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셀 푸코의 '근대'와 '계몽'

        허경 서양근대철학회 2010 근대철학 Vol.5 No.1

        Le Moderne ou la modernité est un problème de critères. C'est un point crucial par rapport à notre point de départ, parce que, dans toutes les études sur la modernité y compris “la nôtre”, tout dépendra des critères, c'est-à-dire des définitions. Cet article examine la notion de modernité, à travers toute l'oeuvre de Michel Foucault. Nous allons essayer de savoir précisément quels sont les critères ou définitions que Foucault leur donne, à quels points, dans quelles mesures et dans quelles circonstances historiques ils sont valables. L'enjeu est donc de construire une étude généalogique de toutes ces notions chez Foucault. La première apparition du mot ‘la modernité’ se trouve dans Histoire de la Folie [HF], mais juste une fois : “la conscience de la folie s'accompagne au contraire d'une certaine analyse de la modernité, qui la situe d'entrée de jeu dans un cadre temporel, historique et social.”Nous pouvons dire que c'est un usage conventionnel du mot dans la mesure où il est juste une expansion de l'expression ‘l'époque moderne.’ Deuxièmement, un autre type d'utilisation est saillant depuis HF en 1961. Foucault donne un sens très particulier et unique à ce mot. Déjà, dans HF, il essaie de lui donne de nouvelles significations,de nouveaux sens qui émergeront dans Les Motds et les Choses [MC]quelques années plus tard. Si nous empruntons une expression de MC,nous pourrions l'appeler l'usage épistémique du moderne. Dans MC, la modernité, c’est une époque “dont nous ne sommes pas encore sortis”,donc la nôtre. Ce fait affirme que ce sont toujours des usages conventionels. C’est seulement à la fin des années soixante-dix que Foucault essaie de lui donner un nouveau sens auquel nous allons donner le nom d’usage éthique. 본 논문은 미셀 푸코의 저작 특히 1966년의 『말과 사물』에 나타난 근대 및 근대성 개념 그리고 향후 이에 대한 종합으로서 제시되는 계몽 관념의 발생 및 발달의 역사를 추적한다. 이러한 개념들은 보통명사가 아닌 고유명사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근대’와 ‘근대성’의 개념도 구분하여 살펴보아야 한다. 우선 ‘근대’라는 용어는 다음의 두 용법으로 쓰인다. 1) 관습적 용법: 이는 이른바 근대라는 용어로 번역되는 역사의 한 시기를 지칭하는 말이다(근대 생물학, 근대 철학 등). 2) 에피스테메적 용법: 이는 자신의 저작 ‘말과 사물’에 나타난 에피스테메의 개념에 입각한 것으로 각 시기에 단 하나씩만 존재하는 에피스테메로서의 이른바 ‘근대’ 시기의 제반 사항을 지칭하는 말이다(근대 인간, 근대적 광기 혹은 에피스테메 등). 한편 ‘근대성’이라는 용어도 두 가지 용법을 갖는다. 1) 역시 관습적 용법으로 이는 단순히 근대적이라는 형용사의 명사화로 볼 수 있으며 특별한 의미상의 추가가 없다(형법학 혹은 생물학의 근대성). 2) 윤리적 용법: 이는 푸코가 말년에 개진한 윤리적 함축을 갖는 용어이다(보들레르적 근대성에 기반을 두고 이를 고대 그리스ㆍ로마적 자아의 기술과 연관시켜 어제와 다른 나, 나 자신과 다른 나, 그렇게 스스로를 만들어가는 자기 형성의 기술(테크놀로지)을 지칭하는 이른바 ‘근대성의 태도’). 이렇게 푸코는 흔히 그에 대해 말해지고 있는 바와는 정반대로 ‘포스트모던’이라는 문제설정을 근원적으로 거부했으며, 오히려 자신이 속해 있는 유럽, 서양의 오늘을 만든 시기로서의 ‘근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푸코는 ‘말과 사물’에서 이 시기를 대략 1775년-1825년으로 제시하면서, 이 기간 동안 산업혁명, 프랑스 혁명에서, 칸트의 철학, 퀴비에의 생물학, 리카르도의 경제학 등 유럽의 ‘오늘’을 이루는 기본적인 사회체제가 구성되었다고 본다. 이러한 기본적인 시각 아래에서만 푸코의 사상은 올바로 조명 받을 수 있으며 그가 천착했던 주제들인 광기, 심리학, 의학, 지식, 권력, 주체, 성(섹슈얼리티) 등의 문제들도 제대로 평가될 수 있다. 푸코 사상에 대한 계보학적 탐구를 목표로 하는 이러한 광범위한 작업은 우리의 ‘근대’(서구화)를 실질적으로 디자인한 일본, 그 일본적 근대화의 모델이 되었던 (이른바 ‘근대’ 초기로부터 19세기, 그리고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서구 사회의 구성 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오늘 우리의 근대성, 합리성, 보편성 개념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또 이미 오래 전부터 참다운 보편적 사고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서구 중심적 보편성’ 개념을 감싸 안고 넘어서는 새로운 ‘보편성의 사유양식’을 창출을 위한 하나의 시도로서 자리매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푸코의 문제화 개념이 우리가 보편을 사유하는 새로운 방식( une nouvelle manière de penser l’universel)을 구성하는데 적절히 이용될 수 있는 유용한 방식이라는 점을 보이고자 하는 의도 안에서 쓰인 것이다.

