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어린이인권보도준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지도 조사

        최숙 ( Sook Choi ),김숙 ( Suk Kim ),신혜원 ( Haewon Shin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4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14 No.-

        본 연구는 가정과 학교에서 어린이의 실질적 보호자 역할을 하며 어린이에게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 교사 집단을 대상으로 이물은 과연 어린이의 인권보도와 보도준칙에 대해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지, 두 집단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모와 교사 각각 100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조사들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인권보도준칙과 어린이인권보도준칙에 대한 인지는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어린이인권보도준칙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부모와 교사 모두 높게 나타났다. 현재 제정된 어린이인권보도준칙 내용(동의,익명, 인터뷰기술, 소년범에 대한 미디어 보도의 기준)을 기반으로 부모와 교사 집단의 의견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높은 동의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두 집단의 동의 정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보다 부모들이 더 높게 동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사의 인권보도준칙의 준수에 대한 의견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5점 척도 기준에서 2점대로 부모와 교사 모두 거의 준수되고 있지 않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교사보다는 부모가 체감하는 준수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사에서 어린이 인권을 침해 한 사례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응답자는 161명 중 74명으로 4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선정성과 관련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그밖에 폭력성, 개인정보 유출 등이 있었다. 나아가 언론에서 어린이에 대한 보도 시 가장 주의해야할 사항으로는 부모와 교사 집단에서 모두 어린이의 신상 노출로 인한 개인 정보 유출을 가장 조심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또한 선정적이며 폭력적인 묘사 외에도 자세한 범죄 묘사 및 흥미 유발성 보도 자제, 그리고 어린이를 존엄한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하는 태도로 보도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한편, 인권보도준칙 및 어린이인권보도준칙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평소 인권에 대한 관심이 많은 사람일수록 인권보도준칙 및 어린이 인권보도준칙에 대한 인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인권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frequent occurrences of possible infringement upon the children`s rights on recent presses. The study not only tried to expand the productive discussions of such topic, but also tried to find an efficacious measure. To do so. it has launched a survey among parents and teachers, the very essential guardians of the children, to apprehend their thoughts on reports on human rights and the regulations of those. The study emphasizes whether and how these two groups of participants are indeed aware of the children`s rights and the regulations to it when reported. And if the groups` results show differences. The survey was conducted face-to-face on 100 persons each of parents and teachers groups. The result shows that both of the participants groups show very poor understanding of human rights regulations specially of those children`s on press. However, both parents and teachers supported the necessity of higher standards of children`s rights on press. Parents tend to assist the idea more strongly. The participants` response towards questionnaire on the abidance of children`s rights of press companies came out to be 2 out of 5-point scale pointing out that both of the participant groups believed that these regulations were not well followed. 74 out of 161participants, 46%, responded that they have experienced the violation of children`s rights on the press mostly related to lasciviousness or often associated with violence, and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Both of the participants groups have pointed out that the press must be careful regarding the negligent effluence of personal information. Moreover, some asserted that press should not only avoid to include inflammatory or violent description but also too much detailed depiction of crimes that can possibly draw interest. In addition, press should always treat children with their own fully-formed personality. Besides, while doing the additional examinations to analyze the main factors that most affect the human rights standards and of those children`s, people who shows interests in human rights in general have also shown higher awareness of the press`s abidance on human rights and children`s rights. This certainly shows that higher standard education on human rights is needed.

      • 어린이 유튜브 채널에 대한 비판적 담화 연구

        신유리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20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20 No.-

        이 연구는 어린이 유튜브 콘텐츠를 언어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어린이 유튜브의 문제점을 진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튜브 콘텐츠를 ‘사회적 관행’ 이자 ‘실제 사용하는 언어’ 의 개념인 ‘담화’ 로 인식하여 텍스트적, 담화적, 사회적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콘덴츠에 등장하는 어린이의 실제 주거 공간이자 놀이공간인 ‘집’ 은 장난감이 넘쳐나는 비일상적인 곳으로, 콘텐츠에서 이른바 ‘놀이’ 라고 칭해지는 것은 경제적 비용을 필수적으로 수반하는 활동으로 표상된다. 이와 같은 표상은 물질주주의에 기반한 아이들의 행복 담론과 연결된다. 한편, 유튜브 시청자인 아동은 ‘어린이’, ‘구독자’, ‘소비 자’ 의 정체성을 동시에 지니며 이는 어린이 유튜브의 장르적 특성과 관련된다. 즉, 어린이로서의 사용자에게는 오락을, 구독자로서의 사용자에게는 정보를 제공하며 잠재적인 소비자로서의 사용자에게는 상품을 광고하는 것이다. 이러한 담화 관행의 맥락에서, 엄마와 또는 아빠와 노는 행위는 가정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사적이고 개인적 차원의 활동이 아니라, 유튜브라는 매체 관행에서 소비되는 공적이고 형식적인 활동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전환의 동인은 시장경제의 논리에 있으며, 이는 유튜버 아동의 부모와의 경험을 상품으로 만드는 동시에, 구독자 아동의 진정한 행복과 유익함이 무엇인지 성찰하게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children’s YouTube content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and identify problems with children’s YouTube. To this end, YouTube content was recognized as ’discourse’, a concept of social practice’ and ’language in use’, and analyzed in textual, discourse, and social contexts. The ’house’, which is the actual residential space and play site for children in the content, is represented as an extraordinary place full of toys. Also, what is called “play” in the content is represented as an activity that essentially involves economic costs. This representation is linked to the discourse of happiness for children based on materialism. On the other hand, children who are YouTube viewers have the identities of ‘children’, ‘subscribers’ and ‘consumers’ at the same time. And this is related to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YouTube. In other words, it provides entertainment to users as children, conveys information to users as subscribers, and advertises products to users as potential consumers. In the context of this discourse practice, playing with a mother or father functions as a public and formal activity consumed in the media practice of YouTube, rather than a private and personal activity in the realm of the family. The driving force behind this transformation lies in the logic of the market economy, which makes YouTuber children’s experiences with their parents a commodity, while it allow us to reflect on what the true happiness and helpfulness of subscribe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