시스템 활용도의 만족요인을 FGI(Focus Group Interview) 방식의 전문가 별로 중요도 조사를 한 후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동산 정보는 부동산 현상과 부동산 활동의 관계가 있고 현상분석을 위하여 사전에 알고있어야 하는 지식이라고 하였고 대상 부동산에 대한 부동산 활동에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기위해 사전에 알고 있어야 하는 사실 또는 지식이라고 하였다. 부동산 중개플랫폼에서 일반인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서비스를 향상하기 위해시장성, 용이성, 정보 품질, 시스템 품질, 서비스 품질, 시스템 활용도의 중요도를 판단한 결과 현장 중심의 업계는 안정성에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운영사와 중개사는 매일 모니터링하고 있는 정보에 대한 관심도와 중요도가 높으며, 사람들과의 대화가 많은 학계는 상호작용에 중요하다고 평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플랫폼 운영사의 시장 특성의 브랜드 인지도가 중요도에서 가장 낮게 나타난 것은자사 브랜드에 대한 자신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전문가 전체 분야에서 상호작용적인 커뮤니티 기능이 대체적으로 중요도가 낮게 분석된 것은 사용빈도가 적은 것으로 분석되기 때문에 향후 소비자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eneral public on the real estate brokerage platform,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obstacles and successful system activation measures. To this end, the purpose is to draw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fter investigating the importance of each FGI (Focus Group Interview) expert of satisfaction factors of marketability, ease,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service quality, and system utilization. Real estate information is said to be knowledge that is related to real estate phenomena and real estate activities and must be known in advance to reduce uncertainty in real estate activities for the target real estate.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marketability, ease, information quality, system quality, service quality, and system utilization in real estate brokerage platforms, the field-oriented industry highly evaluates the importance of stability, operators and brokers are interested in the information they monitor every day. On the other hand, it is analyzed that the platform operator's brand awareness is the lowest in importance, and the fact that interactive community functions are generally analyzed to be less important in the entire field of experts is analyzed to be less frequently used,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interaction between consumers in the future.
연령별 투자자의 재무 태도가 부동산 및 주식 투자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고미애(Mi Ae Ko),김재태(Jae Tae Kim)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2022 부동산융복합연구 Vol.2 No.4
본 연구는 국내 가계자산비중이 비금융자산인 부동산에 편중되어 있다는 금융투자협회의 발표를 바탕으로 가계자산의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인의 투자 행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계획행동이론을 바탕으로 고안되었다. 투자자의 미래재무인식, 현재재무인식, 재무관심도, 재무목표와 같은 투자자의 재무태도가 부동산 및 주식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도는 연령에 따라 다르다는 가설 하에 실제로 어떤 변수들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는 금융자산 투자에 있어 돈에 대해 개인이 가진 인식과 관심도 및 목표와 같은 요인이 투자자의 투자 결정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력은 연령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연구 방법은 먼저 선행 연구 검토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해당 자료는 SPSS 23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재무태도 중 현재재무인식, 재무관심도, 재무목표는 부동산투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무목표는 전 연령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영향력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30대에서는 재무목표가 부동산 투자에 큰 영향력을 보이는 반면, 50대에서는 재무관심도가 부동산투자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재무태도가 주식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한 연령대별 분석 실시 결과 재무목표만이 주식투자결정에 극명하게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의 경우 매우 큰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으며 이후 50대, 40대 순으로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요약해 보면 한국인들의 부동산 또는 주식 투자 의도를 갖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은 재무목표이다. 즉 결혼이나 자녀교육, 은퇴 등 미래를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는 것이 투자의 가장 큰 동기로 부동산과 같은 실물자산과 금융자산 투자에 나타난 연령별 특성을 감안한 정책마련이나 교육 등의 필요성도 시사한다고 하겠다. Based on the Korea Financial Investment Association's announcement that Korean household assets are concentrated in real estate, which is a non-financial asset, this study was designed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by Ajzen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Koreans' investment behavior in order to come up with a plan to resolve the imbalance in household assets. Under the hypothesis that investors' money attitudes, such as future financial perception, current financial perception, financial interest, and financial goals, affect real estate and stock investment intentions, and their impact varies according to ag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which variables actually have the greatest impact. This is meaningful in examining in detail how factors such as individual perceptions, interests, and goals of money affect investors' investment intention and how their influence varies with age.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 statistical package program. In summary, the biggest factor that drives Koreans' intention to invest in real estate or stocks is their financial goals. In other words, the biggest motivation for investment is to plan for the future, such as one's own marriage, children's education, and retirement. Based on this founding, the government should prepare relevant policies to support each age group and provide appropriate publicity and education to persuade the investors that they can achieve their financial goals through investment in financial assets rather than real estate.