      • KCI등재

        계몽의 신화와 근대적 에피스테메

        김광철 ( Kwangchul Kim ) 서양근대철학회 2017 근대철학 Vol.10 No.-

        이 논문의 목적은 테일러와 푸코의 근대성 이론에 중요한 요소인 계몽의 신화와 근대적 에피스테메 개념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3단계로 진행된다. 첫째, 푸코의 『말과 사물』과 「인간학에 대한 서설」에서 나타나는 근대적 인간으로서의 근대적 에피스테메를 살펴본다. 둘째, “Die Blosse Vernunft”에서 나타나는 테일러의 계몽의 신화에 대한 견해를 연구한다. 셋째, 계몽의 신화와 근대적 에피스테메를 비교함으로써 두 개념이 표면상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푸코의 근대적 에피스테메에 대한 이해는 계몽의 신화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myth of Enlightenment and modern èpistémè which forms important elements in each theory for modernity of Taylor and Foucault. I will proceed with this study in three steps. Firstly, I will sketch out how Foucault deals with the concept of the modern human appearing as modern èpistémè by investigating the Les mots et les choses and the “Introdution à l’Anthropologie”. Secondly, I will examine Taylor’s view on the myth of Enlightenment using his argument in the “Die Blosse Vernunft (Reason Alone).” Thirdly, I will compare the modern èpistémè and the myth of Enlightenment, and show that although there is ostensibly a similarity between them, Foucault’s understanding of modern èpistémè is radically different from the myth of Enlightenment.

      • KCI등재

        비극의 태생적 혼종성: 니체의 비극론 재고

        정대훈 서양근대철학회 2023 근대철학 Vol.21 No.-

        본고에서 필자는 근대적 형식으로 재탄생할 경우 비극이 갖추어야 할 개방성의근원으로서 비극의 태생적 혼종성에 관하여 논하였다. 이는 비극의 탄생에서고대 그리스 비극에 대한 니체의 낭만주의적 서사에 대한 비판적 독해를 요구한다. 비극에 대한 낭만주의적 서사는 예술의 순연성과 이론적 학문성 간의 양립불가능한 대립에 기초해 있다. 하지만, 비극의 탄생의 모체가 된 두 강연(“그리스 악극”, “소크라테스와 비극”)에 대한 주의 깊은 독해를 통해 본고는 이러한낭만주의적 대립 서사 아래 숨겨져 있는 예술성과 논리성, 서정성과 서사성 간의혼종 관계가 비극의 태생적 조건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비극의 이러한태생적 혼종성은 비극 형식 자체의 비극성을 내포한다는 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극의 태생적 혼종성과 본래적 비극성은 이렇게 재정식화된 비극 예술의 형식이 개방성을 근본 특징으로 하는 근대 문화에 적합한 것임을 시사한다.

