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글로벌 통일환경 변화 속 新통일공공외교 모델 구상과 재외동포의 역할

        윤혜령 ( Yun Heylyung ) 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 2024 평화통일논총 Vol.3 No.1

        본 연구는 신 공공외교(New Public Diplomacy, NPD) 모델을 통일정책 및 통일 공공외교에 도입하는 과정에서 재외동포의 역할이 어떻게 재조명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신 공공외교는 다양한 행위자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담론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중시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언어와 다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재외동포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한반도를 둘러싼 글로벌 통일환경, 남북관계, 그리고 재외동포 사회 변화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신 통일공공외교 모델로의 전환’을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재외동포의 이주 현황 및 역사, 그리고 현대사적 의미를 고찰하여 재외동포가 신공공외교에 갖는 의미를 되짚어보고자 한다. 셋째, 재외동포들을 단순히 통일 메시지 전달자로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통일담론의 주체로 포섭하여, 신공공외교 모델에서의 재외동포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 세계화와 탈국경화 시대에 한반도 통일은 폐쇄적 민족성과 공간성을 넘어서 다양성을 포용하는 동시에 세계 보편적인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는 점에서 통일 공공외교의 목표와 방향성, 그리고 대상이 새롭게 설정되어야 하며, 그 과정에서 재외동포 사회가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how the role of overseas Koreans can be re-evaluated in the process of incorporating the New Public Diplomacy(NPD) model into unification policy and unification public diplomacy. In this regard,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global unification environment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ter-Korean relations, and changes in the overseas Korean society and to propose a ‘transition to a new unification public diplomacy model’ to respond to these changes. Second,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meaning overseas Koreans have in new public diplomacy by examining the migration status and history of overseas Koreans and the significance in today’s history. Third, this study seeks to find the role of overseas Koreans in the new public diplomacy model by embracing them as principals of discourse on unification rather than merely defining them as transmitters of unification message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borderless world,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must transcend closed nationalism and spatiality to embrace diversity, while pursuing universally accepted values. This necessitates a redefinition of the objectives, direction, and targets of unification public diplomacy. In this process, it is essential to re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overseas Korean community, and its active role in pursuing peaceful unification.

      • 탈북청소년 지원체계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전순영 ( Jeon Sunyoung ) 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 2023 평화통일논총 Vol.2 No.2

        국내에 들어온 지 오래된 탈북민 수가 늘면서 그들의 자녀 세대로 지원 논의의 초점이 이동하고 있다. 탈북민 자녀 세대는 2015년 이래 중국을 포함한 제3국 출생이 북한 출생보다 더 많아졌고, 남한 출생의 비율도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탈북민 집단 내 다양성이 커지면서 법과 제도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 이제는 누구를, 어떻게, 얼마나 지원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통해 탈북청소년을 재범주화하고 지원체계를 재정비해야 할 시점이다. 탈북청소년은 출생국, 입국유형, 연령대, 가정환경, 경제상황, 언어능력, 학습능력 등에 따라 저마다 서로 다른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체성의 혼란, 한국사회의 차별과 편견, 특수한 가정환경과 경제적 불안정 등은 그들 대부분에게 공통적인 삶의 조건이다. 탈북청소년 지원체계는 통일부, 교육부, 여성가족부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결과, 탈북청소년 지원체계의 문제점으로는 부처 간 협업 미비, 제3국 출생에게 불리한 대입전형, 복지제도 접근성 부족, 형평성 논란, 대안학교 지원 부족 등이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첫째, 탈북청소년에 제3국 출생 자녀를 포함시키고 남한 출생 자녀에 대한 지원을 검토할 것, 둘째, 유관 부처 간 통용가능한 통계를 구축하고 통합지원을 체계화할 것, 셋째, 정책대상 집단의 다양성 증가에 따른 중장기적 대응을 모색할 것, 넷째,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복지 서비스를 확대할 것, 다섯째, 탈북민에 대한 한국사회 인식개선을 위한 노력을 병행할 것, 여섯째, 지원대상이 되기를 거부할 권리를 존중할 것을 제시하였다. As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been in Korea for more than ten years increases, the focus of discussions on support is shifting to their next generation. Since 2015, the more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ies are entering South Korea than those born in North Korea, and the proportion of South Korean births is also rising considerably. As the diversity within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grows, blind spots in laws and systems are being exposed. It is time to re-conceptualize the category of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and reorganize the support system through discussions on who, how, and how long they should be supported.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are experiencing different difficulties depending on their country of birth, type of entry, age group, family environment, economic situation, language ability, and learning ability. Confusion of identity,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 Korean society, complicated family relationship and economic instability are common living conditions for most of them. The support system for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consists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ack of cooperation between ministries, unequal college entrance opportunities, lack of access to the welfare system, controversy over equity, and lack of support for alternative schools were pointed out as problems with the support system for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To compensate for these,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measures: to include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in the category of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on a par with those born in North Korea, to consider support for children born in South Korea, to establish statistics and systematize integrated support among related ministries, to expand welfare services to strengthen family functions, to improve South Koreans’ percep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o respect their right to refuse support.

