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철학은 어떻게 비판이 되었는가-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철학적 파레시아에 대한 푸코의 고찰

        박수인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 Vol.83 No.-

        Foucault suggests that political parrēsia as a practical principle of Athenian democracy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hilosophical ethics in the works of Plato. He reconstructs the changes that this shift effected in the practice and discourse of philosophy in his 1983 and 1984 Collége de France lectures. This paper conducts a survey of his interpretation of (1) Socrates’ Apology, Laches and Phaedo, to draw out what he represents as a Socratic form of parrēsia, and (2) Seventh Letter to draw out what he represents as a Platonic form of parrēsia. Foucault’s reconstruction of Socratic and Platonic philosophy as a practice of parrēsia effectively demonstrates Foucault’s own idea of the necessary relation between truth and liberty in his own philosophical practice. This effect is brought forth by Foucault’s restoration of the ancient philosophy conceived and lived as a form of life that is devoted to epimeleia heautou (care of self in relation to truth), as well as his consistent reliance on the Nietzschean notion of truth and power. 푸코는 플라톤의 대화편들에서 발견하는 소크라테스적 삶의 태도와 플라톤적 지적 수련의 방법을 ‘파레시아’ 개념을 통해서 독창적으로 재해석하여, 자신이 서양 철학 전통의 양대 줄기로 제시하는 진실의 분석학과 비판 중 후자, 즉 비판으로서의 철학의 계보학적 시점(始點)을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찾는다. 플라톤의 저작들을 ‘파레시아의 철학화’, 혹은 비판으로서의 철학이라는 삶의 방식에 관한 사유가 발생하는 사건의 장으로 읽는 푸코의 독해는 (1) 고전기 아테네의 정치적 파레시아를 ‘진실의 용기’로 재규정하는 독창적 시도, (2) 진실의 용기를 고대 철학의 ‘자기 배려’ 윤리의 맥락에 위치지우는 분석의 관점, (3) 진실, 권력, 주체에 대한 특유의 니체적 관점의 고수를 포괄하는 입체적 구조를 갖고 있다. 푸코의 플라톤 독해의 입체성에 세심히 주목할 때, 푸코가 제시하는 파레시아 윤리가 ‘철학적 비판’의 이름으로, 우리의 역사적 현재에 대한 성찰을 통해 지금과 다른 사유와 행동을 생산할 수 있는, 창조적 저항의 삶을 호출하고 있다는 점이 보다 분명해진다. 이는 의무나 본질이 아닌 자유의 활용에 대한 하나의 제안이다.

      • KCI등재

        인간의 얼굴을 한 과학

        최성호(Choi, Sungho)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 Vol.70 No.-

        근대 이후 과학의 눈부신 성공은 그 성공의 원천에 대한 철학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였다. 과학의 성공이 어떻게 가능했는지에 대한 방법론적 원칙을 확립하고, 그러한 방법론적 원칙으로부터 과학자들에게 성공의 지침을 제공하는 것은 그야말로 과학철학자들의 숙원이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학 방법론에 대한 이러한 과학철학자들의 지대한 관심은 지난 세기 이래 그에 대한 기나긴 논쟁을 촉발했는데, 필자는 그 논쟁에서 과학의 한 가지 중요한 측면이 간과되었다고 믿고 있다. 그것은 과학철학자들의 탐구 대상은 인격적 존재인 인간이 삶의 구체적인 현장에서 실천하는 과학이라는 사실이다. 철학자들이 탐구해야 할 과학은 현실과 동떨어진 세계에서 아무런 감정도 염원도 애착도 없는 존재들에 의해 실천되는 과학이 아니라는 말이다. 그동안 논리경험주의나 포퍼의 반증주의에 영향을 받은 다수의 과학철학자들은 과학자의 인간적인 면모를 과학적 활동에서 추방되어야 할, 그래서 과학에 대한 방법론적 탐구에서 무시할 수 있는 요소 정도로 간주해왔다. 그 결과 그들의 과학철학은 인간의 과학에서 멀어져 갔다. 그러나 필자는 이것이 과학철학자들의 실수였다고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 아래 본 논문은 먼저 해리 프랑크푸르트의 철학적 인간학을 통해 과학자들의 인간적 면모를 규정하고, 다음으로 토마스 쿤의 과학철학을 과학 속에 내재해 있는 과학자들의 인간적 면모를 포착하려는 시도로 해석할 것이다. 그 결과 쿤의 정상과학이 지닌 독단적 · 교조적 특성은 과학자의 인간적 체취가 담길 수 있는 방법론적 여지를 마련했다는 의의를 지닌다는 것이 드러날 것이다. The success of science have brought to philosophers` attention the question of what makes the success possible. Philosophers of science aspire to establish methodological principles that explain how scientific success has come about and that also provide a blueprint for scientists to ensure future success. This has sparked an ongoing philosophical controversy over the methodology of science that began in the last century. But I believe one important aspect of science has been overlooked in the course of this controversy, which is that the sciences whose methodological principles philosophers of science are supposed to inquire into should be sciences undertaken by scientists who are real human beings, bearing existence in everyday life. The sciences investigated by philosophers are not ones practiced by some surreal beings who have no emotions, no aspirations, no attachments. Many philosophers of science under the influence of logical empiricism or Popper’s falsificationism have long regarded this human aspect of scientists as something that should be expelled from scientific practices, and therefore ignored in an investigation into the methodology of science. As a result, their philosophy of science has moved away from sciences as practiced in real life. But I think this is a mistake. With this in view, I will first explicate the human aspect of scientists in terms of Harry Frankfurt`s theory, and then interpret Thomas Kuhn`s philosophy of science as an attempt to uncover this aspect from underneath science textbooks. The upshot is that the dogmatic nature of Kuhn`s normal science leaves methodological room for the human aspect of scientists such that it plays a crucial role in the advancement of science.

