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9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해외답사

        정예은(Yeaeun Jung)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9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5

        2019년 1월,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는 히로시마대학과의 학술교류 및 인근의 문화적 지역재생 사례 조사를 위한 현장답사에 나섰다. 답사 대상지는 마쓰야마 시, 오노미치 시, 히로시마 시였으며 답사기간은 1월 7일부터 11일까지 4박 5일로 계획되었다.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는 글로컬(glocal) 문화 시대에 지역재생과 문화적 경쟁력에 대해 연구해왔으며 이번 답사 역시 그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세 지역의 지역발전 전략은 각기 달랐다. 마쓰야마는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인 <도련님>의 배경지로 알려져 이와 연계된 관광콘텐츠를 개발하여 문학도시의 이미지를 구축했다. 빈집재생 프로젝트로 알려진 오노미치는 유휴공간을 적극 활용한 주민주도의 지역재생에 힘쓰고 있었다. 히로시마는 원폭피해지역을 추모공원으로 조성하여 다크투어리즘을 활용하였으며 전쟁의 아픔을 평화의 이미지로 변화시키는 전략을 취했다. 본 글에서는 오노미치 시를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마쓰야마 시는 명성 높은 창작자들에게 사랑을 받은 덕분에 자연히 문화적 자원이 풍족하게 되었고 히로시마는 처음으로 원폭 피해를 입은 특수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반면 소도시인 오노미치는 산업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구 유출과 지역 낙후 등을 경험한 것이 수도권 집중으로 소멸 위기에 놓인 한국의 여러 지역들의 실정과 비슷하다. 이러한 지역의 문제에 대해 시와 주민들이 힘을 합쳐 창조적 해결방법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국내에도 많은 시사점이 될 것이다. 오노미치 시의 지역출신 사업가들이 만든 회사인 ‘디스커버링크 세토우치(Discoverlink Setouchi)’는 영리 추구만이 아닌 지역관광 활성화와 지역의 일자리 창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디스커버링크의 경영이념은 회사명처럼 지역의 매력을 ‘발견(discover)’하여 ‘연결(link)’하는 것이다. 예로부터 교역의 요충지로 번성하여 바다를 통해 일본 각지와 세계의 사람들과 연결해 온 오노미치의 역사처럼 사람과 문화를 연결하는 것이 이들의 목표이다. 이러한 유래에서 착안하여 본 글은 ‘연결(link)를 키워드로 오노미치의 창조적 자생전략을 보고하였다. In January 2019, The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of Konkuk University went to field trips for academic exchanges with Hiroshima University and investigation of nearby cultural and community revitalization cases. Matsuyama City, Onomichi City and Hiroshima City were the places to be visited. The period of the visit was planned from January 7 to 11, 4 nights and 5 days. The Research Institute of Creative Contents has been studying regional revitalization and cultural competitiveness in the glocal culture era, and this visit was also part of the study. Th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of the three regions were different. Matsuyama City was known as Soseki Natsume"s novel, “Botchan” and developed tourism contents linked to it, thus building the image of the city of literature. Onomichi City, which became famous for its “Vacant House Recreation Project”, actively used the idle space to revitalize the area. Hiroshima utilized dark tourism and took a strategy to transform the pain of war into an image of peace. This report focuses on Onomichi City. Matsuyama City is naturally rich in cultural resources thanks to its renowned creators from the region, and Hiroshima City has a special history of being subjected to atomic bomb damage for the first time. Onomichi City, on the other hand, suffered from population outflows and regional underdevelopment due to changes in the industrial structure. This is similar to the situation in many local regions in Korea, which are in danger of extinction due to the concentra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The fact that Onomichi City’s municipalities and residents have worked together to find creativ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n the region can be a suggestion for Korean regions. Discoverlink Setouchi, a company created by businessmen from Onomichi City, aims to revitalize local tourism and create local jobs, not just for profit. Management philosophy of Discoverlink is to ‘discover’ and ‘link’ local attractiveness, like company names. It is their goal to connect people and culture as the history of Onomichi, which has flourished as a hub of trade since ancient times and has been connected with people from all over Japan and the world through the sea. Based on this, the article reports Onomichi City’s creative self-sustaining strategy through the keyword ‘Link’.