      • 데까르뜨의 방법 - 오해와 이해 사이

        이경희 서양근대철학회 2007 근대철학 Vol.2 No.1

        A new scientific method is absolutely necessary for Descartes to build up ‘mathesis universalis’. The method that Descartes found was the method of analysis. This analysis is not what it was in some respects. First, Descartes’s analysis is the method of discovery. The method of discovery was synthesis in Scholastic philosophy. This difference does not mean the reversal of the traditional order of inference. There is all the difference between Descartes’s deduction and Aristotelian deduction. Descartes makes the order of inference the rankless relation of terms through the reduction of deduction to intuition. Where the school of Padua concerned, they thought that analysis is the method of discovery. Nevertheless they differ from Descartes in some opinions. The former needs syllogism, while the latter, Descartes criticizes syllogism and depends on the geometrical inference. Moreover unlike that, this, Descartes maintains that his own analysis is ‘a priori’. Upon this, Descartes restricts himself to giving the simple relation-making. Finally, what differs is the fact that the one definitely needs synthesis while the other not. Descartes insists that he doesn’t need the complicated inferential rules but only his will and attention in method. Secondly, as above, Descartes’s analysis is ‘a priori’. In Descartes’s analysis, they don’t have to follow the established inferential order like the order “from principle to consequence” but have to make an unknown order ‘a priori’ for themselves. Finally, thirdly, Descartes’s analysis can be applied to all true sciences, even metaphysics and ethics as well as mathematics and logic. The modernity of Descartes’s philosophy can be ensured through the modernity of his method. 데까르뜨는 ‘보편학’ 구축에 새로운 방법을 필요로 하였다. 그가 찾아낸 방법은 분석의 방법이다. 이 분석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첫째 데까르뜨의 분석은 발견의 방법이다. 스콜라 철학에서 발견의 방법은 종합이었다. 이 차이는 전통적인 추론 순서의 역전을 의미하지 않는다. 데까르뜨의 연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연역과 다르다. 데까르뜨는 연역의 직관에로의 환원이라는 전략을 통해 추론의 순서를 단순한 관계짓기로 수평화한다. 분석을 발견의 방법이라고 했던 빠두아학파의 입장과도 데까르뜨의 입장은 다르다. 전자의 경우 삼단논법을 기축으로 하지만 데까르뜨는 삼단논법을 비판하고 기하학의 추론에 의존한다. 또 전자의 경우와 달리 데까르뜨는 자신의 분석을 ‘선험적’이라고 하였다. 이 점에서도 그는 항 사이의 의존관계로 분석을 단순화시킨다. 또 전자의 경우 종합의 필요에 대해 전자는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보았지만 데까르뜨는 분석만으로 충분하다고 보았다. 의지와 충분한 주의만 필요할 뿐 복잡한 추론규칙은 요구되지 않는다. 여기서 데까르뜨의 분석이 선험적이라는 두 번째 차별성을 거론할 수 있겠다. ‘원리에서 귀결에로’와 같은 기성의 추론순서가 아니라 미지의 순서를 탐구자 스스로 선험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이 데까르뜨의 분석의 방법이다. 이로 인해 셋째. 데까르뜨의 분석은 수학이나 논리학 등에 제한되지 않고 형이상학이나 윤리학, 나아가 모든 참된 학문에 적용될 수 있다. 데까르뜨 철학의 근대성은 그의 방법의 근대성을 통해 확보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자연주의 비판 - 칸트의 근대 세계관 비판을 중심으로