      • KCI등재

        하이데거 철학에서 보이는 도가의 무용지용(無用之用) 사상

        한충수(Han, Choong-Su)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59 No.-

        하이데거 철학과 도가의 사유에 대한 기존의 비교 연구는 사상적 근친성을 밝히는 것에 집중하였다. 그때 주로 고찰된 것은 1940년대 말과 1950년대에 발표된 하이데거의 강연문들이다. 본 논문은 1940년대 초중반 하이데거의 저술들이 도가의 무용지용(無用之用) 사상으로부터 직접적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명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이 살펴볼 저술은 하이데거 전집 75권의「시인의 유일함」과 전집 77권의「러시아의 전쟁포로수용소에서 젊은이와 노인의 저녁대화」이다. 두 글은 각각 1943년과 1945년에 작성되었고, 2000년과 1995년에 출판되었다. 영어로는 후자의 글만 최근에 번역되었고, 한국어로는 아직 번역되지 않았다. 두 글은 독일어권과 영어권의 하이데거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지 않았고, 따라서 동아시아의 사상과의 비교 관점에서도 연구되지 않았다. 하지만 두 글은 하이데거 사유와 도가 사상의 영향 관계를 밝히는 데에 있어서 중추적 역할을 한다. 하이데거는「시인의 유일함」의 마지막에『도덕경』의 11장 전문을 인용한다. 아마도 하이데거가 직접 번역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의 이후 사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어들이 나타난다.「러시아의 전쟁포로 수용소에서 젊은이와 노인의 저녁대화」의 마지막에는 장자와 혜자의 문답 전문이 인용된다. 그 문답의 핵심은 무용지용 사상인데, 이 사상을 하이데거는 “무용한 것의 필요성(die Notwendigkeit des Unnötigen)”이라고 옮긴다. 이 표현은 처음부터 대화편의 밑바탕에 놓인다. 주목할 점은 하이데거가 도가의 무개념과 무용지용 개념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자기 철학에 맞게 변화시켰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하이데거 철학에서 보이는 도가 사상의 수용과 변용을 드러낼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the Taoist idea of “the usefulness of uselessness (無用之用)” forms the basis of two writings of Heidegger, namely The Uniqueness of the Poet and Evening Conversation: In a Prisoner of War Camp in Russia between a Younger and an Older Man. They were respectively written in 1943 and 1945, but they were not published until 2000 and 1995. This late publication is presumably the reason why these two writings have hardly been investigated up to now, not to mention been compared with East Asian thinking. This paper clarifies the basic func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uselessness in the two texts mentioned above. This clarification will show that Heidegger dealt with Taoism earlier than previously known.