이강용(Kang Yong Lee)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2022 부동산융복합연구 Vol.2 No.4
본 연구는 2020년부터 2021년 까지 2년간의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코로나 19를 전후한 자영업자의 부동산 자산효과를 분석하며, 아울러 순자산분위를 기준으로 고자산계층과 저자산계층 가구로 구분하여 자산효과를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분석결과, 첫째, 자산효과 측면에서 2020년과 2021년의 경제학적 변수는 부채를 제외하고는 소득, 금융자산 및 부동산자산의 영향력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부동산자산과 금융자산은 그 크기가 두 해에 걸쳐서 상반되게 나타난다. 즉 2020년 자료상으로는 부동산에 대한 소비탄력성 계수값이 0.004만큼 크게 나타났는데, 2021년 자료상으로는 오히려 0.001 만큼 작게 나타난다. 셋째, 2020년과 2021년 분석에서 모두 고자산계층 가구에서는 부동산이 금융자산보다 자산효과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2021년에 더욱 심화되었다. 그러나 저자산 계층 가구에서는 부동산 자산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크게 코로나 19 라는 경제위기 상황에서의 절약과 더불어 자산시장의 호황하에서 자산축적을 위하여 부동산의 자산효과가 강하게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추측하여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영업자 부동산 자산효과를 코로나 19를 전후하여, 자산관점에서 고자산계층과 저자산계층으로 세분하여 심도있게 자산 관점으로 논의 영역을 확장한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판단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al estate asset effects of self-employed people before and after Covid-19 using data from the two-year Household Financial Welfare Survey from 2020 to 2021, and additionally performs the asset effects by dividing them into high-asset and low-asset households based on the net asset quintile. As a result of the main analysis, first, in terms of wealth effect, the economic variables of 2020 and 2021 appear to have decreased in the influence of income, financial assets, and real estate assets, excluding debt. Second, real estate assets and financial assets show opposite sizes over two years. In other words, in the 2020 data, the coefficient of elasticity of consumption for real estate was as large as 0.004, but in the 2021 data, it was rather as small as 0.001. Third, in both 2020 and 2021, real estate had a lower asset effect than financial assets in high-asset households. This was further deepened in 2021. However, in low-asset households, the real estate asset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e reason can be largely assumed that the asset effect of real estate did not appear strongly in order to accumulate assets under the booming asset market along with saving in the economic crisis of Covid-19. This paper believes that it is of academic significance to divide the real estate asset effect of self-employed people into high-asset and low-asset group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expand the discussion area from an in-depth asset perspective.