      • 탈북청소년의 사회교류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 음악치료를 중심으로

        백미순 ( Baek Misoon ) 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 2023 평화통일논총 Vol.2 No.2

        국내 학교에 재학중인 탈북학생의 수는 2,061명이다(2022년 4월 기준). 정부는 정책적으로 탈북청소년이 학교생활에 적응하고 학습 능력을 제고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실제 실효를 거두고 있는 면이 있지만, 정서적 측면이 간과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탈북청소년은 북한에서 생활할 때 받았던 유일령도체제 교육, 비인격적 대우, 자율성, 자발성이 억압된 상태로 자랐던 성장 배경이 있다. 또한 탈북 과정에서 경험한 불안감, 해결되지 않는 분노, 억울함 등 다양한 상처와 국내 적응의 어려움이 건강한 인격체로 성장하는데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심리적 상처들이 내면에 잠재되어 있다가 어느 순간에 부적절한 감정으로 표출되면 사회 부적응 상태로 몰리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탈북청소년을 한반도 평화통일 시대의 중요한 인재로 양성해 나가야 한다는 관점에서 ‘음악치료’(music therapy)라는 정서 치유 도구를 통한 사회교류 증진 방안에 대해 접근했다. 연구 결과 음악치료가 탈북청소년의 정서 치유 및 대인관계 형성을 통한 사회교류 증진에 효과적이라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음악치료는 청소년의 정서 인식을 돕고 자기 표현력을 촉진하여 정서 조절 및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왜곡된 나에 대한 시선에서 올바르게 자신을 바라보며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도움을 준다.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attending domestic schools is 2,061 (as of April 2022). As a policy, the government is making efforts to help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adapt to school life and improve their learning abilities. Although there are aspects that are actually effective, the reality is that the emotional aspect is being overlooked. Young defectors have a background of growing up in a state where the education of the monolithic leadership system, impersonal treatment, and autonomy and spontaneity that they received while living in North Korea were suppressed. In addition, various scars such as anxiety, unresolved anger, and resentment experienced during the process of defecting from North Korea, as well as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country, can become obstacles to growing into a healthy person. When these psychological wounds are latent inside and are expressed as inappropriate emotions at any moment, there is a case where they are driven into a state of social maladjustment. In this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fostering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as important talents in the era of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e approached methods to promote social exchange through an emotional healing tool called 'music therapy'. As a result of the study, a significant result was derived that music therapy is effective in promoting social exchange through emotional heal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in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Music therapy helps teenagers to recognize their emotions, promotes their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regulation and development, and helps them establish their identity by looking at themselves correctly from a distorted view of themselves.