      • KCI등재후보

        마카오(Macau)의 폐허, 스펙터클, 일상생활

        김소라(Kim SoRa)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7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9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는 시립대학교 아시아팝컬처팀과 협력하여 2015년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SSK) 중형과제에 선정되어 ‘글로컬(glocal) 문화와 지역발전’이란 연구 과제를 진행 중에 있다. 이에, 2017년 2월 중국 남부지역의 대학방문 및 답사를 진행하였다. 현 시대의 국가경쟁력은 단순했던 세계화(globalization)와는 달리, 다양한 지역과 도시의 문화가 혼종화를 이루고, 초국가적 문화소비와 커뮤니케이션이 나타나고 있다. 국가적 단위뿐만 아니라, 지역단위의 발전도 국가경쟁력은 물론 공동체문화에도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협의의 ‘지역’이 아닌 중층적이면서 광의적인 글로컬 단위의 지역발전에 대한 담론을 필요로 한다. 한 국가 내 지역의 헤리티지(heritage)는 글로벌 네트워크(global network)를 형성하는 문화자산이면서, 지역의 정체성(identity)과 차이(difference)를 생산한다. 이에, 국가 경쟁력 제고와 문화공동체의 발전을 위해서는 시대적 변화와 함께 글로컬 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글로컬 헤리티지(Glocal Heritage) 연구가 필요하다. 이번 대학방문과 답사는 마카오, 홍콩, 광저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세 지역은 현재 중국 남부 해안에 위치하며, 일찍이 개항을 통해 서양과 교류가 있어왔다. 특히, 마카오는 포르투칼, 홍콩은 영국에 의해 지배를 받았다. 두 지역은 동양의 문화권에 있으면서도 서양의 문화가 혼합되어, 독특한 경관과 문화를 만들어 냈다. 본 글에서는 마카오 답사를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3일간의 짧은 마카오 탐방이었으나, 마카오(Macau)는 헤리티지를 간직한 마카오 반도, 현대적 건물과 문화소비 중심지인 코타이(Cotai) 그리고 원주민의 문화를 간직한 타이파(Taipa)와 콜로안(Coloane) 지역에서 서로 다른 경관과 혼종화된 문화를 느낄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글로컬 문화의 개념과 한류

        장원호(Jang, Wonho),송정은(Song, Jung Eu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6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8

        본 연구는 글로컬 문화의 개념을 바탕으로 한류의 발전과정과 방향성을 논의한다. 글로컬 문화는 세계적 그리고 지역적 콘텍스트의 상호작용에서 생성된 결과이자 초국적으로 소비된다. 한류와 글로컬 문화의 관계를 고려하면서, 본 연구는 한류에 나타나는 한국사회 내에 세계화의 영향력, 한국의 사회문화적 특성, 혼종적 결과물, 그리고 한류의 초국적 소비를 설명할 것이다. 한류를 소비하는 해외 수용국가들은 한류를 소비하는데 그치지 않고, 현지의 정서에 맞게 재해석하면서 새로운 형식과 스타일의 문화상품을 생산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한류 팬들로 구성된 문화적 공동체들의 활동을 소개한다. 한류의 글로컬 문화화는 한류 수용국가에서 새로운 팝문화 상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나타난다. 다양한 문화 속의 한류 팬들의 문화적 보편성, 정체성, 그리고 취향을 공유하는 것은 초국적 문화적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하며 나아가 상호적 이해와 협력을 이끄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This paper regards the Korean Wave as an exemplary glocal culture and discusses the concept of glocal culture. Glocal culture contains a mixture of global and local contexts and is in turn transnationally consumed. By considering the Korean Wave as an exemplary glocal culture, the paper shows global impacts, local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hybrid features, and transnational consumption of the Korean Wave. The local countries consuming the Korean Wave respond to globalization by creating new forms and styles of glocal cultures through local re-interpretations of the Korean Wave. In addition, the paper introduces the activities of the local K-pop fans as evidences of cultural communities. The glocalizing dynamics of the Korean Wave can be seen in the process of consumption and the creation of new pop culture in the countries that consume the Korean Wave. With the cases of glocalization of the Korean Wave, this study intends to consider the Korean Wave as a way to build 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the Korean Wave receivers. It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creation of transnational cultural communities where people among different countries share cultural universals, identities and tastes based on the Korean Wave, and further develop two-way communication,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 KCI등재

        혁신적 포용 국가가 필요로 하는 문화정책에 대한 시론(試論)적 논의 - 장애인 문화예술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

        안채린(An, Chairi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0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0