박인 사단법인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2023 부동산융복합연구 Vol.3 No.4
일본과 미국에서 발생한 부동산 사기 및 허위 매물 사례를 분석하고, 그를 바탕으로 한국에서의 소비자 보호 방안을 제시한다. 두 나라의 사례를 통해 중개인의 역할 강화, 소비자 교육, 정보의 투명성이 부동산 거래에서 사기와 허위 매물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일본은 중개인 교육 및 자격 제도를 통해 소비자 보호 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미국은 윤리 헌장 교육에 중점을 두어 소비자가 자신의 권리를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미국의 사회적, 경제적 상황에 따른 다양한 부동산 사기 형태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보호와거래 투명성을 위한 제도적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안이 한국에 그대로 적용될 수 없음을 인식하고, 한국의 사회적, 경제적, 법적환경을 고려하여 이들 방안을 수정하고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소비자 보호를 위한 다양한 제도와 정책 시행 시, 소비자들이 이를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 홍보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부동산 중개사의 자격 시스템 개선, 교육 강화, 불만 제기 제도 및 보상제도 도입 등을 통해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하며, 모든 이해관계자의 적극적 협력과 디지털 시대에 맞는 부동산 플랫폼의 적극적인 수용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부동산 거래에서의 사기와 허위 매물 문제 해결과 소비자 보호에 기여하며, 부동산 시장의 건전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s cases of real estate fraud and false listing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proposing consumer protection measures for South Korea. The strengthening of the role of real estate agents, consumer education, and transparency of information have been identified as key elements in resolving issues of fraud and false listings in both countries. Japan has established a consumer protection system through the education and licensing system for real estate agents, while the United States encourages consumers to protect their own rights through education on ethical charters. Various types of real estate fraud occurring in the United States are analyzed to suggest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development for transaction transparency and consumer protection. This study proposes measures to strengthen consumer protection through improvements in the real estate agent qualification system, strengthening of education, introduction of a complaint filing system, and a compensation system. It argues for the active cooperation of stakeholders and the active acceptance of real estate platforms suitable for the digital 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solution of fraud and false listing issues in real estate transactions, consumer protec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soundness of the real estate market.
부동산 유치권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부동산 유치권등기제도 도입을 중심으로 -
주민호(min ho Ju)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2022 부동산융복합연구 Vol.2 No.3
부동산은 기술적으로 지면을 이용하여 경작활동을 할 수 밖에 없는 농촌지역을 제외한 여타의 도시지역은 다양한 산업집약, 높은 인구밀도 등으로 지면 뿐 아니라 지상공간과 지하공간을 활용하여 개발할 수 밖에 없다. 단순한 수평적 공간의 이용을 넘어 수직적인 입체공간을 개발함으로써 해당 토지는 물론동 토지가 속해 있는 해당지역의 가치가 변화하고 적극적인 연접 지역의 개발을 이끌어 냄으로서 결국 도시 전체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발생하므로 결국 토지의 입체적 이용은 도시개발은 물론 부동산 최유효이용의 근본일 수 밖에 없다. 그에 따라 입체적 공간을 활용함에는 근본적으로 기술적, 재정적, 법률적 기반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더불어 수많은 권리와 이해가 엇갈릴 수 밖에 없으므로 그 개발과정에서 발생하는권리관계에 관한 갈등을 방지 또는 해소할 수 있는 법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부동산 유치권은 법적 근거는 명시되어 있으나 세부규정이 없음에 따라 부정한 유치권이무분별하게 행사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그에 따라 이해당사자들의 개인적인 손실은 물론사회경제적으로도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동산 유치권등기제도 도입을 통해 해당 부동산의 유치권에 관한 정확한권리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진정한 유치권자의 권리는 물론 이해당사자의 권리를 보호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민법과 등기법 개정을 통해 유치권을 등기할 수있는 권리로 보호하는 방안을 구체적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With the exception of rural areas, where real estate has no choice but to use land for cultivation, other urban areas must develop not only the land but also ground and underground spaces due to various industrial intensity and high population density. By developing a vertical three-dimensional space beyond the simple use of horizontal space, the value of the land to which the land belongs as well as the value of the area to which the land belongs changes, and leads to active development of adjacent areas, which ultimately increases the value of the entire city. In the end, the three-dimensional use of land is inevitably the basis of not only urban development but also the most effective use of real estate. Accordingly, in order to utilize a three-dimensional space, a technical, financial, and legal basis must be fundamentally supported, and because numerous rights and interests are inevitably conflicting, legal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prevent or resolve conflicts related to rights relations that arise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The legal basis for lien on real estate is specified, but as there are no detailedt.