        박진 서양근대철학회 2012 근대철학 Vol.7 No.1

        오늘날 우리는 근대 세계관을 비판한 칸트의 반성작업을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이런 성찰을 통해 오늘날 컴퓨터와 스마트폰으로 대변되는 디지털 시대 기계적 세계관이 지배하는 현대 문화의 편협성을 비판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인문학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1) 칸트는 합리론적 세계관이 모순률(1≠0)에 기초하여 개념들의 관계를 비교하는 한갓 논리적 반성의 틀을 사물 자체의 존재질서로 부당하게 전용함으로써 생겨나는 ‘가상’이라고 비판한다. 이는 다시말해, “사고의 한갓 규준(Kanon)일 뿐인 형식논리학을 현실적 산출 내지 적어도 객관적 주장인 듯한 속임수를 위한 도구(Organon)로 사용”(B85)함으로써, 종래의 독단적 형이상학에 의해 자행된 것과 같은 월권행위다. 2) 또 칸트는 『순수이성비판』변증론과 판단력비판의 목적론을 다룬 곳에서 자유를 박탈한 결정론적 체계를 강하게 비판한다. 3) 나아가 칸트는 『순수이성비판』 변증론의 부록에서 도착적인 “전도된 이성”(perversa ratio; ὕστερον πρότερον rationis)(B720)의 오류를 비판한다. 이는 인식들을 체계화하는 데 필수적인 “규제원리”인 “최고예지자”(B720)의 이상을 전도시켜, 자연에 투영하여 “구성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도착적인 오류에 빠진 이성 비판이다. 이런 오류는 스피노자의 자연관, 다윈의 ‘진화가설’ 및 이에 입각한 오늘날의 ‘통섭’(consilience)에도 해당된다고 보인다. 종래 합리론자들의 세계관과 마찬가지로 오늘날 자연과학적 ‘통섭’은 도착적” 이성사용을 감행함으로써 과학을 절대화한다. 이는 완전히 측량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포기할 수 없는 영원과 근원에 대한 관심을 도착적으로 전도시켜 자연 내재적으로 완전한 측량을 추구하는 것이다. 자연주의자들은 “최고예지자”에 의한 “다양의 연속적 통일”이념을 경험적 탐구를 점진적으로 이끌어가는 목표점(focus imaginarius)(B672)인 “규제적 원리”로 인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이를 자연화하고 자연 안에 투영시켜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에 의한 ‘다양한 종의 연속적 통일’ 체계로 ‘미리 구성’하고, 관찰된 사실들이 맹목적인 자연의 ‘비인격적 힘’에 의한 것이라고 해석한다. 여기에 명백한 “선결문제의 요구” 즉 “순환논증의 오류가 발생한다. 이는 유한한 지성이 그 자신에게 인정할 수 있는 것 이상의 통찰력을 부당하게 자부한 데서 기인한다. 칸트는 과학만능시대의 편협한 기계적 자연관을 극복하기 위해 이론이성의 한계를 설정하고, 살아있는 자연에 대한 목적론적 접근을 반성적 판단의 관점에서 열어놓았으며, 인간의 도덕적 본성 안에 깊이 뿌리내린 정신의 자유를 구출하고자 했다. 따라서 참된 계몽을 전인격적 성숙에서 찾고자 했던 칸트 철학을 오늘날의 시각에서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Today, we need to look back on Kant's criticism focused on the modern World view. Through these reflections, we can find the important clue to overcome the one dimensionality of digital culture dominated by the mechanical world view represented by computers and smart phones. 1) Kant criticized the rational world view based on the rule of contradiction(1 ≠ 0). Because the framework of mere logical reflection to compare the relationship of the concepts is wrongly applied to the order of existence of things itself. 2) Kant criticized strongly the deterministic system of modern World view depriving freedom in "critique of judgement". 3) Furthermore, Kant, in the appendix of dialectic of "Critique of Pure Reason," criticized the error of "perverted reason"(perversa ratio; ὕστερον πρότερον rationis) (B720) Kant showed the "perversion of reason", the miss use of the "regulative principles" of human reason as "constructive principles" of nature itself. Through intentional projection of reason by means of imagination, Darwin and Evolutionist naturalize the transcendental Ideal of "the highest Intelligence"(B720), by which we can organize all the knowledge of experience, into the constructive principle of nature itself. Kant's criticism of the fallacy of "perverted reason" seems to be applied to Darwin's "theory of evolution" and Wilson's "consilience". Evolutionists project "the continuous unification of diverse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as the naturalization of the transcendental Ideal of "the highest Intelligence" into nature itself. After that, they assert they can find the gradual evolution of nature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in the empirical inquiry of nature. Obviously here, we find 'the fallacy of undue assumption', 'the fallacy of begging the question' or 'circular argument'. Therefore, the passion and the effort of evolutionists in the inquiry of nature by the "perverted reason" can not produce the true result to bear fruit. According to Kant, this kind of "the constructive miss use" of "regulative principles" is arbitral, and this way of usage gains no true recognition. So, Darwin's hypothesis of evolution is not objectively reasonable. Kant determined the limit of theoretical reason to overcome the narrow mechanical view of nature in the age of the universal science. He opens the teleological approach to living 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reflective judgment, and tries to rescue the freedom deeply rooted in the moral nature of the human spirit. From the perspective of toda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hilosophy of Kant which regards the true enlightenment as mature of personality.