      • 남아공 진실과 화해 위원회의 화해 주도와 한반도 평화에 대한 시사점

        최준호 ( Junho Choi ) 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 2022 평화통일논총 Vol.1 No.1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1948~1994년까지의 아파르트헤이트 시대를 극복하고 사회적 대통합을 이루기 위하여 ‘진실과 화해 위원회’(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이하 ‘TRC’)가 작동하였다. TRC의 화해 사역은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를 동시에 받았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TRC의 사역에 대한 국내외학자들의 평가를 종합해 본다. 본 연구에서는 TRC의 한계와 대사회적 통합에 역부족인 면들을 세 가지로 제시한다. 첫째, 백인 공동체의 사회적 공감대를 이끄는데 부족한 우분트(Ubuntu) 정신으로 노벨평화상 수상자(넬슨 만델라와 데스몬드 투투) 중심의 화해 분위기 주도이다. 둘째, 사법적 정의 집행이 없는 고백적 화해의 한계이다. 마지막, 남아공 시민사회 구성원들의 행동을 변화시키기에 부족한 TRC의 활동이다. TRC에 대한 본 논문에서의 평가 기준은 니콜라스 월터스토프의 ‘하나님의 정의’와 마셜 로젠버그의 ‘비폭력 대화’이다. 이 두 평가 기준으로 TRC를 평가할 때, TRC는 정의와 화해의 문제에서 한계를 보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TRC의 화해 사역 연구를 통해 한반도 평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흑백 갈등 문제에서 해결실패의 원인을 제시하며, 그 근본적인 문제를 본 논문에서 분석해 본다.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TRC) of South Africa worked to overcome the era of Apartheid from 1948 to 1994 and achieve great social integration. The reconciliation ministry of South Africa's TRC received positive and negative reviews. However, despite this evaluation,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role of TRC as a model for teachers, whereas a good teacher. In this study, three aspects are insufficient for TRC limitations and social integration. First, with the spirit of ‘Ubuntu’, which is insufficient to lead the social consensus of the white community, it is led by the Nobel Peace Prize winners (Nelson Mandela and Desmond Tutu). Second, it is the limitation of confessional reconciliation without judicial justice enforcement. Lastly, it is an activity of the TRC that is insufficient to change the behavior of members of South African civil society. The criteria for evaluation of TRC in this paper are Nicholas P. Wolterstorff(1932∼now)'s Justice of God and Marshall B. Rosenberg(1934∼2015)'s Nonviolent Communication. When evaluating TRC based on these two evaluation criteria, TRC showed limitations in the problem of justice and reconciliation. The cause of the failure to resolve the black-and-white conflict is presented, and the fundamental problem is analyzed in this paper. Through the TRC's reconciliation ministry study, implications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re presented.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간안보적 접근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

        신경수 ( Shin Kyeongsu ) 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 2023 평화통일논총 Vol.2 No.1

        이 글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보편적이고 양도 불가능한 인간안보 차원의 지원정책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바람직한 지역 정착 제도를 위해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는 다문화 도시의 면모를 갖춘 인천시가 미래 통일도시 역할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에 대한 기초연구 차원에서 시작하였으며,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정책 방안 연구가 상대적으로 적게 편성되어 있음에 연구활성화 차원에서 기인한다. 2021년 12월 기준 탈북민은 총 33,815명으로, 인천시는 경기(14,018명), 서울(11,971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인원(3,758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에 인천시는 탈북민 특화사업을 진행하며, 안정적인 남한사회 정착과 지역주민과의 융합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천시 탈북민 정책에 대한 발전적 제안을 위해 인간안보 중심의 정책 수립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탈북민도 이산가족의 범주에 포함하여 지원사업과 예산편성 기능을 통합하고, 함께 운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인천은 북한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특히 해로의 이용은 대규모 탈북민 이주가 필요한 시점에 안정적인 수송이 가능한 곳으로, 통일 정착도시 건설을 위한 교육 및 기반 시설 마련에 건설적인 정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a universal and inalienable human security support policy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it is described mainly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or a desirable regional settlement system. This began as a basic study on how Incheon City, which has the aspect of a multicultural city, should prepare for the role of a future unified city, and it is due to the relatively small research on policy measur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s of December 2021, there were a total of 33,815 North Korean defectors, and Incheon City has the third-largest number (3,758) after Gyeonggi (14,018) and Seoul (11,971). Accordingly, Incheon City is carrying out specialized project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for stable settlement of South Korean society and convergence with local resi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human security-oriented policy for the developmental proposal for the North Korean refugee policy in Incheon, and propose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separated families and integrate and operate support projects and budgeting functions together. In addition, Incheon is geographically close to North Korea, especially the use of sea routes is a place where stable transportation is possible when large-scale North Korean defectors are needed, and we would like to suggest constructive policies for education and infrastructure for the construction of a unified settlement city.