부동산 조세정책이 아파트시장에 미치는 영향 인식에 관한 연구
김정하(Jung-Ha Kim),권대중(Dae Jung Kwon)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2021 부동산융복합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현 문재인 정부가 부동산시장 안정화를 위해 집권초기 이후 부동산조세정책 중심으로 많은 부동산대책을 내놓았음에도 불구하고 주택가격은 여전히 확산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부동산 시장에서 주택(아파트) 수요자들이 정부의 부동산 조세정책의 내용을 얼마나 이해하고 인식하고 있는 지를 실증분석하여 부동산 조세정책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정부의 부동산 조세정책은 과세의 규범적 기준인 공평성과효율성에 충실하여야 한다. 정부가 추진하는 조세정책의 대부분은 경기조절을 위한 목적으로과도하게 사용될 때가 많았다. 조세 강화와 완화가 너무 강조되다 보면 늘 부작용이 발생하게마련이다. 역대 정부의 집권초기와 말기에 벌어진 아파트 가격상승률을 보면 알 수 있다. 둘째, 다주택자 중과세 기준을 지역의 주택(임대)공급 상황 등을 고려하여 선별적으로 완화할 필요가 있다. 다주택자를 투기꾼으로 바라보는 부정적 시각에서 벗어나 오히려 임대주택공급자로서 순기능적면이 크다는 것을 고려해서 기준을 정하여 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행 1세대 1주택자의 비과세 기준과 종합부동산세의 고가주택 개념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전체적으로 주택가격이 크게 상승한 만큼 1세대 1주택자의 현 비과세기준을 6억원 이상의 금액으로 상향해야 시장논리에 맞다. 종합부동산제도 2005년 시행 당시 가구별 합산 6억원 이상이었으며 2009년 1주택자는 9억원이상, 다주택자는 6억원으로 인상하면서 가구별 합산이 인별 합산으로 바뀌었다. 10여년이 지난만큼 현실성을 반영할 필요가 있으며, 과세표준을 응능의 원칙에 따라 채무금액을 공제한 순자산가액으로 정하는 것도 고려의 대상이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잦은 제도의 변화로 정부 정책의 신뢰도는 낮은 편이다. 부동산 조세정책은 부동산 소유자 및 거래단계별 이해관계인들의 세부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단기적보다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제반사항을 고려하여 정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경기조절을 위해 단발성있는 대책으로는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음을 염두해두어야 한다.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has been using a strong real estate tax policy to stabilize the real estate market by announcing real estate measures 24 times since taking power. However, housing prices have continued to rise. The pu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ways to improve real estate tax policies by analyzing how housing consumers perceive the government's real estate tax policies in the real estate market. This paper examines various literature to the research method.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ax policies of major countries,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ere referred. The survey was conducted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Statistical processing used the Spsswin 23.0 progra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s real estate tax policy shall be faithful to the normative standards of taxation, fairness and efficiency. Second, it is necessary to selectively ease the taxation standard for multi-homeowners in consideration of the supply of housing (rental) in the region. Third,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current tax-free standard for first-generation single-homeowners and the concept of high-priced housing in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Finally, due to frequent changes in the government's system, the credibility of government policies is low. Real estate tax policies shall be formulated in consideration of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real estate owners and interested parties in each transaction stage in consideration of all matters in the mid- to long-term rather than in the short-term. It should be noted that short-lived measures will not solve fundamental problems for economic control.