      • KCI등재

        양들의 침묵: 데카르트 철학과 판별력의 퇴락

        이무영 서양근대철학회 2022 근대철학 Vol.20 No.-

        본 논문은 데카르트 철학과 초기근대 내감론에서 전통적 내감 중 하나인 판별력의 논의 양상을 살펴본다. 판별력은 후기중세 아비센나 라티누스의 유입 이래 감각되지 않는 지향을 판단하는 중요한 영혼의 능력으로 간주되었다. 그것은 외감에서 받아들인 심상을 통해서는 이끌어낼 수 없는 좋음과 나쁨을 비롯해 친밀과 적의 등을 지각대상으로 삼는 능력이다. 초기근대는 내감의 수와 기능을 재편하는 과정에서 판별력에 다소 비판적인 철학사적 경향을 보이며, 이런 문맥에서 데카르트는 초기에 판별력을 긍정하면서도 성숙기에 이를 부정하는 극단적 입장을 함께 보여주는 범례로서 기술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데카르트 철학을 기점으로 삼아 초기근대에 속하는 다양한 스콜라철학의 견해를 일별함으로써 초기근대철학에서 판별력이 결과적으로 쇠퇴하는 과정상의 이론적 쟁점과 갈래들을 조망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의 영국경험론 수용과 그 평가

        이재영 서양근대철학회 2012 근대철학 Vol.7 No.1

        So far, the studies on the process of accepting Western Philosophy in Korea mainly have involved German philosophy and British-American Philosophy, and British Empiricism has been discussed as a trend of British-American Philosophy. The present article is the first piece that exclusively investigates the process of accepting British Empiricism in Korea. While existing studies are focused on F. Bacon, J. Locke, G. Berkeley, and D. Hume with the epistemological viewpoint, the current article further includes the research on the political thoughts of Hobbes as well as Locke’s perspectives on politics and education. Furthermore, this paper mentions philosophers as B. Mandeville, T. Reid, and A. Smith that previous studies have not examined. These attempts are based on the author’s opinion that British Empiricism researchers should extend their interests beyond major philosophers and epistemology. The current paper is based on the statistics of existing studies that are categorized as philosophers, subjects, and researchers. The article also includes the trend of translation and book review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British Empiricism in Korea and to seek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이제까지 한국의 서양철학 수용 과정에 대한 연구는 주로 독일 철학과 영미철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영국 경험론은 영미 철학의 한 사조로 포함되어 고찰되었다. 이 글은 한국의 영국 경험론 수용 과정을 독자적으로 고찰한 최초의논문이다. 기존의 연구가 베이컨, 로크. 버클리, 흄을 중심으로 주로 인식론적관점에서 이루어졌던 반면에, 이 글에서는 홉스의 정치 사상, 로크의 정치 사상과 교육 사상에 관한 연구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았던 맨드빌, 리드, 스미스 같은 철학자들을 언급할 것이다. 이러한 시도는영국 경험론 연구자들의 관심을 주요 철학자와 인식론의 영역을 벗어나서 다양화해야 한다는 필자의 생각에 따른 것이다. 연구는 그 동안의 연구 성과물을 철학자별, 주제별, 연구자별로 분류한 통계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번역과서평 문화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영국 경험론 연구의 현주소를 진단하고미래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개념의 의미: 철학사적 고찰