      • KCI등재

        19세기 조선 학자의 자연철학에 관하여

        김선희(Kim, Seon-He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0 No.-

        대학 분과나 학문 제도에서 철학과 과학이 분리되기 이전, 자연학과 철학은 중층적 구조를 유지하며 혼종적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러한 혼종성은 동양은 물론 19세기 중반 ‘과학자(scientist)’라는 개념의 뒤늦은 등장이 예시하듯, 전문가로서의 ‘과학자’가 전문적 ‘과학’ 연구를 전담한다는 인식 아래 제도적, 규범적 체계를 구축하기 전까지 서양에서도 나타나는 동일한 현상이었다. 그러나 서구의 스펙트럼과 세계관에 따라 학문과 지적 제도를 재편성해야 했던 동양에 있어 이 혼종성에 대한 평가가 더욱 두드러지며, ‘과학’과 ‘동아시아’ 사이의 거리를 벌려놓은 일종의 낙인처럼 작용한다. 이 논문은 하나의 시론적 시도로서, 현재의 시선에는 혼종적이지만 당대에는 매우 정합적이었던 기학적 자연철학의 관점에서 최한기라는 19세기 조선 유학자의 자연철학적 기획을 살펴보고자 한다. 최한기가 구상한 일종의 중력 이론 ‘기륜설(氣輪說)’이 그의 사유 실험을 살펴볼 창이 되어 줄 것이다. 기계론적 세계관 속에서 천체운동 등의 자연 현상을 수학적 체계를 통해 설명하고자 했던 데카르트와 뉴턴의 중력 이론은 서구 과학사의 관점에서 하나의 진보로 평가될 수 있지만 최한기의 기학의 체계에서는 물질을 불활성에 가두며 자연계 운동의 원인을 신에 돌리는 불완전한 체계였다. 그럼에도 최한기는 서학서로부터 실험과 수학적 증명을 통해 기의 형질과 운동을 실증할 수 있음을 인식하여 이를 기학의 방법론으로 정립하고자 했다. 이처럼 최한기가 유학의 이념과 서양 과학의 지식들을 결합해 구축한 ‘기학(氣學)’은 과학과 비과학을 결정하는 현대 과학의 지적 권위가 작동하기 전, 마지막 비결정의 시대에 조선의 지식인이 꿈꿀 수 있었던 자연철학의 가능성과 확장성을 보여 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Choe Hangi’s(崔漢騎 , 1803- 1877) theory of the qi’s globe, a sort of gravitational theory, which appears to have hybrid characteristics from a modern perspective but which was understood as a coherent theory in Choe Hangi’s time due to the natural philosophical view based on the study of qi. The gravitational theories of Descartes and Newton, which attempted to explain natural phenomena using a mathematical system from a mechanistic worldview, could be evaluated as progress in the history of Western science, but in terms of the study of qi, these were thought to be incomplete systems, seeing all materials as inert ‘stuff’ and attributing the primary cause of all motions in the nature to God. Nevertheless, Choe Hangi attempted to adopt the Western scientific approach as his methodology, as he recognized after encountering Western learning that the characteristics and motions of qi could be proved by experiments and mathematical proofs. Choe Hangi’s study of qi, which involved combining Confucian ideologies and Western scientific knowledge, could demonstrate the possibility and expandability of natural philosophy, of which Joseon intellectuals had dreamed, and which had forme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llectual authority of modern science, which draws the boundary between science and non-scienc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철학계의 동향과 특성

        김종명(Kim, Jong-Myu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5 No.-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철학계의 동향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 한국철학 연구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려는데 있다. 그 내용은 (1) 논쟁 학설들의 내용, (2) 논쟁 학설들의 문제점, (3) 한국철학계의 특성 및 (4) 대안 제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20세기 이전까지 한국 역사상 전개된 대표적 논쟁 학설들인 사단칠정 논쟁, 인물성 동이 논쟁, 이종선 삼종선 논쟁, 돈점 논쟁에서 나타난 문제점이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비 일상용어의 사용, 형이상학적 논의 중심, 학문적 편향성, 학문 상호간 대화 부재, 몰 역사성 및 맹목적 전통 존중 등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국내의 동양철학계와 서양철학계를 포함한 현대 한국 철학계의 특성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한국철학계의 바람직한 미래를 위해서는 살아있는 일상 언어로 철학하기, 학문적 지평 확대, 대외종속성 탈피, 철학사상의 역사적 배경 검토 및 맹목적 전통 존중 태도 불식의 과제들이 현실화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요구되는 일차적 요소는 주체적으로 학문을 할 수 있는 ‘용기와 그 실천’으로 간주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an examination of the trends in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hilosophical circles; and a search for the prospective future of research on Korean philosophy. To this end, this research examined the following issues: discourses on philosophical ideas in pre-modern Korea, which include discussion of the four virtues and seven feeling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human beings and things, the types of meditative practice, and sudden and gradual enlightenment; the limitations of such discour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ilosophical circles in contemporary Korea; and prospective ideas for the future of research on Korean philosophy. As a result, the use of non-everyday language, a focus on metaphysical concepts, unbalanced research on philosophical ideas, a lack of interdisciplinary discourses, the neglect of historicity, and a blind respect for tradition emerged as pending problems found in the philosophical circles in traditional Korea. These problems still linger in the field of philosophy in contemporary Korea, and the prospective future of Korean philosophical circles will depend on overcoming these points at issue.