김세원(Seone Kim),윤선화(Seon Hwa Youn)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2023 부동산융복합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자산투자 현황 및 선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외국인들간의 차이점에 대해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조사시점 현재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진행하였으며, SPSS 23.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과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외국인들은 한국의 개별적인 부동산 및 금융시장에 대해 평균보다 다소 낮게 평가하고 있으며, 자국과 비교해서도 투자가 크게 매력적이지 않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경제 성장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의 부동산 자산 중에는 주거용을 선호하고, 금융자산에서는 예금/적금 및 주식/펀드의 선호도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부동산과 금융자산의 선택에서는 순자산과 부채가 증가할 때 금융보다 부동산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하여 설문에 응답한 많은 외국인이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높았으며 제약을 느끼는 부분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sset investment status and preference for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and the differences between foreigners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study was conducted by surveying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at the time of the survey, and the research project was verifi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ackag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oreigners in Korea evaluated the prospect of individual real estate and financial markets in Korea and the preference of the Korean market compared to their home countries below moderate. However, they evaluate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as more than moderate. Among real estate assets in Korea, foreigners prefer residential use, and in financial assets, preferences for deposits/installment savings and stocks/funds were similar. In the choice of real estate and financial asset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tendency to prefer real estate over finance when net assets and liabilities increas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many foreigner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showed high interest in real estate, at the same time felt many restric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olicy establishment and service provision for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경정익(Jungik Kyung),권대중(Daejung Kwon)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2022 부동산융복합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정보기술의 발전추세에 따라 프롭테크의 발전 진화적 비즈니스를 전망하고, 국내 프롭테크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여 국내 프롭테크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정보기술 발전 추세와 프롭테크의 국내외 최신 현황을 살펴보고, 빅데이터, 블록체인, 메타버스 등의 정보기술 발전에 따른 다음과 같은 발전적 프롭테크 발전전망과 향후 발전적인 모델을 제시하였다. 첫째, 프롭테크는 정보기술에 의한 지능형 부동산 플랫폼으로 부동산정보의비대칭성 문제를 해소하여 공급자 중심의 부동산산업을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시키게 될 것이다. 따라서 부동산에 대한 상세정보, 데이터 분석 등을 제공하는 임대 및 개발공급업과 부동산 관리 및 중개업 등에서 프롭테크 활성화를 통해 부동산 플랫폼은 외국과 같이 서비스 차별화, 다양한 비즈니스영역 간 연계를 통한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를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한다. 둘째, 현실공간과 같이 가상공간에서 메타버스(Metaverse)가 블록체인, 디파이(DiFi), NFT가 적용된 부동산의 개발, 거래, 임대 등 부동산활동이 이루어지는 메타버스 프롭테크가 나타나게 될 것이다. 셋째, 블록체인은 비가역성과 투명성이 강화된 분산원장기술(DLT)으로 관리되는 디지털 장부와 스마트계약을 통해 거래 프로세스를 혁신할 수 있는 차세대 프롭테크가 확대될 것이다. 넷째, 다양한 분야로 활용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는 디파이가적용된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프롭테크가 기대된다. 프롭테크는 아직 투자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로 수익성 검증을 통한 수익성이 보장된 모델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evolutionary business of Proptech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trend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optech in Korea by presenting the development plan of Proptech in Korea. Therefore, the trend of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the latest status of Proptech at home and abroad were examined, and the following developmental prospects for Proptech development and future developmental model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such as bigdata, blockchain, and metaverse. First, Proptech is an intelligent real estate platform by information technology that will solve the asymmetry problem of Real Estate information and transform the supplier-centered Real Estate industry into a consumer-centered one. Therefore, through the activation of Proptech in rental and development supply businesses and Real Estate management and brokerage businesses that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Real Estate and data analysis, Real Estate platforms should be competitive through network effects. Second, in a virtual space, such as a real space, a metaverse Proptech will appear in which Eeal Estate activities such as development, trading, and leasing of Real Estate with Metabuse applied blockchain, Defi and NFT will take place. Third, blockchain will expand the next generation of Proptechs that can innovate the transaction process through digital books and smart contracts managed byDLT(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with enhanced irreversibility and transparency. Fourth, decentralized blockchain Proptech with DeFi that is expected to be expanded to various fields is expected. PropTech should seek a profitable model through profitability verification, with investment still focused.