        이상명 서양근대철학회 2013 근대철학 Vol.8 No.1

        In this paper the theme of research is how the term 'concept' is formed and how it is used by any means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Use of the concept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is divided into an ancient, medieval, modern, and each period's important sense and employment is examined. It is revealed that the equivalent of 'concept' in the ancient philosophy of Socrates, Plato and Aristotle means the common essence of the individual things and the concept is an scientific expression, which has definition as the essence, in the theory of science and the logic of Aristotle. The relationship of the concepts and language began to discuss in the logic of Aristotle and the medieval Ockahm's logic took over this discussion. Ockahm showed the distinction of concepts and words, which is a linguistic express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of the concepts and language, distinguishing between terminus conceptus, terminus scriptus and terminus prolatus. According to him the concept is a mental sign. While language is secondary and conventional, concept is a mental sign, which signify naturally and primarily a mental image. Also in the understanding of Locke about the concept the Occam's influence was remarkable. Locke used the concept is something like 'idea in mind' and so concept was hard to distinguish with idea. After Kant distinguished intuitive idea and concept from the reason of the generality of concept. After modern increased the linguistic point of view in the formation of concept and the concept is solidified it's place in the topics of the logic by Mill, Bolzano and Frege. 이 논문은 서양 철학사에서 ‘개념’이라는 용어가 어떻게 형성되고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고찰한다. 서양 철학사에서 개념의 사용을 알아보기 위해 고대, 중세, 근대로 구분해 각 시기의 중요한 의미와 용법을 검토한다. 고대에서는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중심으로 개념의 등가물에 해당하는 것이 ‘개별 사물의 공통 본질’을 의미한다는 것, 그리고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이론과 논리학에서 개념이 정의를 본질로 하는 학술적 표현이라는 것이 드러난다. 개념과 언어와 관계가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에서부터이고 중세 오캄의 논리학으로 이어진다. 오캄은 개념 명사와 글말 명사, 입말 명사의 구별을 통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이론을 진척시켰고, 여기서 개념은 언어적 표현인 단어와 구별된다는 것뿐만 아니라 개념이 언어와 어떻게 관계되는지도 나타난다. 오캄의 견해에 따르면 개념은 일종의 정신적 기호이다. 언어가 이차적이고 관습적인 반면, 개념은 자연적으로, 일차적으로 정신적 상을 표기하는 기호이다. 근대에 로크의 개념에 대한 이해에서도 오캄의 영향은 두드러진다. 로크는 개념을 정신에 있는 관념과 같은 것으로 사용했고 따라서 개념과 관념은 구별하기 어려워졌다. 이후 칸트는 개념의 일반성을 이유로 직관적 관념과 개념을 구분한다. 근대 이후 개념 사용의 특징은 개념 형성에서 언어적 관점이 증가했다는 것이고, 개념이 밀, 볼차노, 프레게에 의해서 논리학의 주제로 자리가 굳어졌다는 것이다.

      • KCI등재

        ‘혐오’ 현상 아래 자리 잡은 분노의 문제: 『필경사 바틀비』를 통한 누스바움의 혐오론 검토

        이성근 서양근대철학회 2021 근대철학 Vol.17 No.-

        Today, in Korea, one of most focusing themes is the hate phenomenon. However, from a word, ‘hate’ or ‘hatred’ we can’t understand every social problems. In relation to this, Matha C. Nussbaum discusses on how the emotion of ‘disgust’ effects on humanity negatively, in her work Hiding from Humanity: Disgust, Shame, and the Law. Unfortunately, it doesn’t good help or solution for an analysis on Korean Hate problem. Since, it is because of, the ‘hate problem’ is not a matter of simple conflict, emotional relationship, but a struggle for one’s belief of what is Justice. So, the task, which it needs to make effective response, is a research treats ‘hate’ as a complex emotion like modern rationalism. Conclusively, we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complex operation structure of emotions. As far as it related to Justice, the hate appears first as a sort of ‘anger’ which it comes from social imbalance or discrimination. And but if it developed by violence facing the others, then it becomes a ‘hatred’ itself. 현재 한국 사회에서는 ‘혐오’와 관련한 여러 현상 및 그와 관련한 찬반 논의들이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혐오’라는 단어를 통해서만 이 모든 문제를 이해하고 판단하려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혐오는 정의롭지못한 상황이라는 판단, 믿음을 함께 동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누스바움의 혐오와 수치심이라는 감정에 대한 접근은 현재 한국 사회에서 제기되고 있는 ‘혐오’ 와 관련된 일련의 문제들을 분석하는 틀로 온전히 기능하기 힘들다. 이는 먼저우리가 논의하는 혐오와 누스바움이 이해하는 혐오가 서로 다른 구도에 놓여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누스바움이 근대 합리론 철학자들이 보여준 단순한감정이 아닌 복합정서로서 ‘혐오’가 움직이는 메커니즘을 법리적으로 단순화해서파악한 점도 문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 사회에서 공정성의 문제와 관련해표출되는 혐오 현상의 문제를 다루기 위해 먼저 필요한 일은 그 밑바탕에 깔린분노의 문제와 그러한 분노가 어떤 대상을 어떻게 겨냥하고 있느냐를 정확히 살피는 일이다.