      • 한국 개신교계 대북 민간교류협력의 방향성 제안: SDGs 이행을 중심으로

        전순영 ( Jeon Sun Young ) 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 2022 평화통일논총 Vol.1 No.1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계에서 지난 20여 년간 진행되어온 대북 민간 교류협력 사업의 역사와 의의를 고찰하고 향후 과제와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쓰여졌다. 그동안 민간단체들은 정부 및 기업과의 거버넌스를 형성하여 경색된 남북관계의 숨통을 트이게 하는 역할을 감당해왔으며, 대북지원의 의미를 단순히 인도주의 차원에 한정하지 않고 민족화해를 통한 한반도 평화 및 통일운동 차원에서 규정하는 양상도 관찰되었다. 특히 한국 개신교계의 대북 인도적 지원은 신학적 성향에 따라 별개로 진행되고 있던 통일운동과 북한선교운동의 자원을 하나로 결집시키는 결과를 가져옴으로써 교회의 연합과 일치 운동에 기여한 측면이 있다. 고강도 대북제재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도 유엔의 인도적 지원 허용방침에 따른 대북지원과 교류협력의 문은 여전히 열려있다. 북한도 국제 기구의 지원을 받아 경제발전을 성취하려는 목표로 유엔의 지속가능발전 목표(SDGs)에 호응하는 전향적 자세를 보이고 있다. 개신교계는 이처럼 변화하는 상황을 이해하고, 기독교 신앙의 본질적 가치에 충실하게 조건 없는 사랑과 섬김의 자세를 견지하되, 국제법과 국내법, 북한법을 준수하는 순응적 방식으로 북한 당국과 주민의 신뢰를 구축하는 방안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개신교회의 보수와 진보가 북한을 향한 사랑과 섬김을 위해 지속적인 공동 논의를 통해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한국 개신교의 연합과 일치를 위해서도 바람직한 방향성이 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and significance of civilian exchange and cooperation projects with North Korea that have been underway in the Protestant community for the past 20 years and present future tasks and directions. Until now, many NGOs have played a role in creating governance with government and businesses to open the breath of strained inter-Korean relations, and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meaning of support to North Korea is not limited to humanitarian levels but to peace and unification movements on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humanitarian aid from the Protestant churches to North Korea contributed to the agreement and unity movement by bringing together resources from the unification movement and the North Korean mission movement, which had been carried out separately according to the theological tendency. In spite of the prolonged high-intensity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the door for humanitarian aid and cooperation to North Korea is still open under the U.N. policy. North Korea is also showing a forward-looking attitude in response to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with the aim of achieving economic development by the support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us, the Korean Protestant churches needs to understand the changing situation, maintain an unconditional attitude of love and service faithful to the essential values of the Christian faith, while pursue ways to build trust between North Korean authorities and people in compliance with the international, domestic and North Korean laws. It would also be desirable that the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of the Protestant Church seek cooperation through continuous discussions to love and serve North Korea together.

      • CIS 고려인의 전통문화 보존과 민족정체성

        이병조 ( Lee Byongjo ) 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 2024 평화통일논총 Vol.3 No.1