노상규,김재태 사단법인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2024 부동산융복합연구 Vol.4 No.1
지구는 매년 수백억 톤 이상 배출 되고 있는 온실가스로 인해 크나큰 기후환경 위기를 겪고 있다. 국제사회는 2015년 파리협약에서 탄소중립을 목표로 설정하였고, 탄소중립 이행 중간 점검 성격인 자율적인 감축목표(NDC)를 설정하여 감축을 위해 노력하고있다. 우리나라는 2030년까지 17.1백만톤(CO2eq)을 감축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와 함께 ESG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ESG는 환경, 사회, 거버넌스의 약자이고 부동산 부문에서도 ESG 기준 준수를 통해기후변화 리스크를 줄이고 건물의 자산가치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건물부문에서의 온실가스 저감이나 ESG 활동은 매우 미흡한 편이다. 건물부문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확보도 중요하지만, 제도적이고 정책적인 접근방법이 중요한 시점이고, 이를 통한 건물의 소유자와 관리자의 의식 전환과 역량 강화가매우 중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부동산 관리자에 관한 선행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동산(건물) 관리자의 ESG 분야별 중요도 인식 정도가 향후 ESG 관리 필요성에 얼마큼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부동산 관리자 299명을 대상으로설문조사 하여 OLS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환경(E), 사회(S), 거버넌스(G) 의 각 분야별 중요도에 관한 인식 정도는 향후 ESG 관리 필요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Earth is facing a major climate crisis due to the emission of billions of tons of greenhouse gases every year. The UN set the goal of Net-zero in the 2015 Paris Agreement and established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NDCs) as a midterm check to strive for reductions. South Korea has set a reduction target of 17.1 million tons (CO2eq) by 2030. Along with thi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ESG) criteria is increasing. ESG stands for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and compliance with ESG standards in the real estate sector is known to reduce climate change risks and increase the value of buildings. However, greenhouse gas reduction and ESG activities in the real estate sector are still inadequate. Achieving Net-zero in the building sector requires not only securing various technologies but also adopting institutional and policy approaches. This is a crucial time for a shift in consciousness and capacity-building among building owners and managers. However, there is a severe lack of prior research on real estate managers in this regard.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ESG in different areas among real estate (building) managers affects the future need for ESG management. A survey was conducted on 299 real estate managers, and OL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ceived importance of each area of Environment (E), Social (S), and Governance (G)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future necessity for ESG management.
한자선(Ja Sun Han),이인영(In Young Lee)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2022 부동산융복합연구 Vol.2 No.1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부동산 시장을 안정화시키고자 다주택자의 투기 수요를 근절하고, 서민·실수요자의 주거안정 도모를 위해 지속적으로 세제와 금융규제를 중심으로 시행되면서상대적으로 규제가 적은 상업용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그러나, 전례없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은 사회적·경제적으로 우리 일상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부동산 시장도 변화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부동산 투자심리가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연구한 결과, 부동산 투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단기간 큰 이익을 얻으려는 목적보다는 장기적으로투자하여야 한고, 개인 투자자들 각각의 성향에 맞는 방법을 찾아서 투자하여야 한다. 또한, 군중 심리에 휩쓸려 충분한 계획 없이 투자를 할 것이 아니라 철저한 자금 계획과 투자 분석을 통해 투자를 결정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여전히 많은 투자자들은 부동산 시장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투자의사결정이 투자자들의 심리적인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으므로 부동산 투자 시 투자자들의 리스크를 줄이고 부동산을 투기의 목적이 아닌 투자로써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주기를 기대한다. Since the inauguration of the Moon Jae-in government, interest in commercial real estate with relatively few regulations has increased as tax and financial regulations have been continuously implemented to eradicate the speculative demand of multi-homeowners to stabilize the real estate market and to promote housing stability for the common people and real consumers. became However, the unprecedented spread of COVID-19 has had a great impact on our daily lives socially and economically, and the real estate market has also chang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studying how real estate investment sentiment affects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 in the long term rather than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large profits in the short term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real estate investment, and to find a method that suits each individual investor's inclinations. Find and invest. In addition, it was concluded that investment decisions should be made through thorough financial planning and investment analysis, rather than being swept away by crowd psychology and investing without sufficient planning. Many investors are still interested in the real estate market, and investment decisions are also affected by investors' psychological factors, so we hope that real estate investments will reduce investors' risks and affect the real estate market as investments, not speculation purp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