        문재인 정부가 제시한 <혁신적 포용 국가> 건설을 위해 필요한 ‘포용적 문화정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포용적 문화정책’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향성과 내용을 가져야 하는지는 아직 충분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것 같다. 본 연구는 혁신적 포용 국가를 위해 필요한 ‘포용적 문화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성에 대한 시론적 논의로서 먼저 <혁신적 포용 국가>의 개념을 정의하고, 국내에서 ‘포용적 예술’과 연관된 논의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어 온 장애인 문화예술지원 분야를 중심으로 살펴보며 관련 분야 정책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문화정책에 있어 ‘포용’과 ‘다양성’, ‘형평성’, ‘평등’ 등의 개념을 보다 빠르게 활용해온 영국과 미국, 호주의 장애인 및 소수인종 문화예술지원 정책 사례를 살펴보며 <혁신적 포용 국가> 건설을 위해 보완되어야 할 소외계층 예술인들을 위한 정책적 지원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선진국의 장애인 및 소수인종 예술가들을 위한 국가 주도의 지원은 단순히 창작의 기회를 열어주거나 문화예술향유의 기회를 늘려주는 것에 그치지 않고, 예술인들의 실질적인 커리어 성장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정책적 시도가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관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국가적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는 ‘포용’적 문화정책의 일환으로서 장애인 및 소외계층 예술가들의 리더십 및 커리어 성장을 돕는 국내의 정책적 장치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A discussion of ‘inclusive cultural policy’ supporting the inclusive & innovative growth presented by the president Moon Jae-in is becoming more crucial. However, it seems that there has yet to be sufficient agreement on what direction and content the “inclusive cultural policy” should have in detail. This study is a preliminary discussion on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inclusive cultural policy” needed for an inclusive-innovative country. First, the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inclusive and innovative country’ and looked around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support for the disabled, which has been the most active discussion related to “inclusive art” to date,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policies in related fields. The study then looked at examples of policies to support the disabled and minorities in Britai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where have been using concepts such as inclusion, diversity, equity, and equality in cultural policies much earlier, and looked at the contents of policy support for underprivileged artists who should be supplemented for the construction of an ‘inclusive-innovative’ nation. The study found that state-led support for disabled and minority artists in developed countries did not merely open up opportunities for creation or increase opportunities for enjoying culture and arts, but continued various policy attempts to help artists grow their career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e current study highlighted the need for policy devices to help disabled and underprivileged artists grow their leadership and careers as part of an ‘inclusive’ cultural policy that could lead to national innovation.

      • KCI등재

        책문화생태계 관점에서의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 비교 연구

        정윤희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9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5

        책문화란 책이 생산(출판)되고 축적(도서관)되며 소비되는(독서) 다양한 활동들이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가치에 영향을 주며, 결국 한 국가의 문화경쟁력을 높이는 일이다. 특히 책문화의 주체, 정책, 사회 분위기 등 다양한 환경적 요소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책문화가 성장하거나 정체하거나 소멸한다. 따라서 도서관정책, 독서정책, 출판정책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건강한 책문화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도록 해야 한다. 책문화생태계를 건강하게 만드는 관점에서의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관련 정책환경으로 좁혀 책문화생태계 관점에서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기초 비교분석을 통하여 정책의 지속적인발전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은 모두 책문화를바탕으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책이 생산되고(출판), 축적되며(도서관), 소비되는(독서) 점에서 정책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밖에 없는 관계성을 가지고 있기때문 본 연구는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주제는 ‘책문화생태계 관점에서의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비교 연구’이다.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수립 기반이 된 법률 제정 시기와 특징, 각 정책의 장기정책인 5개년 계획의 내용과 특징, 각 정책 소관 부처의 내용과 특징을 살펴본다. 본 연구를 위하여 책문화생태계 관점에서 이론적 고찰을 하였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우리나라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역사와 각 정책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책문화생태계 관점에서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상생 방안 제언이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역사는 1990년 문화부가 신설된 이래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으며, 법률 제정 시기와 5년마다 수립하는 장기정책의 수립 시점과 추진 일정도 달랐다. 또한 출판 ‧ 도서관 ‧ 독서정책을 통합 추진하는 조직 기능이 없기 때문에 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의 유기적인 연결성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세 가지 방안을 제언한다. 첫째, 정책 수립 초기부터 책문화 정책협력시스템 구축해야 한다. 둘째, 정책추진 과정 시 장단기 상호보완평가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장기적 관점에서출판정책, 도서관정책, 독서정책이 통합적으로 수립 ‧ 조율 ‧ 시행하는 책문화정책콘트롤 타워 조직이 필요하다. 넷째, 지방정부가 책문화를 주도하고 중앙정부는 어시스트하는 ‘지역주도 ‧ 중앙지원’ 방향의 정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책문화 정책들의 다양하고 깊이 있는 분석 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책문화생태계가실현되기를 바란다. Book culture is the process by which books are produced (published), accumulated (library), consumed (reading), and various activities influence and enhance economic, cultural and social values. Especiall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key stakeholders, policy, and social atmosphere of book culture influence each other and the book culture grows, stagnates or disappears. Therefore, library policy, reading policy, and publishing policy should be linked closely and a healthy book culture should continue to grow. In order to make the book culture ecosystem healthier, various researches are needed. However, this study narrows down to the related policy environment and suggests continuous development of policy by comparing basics of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from the viewpoint of book culture ecosystem. There is a commonality that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are all based on book culture, an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there should be a relationship in the policies that the book is produced (published), accumulated (library), consumed (read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studying on publishing, library, reading policies analysis in book cultural ecosystem’.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five-year plan, the long-term plan of each policy, an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olicy department are examin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heoretical review was made from the viewpoint of the book culture ecosystem, and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tudy focuses were; First, what is the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book culture ecosystem, it is a suggestion for win-win system of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As a result, the history of Korean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began to be discussed in earnest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Culture in 1990, and the timing related laws and the timing of establishing the long-term policy to be established every five years were also different.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the organic connectivity of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because there is no organization function to review and integrate these three policies togeth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ree suggestions are formulated. First, we need to build a system to cooperate with book culture policies from the beginning of policy mak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build a system of mutually complementary evaluation for short and long term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Third,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book culture policy control tower in which publishing, library, and reading policies are integrally established, coordinated, and implemented. Fourth, local governments should lead the book culture, and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make policies that support ‘regional leadership and central assistance’. From this study, we hope to realize a sustainable book culture ecosystem through diverse and in-depth analysis of book culture policies.