        본 연구는 CIS 고려인의 전통문화 보존 상황과 고려인의 가족제도 및 민족 간 결혼 문제를 통해서 오늘날 고려인의 민족정체성을 엿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선 CIS 고려인의 전통문화 보존 상황과 관련, 160년의 정주 기간 동안에 CIS 고려인은 “유산”으로서의 가치가 있는 유무형의 역사문화자원들을 생성해 왔다. 특히 이주와 유랑으로 점철된 격동의 삶 속에서도 고려인 사회는 적지 않게 한민족의 고유한 전통문화 유산을 계승해 오고 있다는 점은 매우 주목할만하다. 필자는 과거 중앙아시아 3개국(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즈스탄)과 러시아(연해주, 사할린주)에서 고려인 전통문화유산에 대한 실태조사를 수행한바 있다. 수행된 조사에서 필자는 유무형의 다양한 형태의 전통문화 자원들을 파악 및 확보할 수 있었고, CIS 고려인들의 민속생활(의식주 및 세시풍속)과 민속예술(공연예술(연행)/구전전통) 분야가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또렷하게 계승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한반도와의 오랜 결별 속에서도 고려인의 전통문화유산 내에는 중앙아시아-러시아-한반도를 관통하는 공통의 요소들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계승되고 있는 전통문화적 요소들의 많은 부분 또한 변형되고 있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고려인의 민족적 정체성의 약화와도 깊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소비에트 시기와 소련 붕괴 이후 CIS 내 고려인과 타민족 간의 결혼은 일반적인 현상이 되어왔고 현재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자리잡고 있다. 고려인의 전통적인 가족 제도의 경우 골격은 유지되고 있으나 타민족과의 결혼은 결과적으로 고려인의 전통적인 가족 제도에도 적지 않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타민족과의 결혼을 통한 CIS 내 고려인 가정의 다문화 현상은 전세대에서 오늘날 매우 자연스럽고 자리잡고 있으며, 이 또한 고려인의 민족적 정체성을 약화시키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로도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rvation status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CIS Koryoin(Korean people), the family system of the Koryoin, and the issue of inter-ethnic marriage, and to analyze the ethnic identity of the Koryoin today. During the 160 years of settlement, the CIS Koryoin have created tangible and intangibl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ith “heritage” value. This is being utilized to great value in research on the Koryoin diaspora today. In particular, it is very noteworthy that even in a turbulent life filled with migration and wandering, the Koryoin community has inherited a significant amount of the Korean people's uniqu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The research team to which the author belongs has previously conducted field research on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of Koryoin in three Central Asian countries (Kazakhstan, Uzbekistan and Kyrgyzstan) and Russia (Primorsky Krai, Sakhalin Oblast). Through a survey conducted based on the seven categorie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esignated by UNESCO, the author was able to identify and secure various types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and some of them are introduced in this paper. Through field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fields of folk life (food, clothing, shelter and seasonal customs) and folk arts (performing arts/oral traditions) are being inherited relatively clearly compared to other fields. In addition, despite the long separation from the Korean Peninsula, it was confirmed that common elements that penetrate Central Asia, Russia, and the Korean Peninsula still exist within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of the Koryoin, albeit in a modified form. Meanwhile, through the Soviet period and after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marriages between Koryoin and other ethnic groups in the CIS became a common phenomenon, and this also affected national identity. In addition, the basic framework of the family system of Koryoin society is maintained, but is subject to many changes. It was found that the national policy or social situation of the country to which it belongs is a major variable.

      • 한인 디아스포라 기독교 청년의 유럽 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권오성 ( Kwon Osung ) 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 2024 평화통일논총 Vol.3 No.1

        본 연구는 한인 디아스포라 기독교 청년의 유럽 사회 적응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례연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독일에서 살아가고 있는 기독교 신앙을 가진 1명의 한인 디아스포라 청년과 영국에서 살아가고 있는 기독교 신앙을 가진 1명의 한인 디아스포라 청년 연구참여자와의 면접조사를 통하여 한인 디아스포라 청년이 유럽의 사회 적응이 일회적인 사건이 아닌 여러 사건이 어우러져 나타나는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타국에서 현지교회와 한인교회가 유학생들과 이주민들을 품었듯이 한국교회가 한국에 온 이주민들과 유학생들을 품고 평화롭게 살아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에 온 이주민을 위하여 한국교회는 실제적인 전략들을 준비하여야 한다. 첫째, 언어 교습소를 만들어야 한다. 둘째,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며 서로 소통할 수 있는 문화소통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셋째, 한국 사람과 이주민의 사람들이 함께 요리를 만들어서 나누어 먹을 수 있는 환대의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 한국에 온 이주민 청년들과 사랑으로 서로 소통하고 연대하게 될 때 열방의 선교로 나아갈 수 있게 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have a decisive influence on the adaptation of Korean diaspora Christian youth to European society through a case study. Through interviews with research participants, one Korean diaspora youth with Christian faith living in Germany and one Korean diaspora youth with Christian faith living in the UK, we found that adaptation to European society is not a one-time event for Korean diaspora youth, but is a series of event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process in which events came together. Just as local churches and Korean churches in other countries embrace international students and immigrants, it is very important for Korean churches to embrace immigrants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and live in peace. Korean churches must prepare practical strategies for immigrants who come to Korea. First, we need to create a language training center. Second, we need to create a cultural communication space where people can understand their culture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ird, we must create a welcoming space where Koreans and immigrants can cook and share dishes together. When we communicate and form solidarity with immigrant youth who have come to Korea through love, we will be able to advance into missionary work in all nations.