      • KCI등재

        왈저와 흄의 자연주의 정치철학

        김은희(Kim, Eun-He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2 철학사상 Vol.43 No.-

        왈저의 이론은 현대 정치철학의 논쟁구도에서 공동체주의의 대표적 이론들 중 하나로 규정되어 왔다. 이 논문은 왈저의 이론을 공동체주의로 규정하기보다 이상주의 정치철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으로 규정할 것을 제안하면서 그러한 대안적 기획의 원형으로서 흄의 정치철학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왈저와 흄의 비교를 통해 이상주의(idealistic) 정치철학에 대한 대안으로서 어떤 형태의 정치철학을 그리는 것이 바람직한지 타진해 볼 것이다. 대안으로서 제시된 정치철학은 흄의 정치철학에서 함축되는 보수성을 극복한 형태이어야 바람직한 것인데, 왈저가 흄과 달리 어떤 점에서 보수성을 극복해내고 있는지 밝히는 것도 이 논문이 해야 할 일이다. 2절에서 왜 왈저를 흄과 연결하려는지 논의하며 3절에서 흄의 도덕철학, 정치철학을, 4절에서는 왈저의 정치철학을 개괄한다. 5절에서 왈저와 흄의 기획은 이상주의를 함축하는 구성주의적 이성주의 기획에 대한 비판이라는 점을 보이고, 양자는 그 대안으로 자연주의적 정치철학을 시도한다는 점도 제시한다. 6절에서 양자가 제시한 대안적 기획에 함축되는 보수주의 문제를 논의하며, 이 문제와 관련하여 발견되는 흄의 정치철학과 왈저의 정치 철학의 차이를 분석하고 평가한다. 이 과정을 통해 이 논문은 이상주의적 정치철학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자연주의적 정치철학이 과연 어떤 형태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암시를 얻고자 한다. Walzer’s political theory has been regarded as a kind of communitarian theory.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at his theory should be characterized not as a kind of communitarianism but a kind of anti-idealism and as an alternative to idealism. In order to work it out, I show that Walzer’s ideas can be traced to Hume’s political philosophy. By comparing Walzer and Hume, I draw the conclusion that Walzer’s alternative is better than Hume’s, because the former can overcome the problem of conservatism while the latter cannot. First, I deal with the connection between Walzer and Hume, then survey each political theory, and show that both of them are characterized as projects rejecting idealistic political theories and suggesting a naturalistic account as an alternative to an idealistic one. Finally, by dealing with the conservative implications of their naturalistic projects, I clarify some differences between Walzer’s theory and Hume’s.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일본에서 철학 비판의 윤리적 배경

        아사쿠라 토모미(朝創友海),이원석(번역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6 철학사상 Vol.62 No.-

        근대 일본에서는 “윤리”와 “철학” 사이에 일종의 상호적대 또는 충돌이 있었다. 전자는 근대 일본 지식인들에 의해 후자를 비판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곤 한 용어였다. 와츠지 데츠로(1889-1960)는 철학 대신 윤리학 이라는 이름 하에서 인간 존재에 대한 연구를 추구했다. 왜냐하면 “윤리”라는 말은 일본의 지적 전통, 특히 유학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일본어 “철학”이 지닌 부적절성은 마루야마 마사오(1914-1996)에 의해 비판받은 바 있는데, 그는 그 당대의 지적 환경이 지닌 구조적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열쇠가 바로 에도 시기 신유학의 발전에 대한 이해라고 보았다. 와츠지 데츠로와 마루아먀 마사오는 서양 철학에 일본이 동화되어 가는 것에 비판적 태도를 보이면서, 인간 조건을 분석하고 인간 존재를 이해하는 데에 유가적 사유와 윤리가 기본조건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와 반대로, 니시다 기타로(1870-1945)와 그 이후의 교토학파 철학자들은 “철학”을 도덕과 관련이 없는 것 또는 초도덕적인 것으로 보았다. 비록 전후 도덕 교육의 재건이 그들에 의해 가능했지만 말이다. 이 논문은 철학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윤리학과 초도덕적 · 종교적 철학 사이의 대비를 검토함으로써, 이러한 상호 적대가 유가와 불교 사이의 역사적 대립에 뿌리 내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ere is a kind of antagonism or confrontation between “ethics” (rinri or rinrigaku) and “philosophy” (tetsugaku) in modern Japan. The former is the word that has often been used by modern Japanese intellectuals to criticize the latter: it is under the name of rinrigaku instead of tetsugaku that Watsuji Tetsurō (1889-1960) pursues the study of human existence because it has a certain connection to the Japanese intellectual tradition, especially to the Confucian one; the inappropriateness of Japanese tetsugaku is further denounced by Maruyama Masao (1914-1996), who finds the peculiar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in the Edo period as the key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 milieu. These thinkers are critical of the Japanese assimilation of Western philosophy, finding the Confucian thought or rinri as the basis to analyze the human condition and to comprehend human existence. In contrast, tetsugaku is defined as amoral or trans-moral by Nishida Kitarō (1870-1945) as well as by the subsequent Kyoto School philosophers- although the reconstruction of moral education in postwar Japan owes much to them. This paper shows, by examining the contrast between the rinrigaku as a critique of philosophy on the one hand and the trans-moral or religious tetsugaku on the other, how this apparent antagonism has roots in the historical confronta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