      • KCI등재후보

        니체와 스피노자의 생태학적 자연관에 관한 연구 - 스피노자 자연관은 니체 생태 철학의 기원이 될 수 있는가?

        박삼열 서양근대철학회 2011 근대철학 Vol.6 No.1

        This paper, with regard to contemporary Ecological philosophy discussion, examines Spinoza’s view of nature who is often referred as a modern rationalist and what foundation his view of nature offered to Nietzsche’s Ecological philosophy. Spinoza, in the context of view of nature, argues completely different with Descartes and plays a reactional role in general flow that goes into the modern Enlightment. Spinoza’s notion of nature which shows contrasting approach with the Enlightment view of nature, can be the origin of Nietzsche’s view of nature. Both Spinoza and Nietzsche abolished teleological and dualistic view of nature and established monistic world-view that acknowledges one nature or the earth. Spinoza’s nature, or Nietzsche’s earth both (1) changes and creates without purpose oriented and intention, (2) do not accept a transcendental world other than a real one and (3) are nature with biological phenomenon, not mechanical nature. Although causationism exists as disjunction between Spinoza and Nietzsche, there seems no problem to argue that Spinoza’s view of nature plays a leading role of Nietzsche’s view of nature. The ab-initio message which these two philosophers deliver to us is the same, that a difference between them, as mentioned by Nietzsche, attributes to the distinction of time period, culture and academic condition. Therefore it is the writer’s view that the origin of the Nietzsche’s Ecological philosophy can be discovered by going upstream to Spinoza’s ecological view of nature. Yet, domestically, there has not been much research on comparing Spinoza and Nietzsche’s view of na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would initiate an active research and set the stage for the discussion on this issue. 본 논문에서는 현대의 생태 철학적 논의와 관련해서 자주 언급되고 있는 근대 합리론자인 스피노자의 자연관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의 자연관이 니체의 생태 철학에 어떤 기초를 마련해주고 있는지를 고찰한다. 스피노자는 자연관과 관련해서는 데카르트와 전혀 다른 주장을 펴면서 근대 계몽주의로 이어지는 일반적인 흐름에 대한 반동의 역할을 하고 있다. 계몽주의적인 자연관과는 반대되는 태도를 보이는 스피노자의 자연 개념은 니체의 자연관의 기원이 될 수 있다. 스피노자와 니체 모두 목적론적 자연관과 이원론적 자연관을 폐기하고, 하나의 자연 또는 대지만을 인정하는 일원론적 세계관을 정립하였다. 스피노자의 자연이나 니체의 대지 모두 (1) 지향하는 목적이나 의도가 없이 무한히 생성, 변화하고 (2) 현실 세계이외의 다른 초월적 세계를 인정하지 않으며 (3) 기계적 자연이 아닌 생물학적 현상이 있는 자연이다. 그렇다면 비록 인과 법칙의 문제가 스피노자와 니체 사이의 괴리감으로 존재하지만, 스피노자의 자연관은 니체 자연관의 선구적 역할을 담당한다고 해도 무리가 없어 보인다. 두 철학자의 차이점은 니체가 말한 것처럼 시대, 문화, 학문적 조건의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그들이 우리에게 전달하는 애초의 메시지는 같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니체 생태 철학의 기원을 스피노자의 생태학적 자연관으로 거슬러 올라가서 찾을 수 있다는 것이 필자의 관점이다. 아직 국내에서는 스피노자와 니체의 자연관을 비교하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논문을 계기로 국내에서의 스피노자와 니체 비교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담론의 장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