      • 제3국 출생 탈북청소년의 정체성 회복과 적응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박병애 ( Park Byungae ) 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 2024 평화통일논총 Vol.3 No.1

        본 연구는 제3국 출생 탈북청소년의 정체성 회복과 적응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들의 제3국에서 삶과 한국에 입국할 당시 경험, 정체성 회복과 적응에 힘들었던 점, 한국에 살면서 정부나 사회에 건의사항 등 그들의 목소리를 듣고 본질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에는 7명의 연구참여자들이 참여했다. 현상학적 자료는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자료 분석은 Giorgi가 제안한 분석 절차에 따라 수행했고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상황적 구조기술과 일반적 구조기술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는 상황적 구조기술에 44개의 주제들이 도출되었다. 연구자는 이를 ‘상처받은 존재 뒤에는 위대한 모정’, ‘더 나은 삶을 위한 이주’, ‘차별과 편견으로 적응의 어려움’, ‘정체성 확립’, ‘탈북학생 특별전형의 역차별’, ‘대안학교의 필요성’, ‘외부의 지지와 배려’의 7개 본질적 주제로 구성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한국어를 빨리 배우고 적응의 어려움을 최소화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을 일부 개정하여 제3국 출생 탈북민 지원법을 건의하였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on identity recovery and adap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youth born in a third country. The researcher sought to examine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by listening to their voices, including their lives in a third country, their experiences upon entering Korea, the difficulties they had in recovering and adapting to their identity, and their suggestions to the government and society while living in Korea. Seven research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nalysis procedure proposed by Giorgi, and the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described by dividing them into situational structural descriptions and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44 topics were derived. The researcher composed this of seven essential themes: Great Mothership Behind a Wounded Being, Migration for a Better Life, Difficulty in adapting to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Establishing Identity, Reverse Discrimination in Special Screening for North Korean Refugees, Necessity of Alternative Schools, and External Support and Consider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method to quickly learn Korean and minimize adaptation difficulties was suggested, and the Act on Protection and Settlement Support for North Korean Defectors was partially revised to propose a law to support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a third country.

      • 신탁기금을 활용한 대북 기술협력: UN과 세계은행 사례를 중심으로

        강우철 ( Woochul Kang ) 숭실대학교 숭실평화통일연구원 2023 평화통일논총 Vol.2 No.1

        본 논문은 북한개발협력을 위한 신탁기금의 기술협력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신탁기금은 대상 지역, 사업 목적, 지원 분야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개발재원의 조달뿐만 아니라 공여자 파트너십 강화에도 유용한 협력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이러한 국제기구의 기술협력은 북한의 역량강화(capacity building)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대표적인 신탁관리자인 UN과 세계은행 신탁기금의 기술협력 사례를 분석하여 북한개발협력에 활용할 수 있는 신탁관리자의 비교 우위, 지원 대상, 지원 분야를 제시하였다. 신탁기금은 과거 대북지원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단기적이고 일시적인 인도적 지원 중심’, ‘정치적 상황에 따른 급변’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aims to clarify how by using the technical assistance of trust funds,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can be achieved. Trust funds support a wide range of regions and sectors and are considered an effective cooperation scheme not only in providing finance for development but also in enhancing partnership. Multilateral cooperation would contribute to North Korea’s capacity building under the current conditions of international sanction. Based on a case study from the UN and the World Bank, the two representative pillars of trust fund trustees, this paper presents the comparative advantages of using trustees for financing different sectors and targets for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Trust funds can be a viable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ast methods, such as temporary and short-term humanitarian assistance, in achieving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