      • KCI등재

        영화 <해리포터> 시리즈 사례로 살펴본 문화콘텐츠 브랜드 마케팅 전략

        한순호(Han, Soon Ho)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5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5

        오늘날 지식과 정보의 창출 및 활용이 모든 경제활동의 핵심이 되는 지식기반 경제로 접어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창의성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콘텐츠산업은 21세기의 새로운 유망산업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문화콘텐츠상품에 대한 마케팅의 중요성도 점차 커지고 있다. 문화콘텐츠상품의 경우 일반상품과는 달리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지 못할뿐더러 소비자가 상품의 품질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는 상품이기 때문에 소비자선택 시 ‘리스크 회피’ 의식이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 또한 다양한 문화콘텐츠상품이 시장에 넘쳐남에 따라 경쟁이 치열해지고, 소비자들은 상품선택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그리고 문화콘텐츠 상품은 일반상품에 비해 라이프 사이클이 짧아지기 때문에 초기 마케팅 비용이 늘어나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콘텐츠상품에 있어서도 일반제품과 마찬가지로 브랜드가 갖는 중요성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문화콘텐츠 브랜드가 된 영화 <해리포터>의 예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영화 <해리포터> 시리즈는 전 세계적으로 77억 달러 (한화 8조 4천 7백만원)의 흥행 수입을 올렸고, 국내에서는 2612만 명의 관객을 동원했다. 그리고 OSMU 전략에 따라 게임, 머천다이징, 테마공원 등으로 확산, 엄청난 경제적 효과를 가져왔다. 본고의 목적은 영화 <해리포터> 시리즈를 통해서 브랜드 마케팅이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문화콘텐츠상품의 브랜드 마케팅에 시사점을 제시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영화 <해리포터> 시리즈의 브랜드 마케팅 전략을 분석하기 위해 브랜드 마케팅 실현단계를 중심으로 해리포터의 브랜드 가치, 브랜드 심벌 구축 및 통합적인 브랜드 액션을 통한 제작, 크리에이티브, 홍보, 온라인, 프로모션 및 배급 전략 등을 분석하였다. 영화 <해리포터>의 브랜드 마케팅을 통해 첫째, 소설 속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심벌들을 로고, 칼라, 슬로건, 상징을 이용해 브랜드 심벌의 성공적인 구축을 하였으며, 둘째, 영화와 원작의 일관성 유지로 충성도 있는 고객의 형성하였고, 셋째, 인터넷을 활용한 소비자와의 성공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입소문을 적극 활용할 수 있었다, 그리고 AOL 타임워너사의 전체 조직을 이용한 통합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Today’s economy is a knowledge-based economy that creation and utiliza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become the core of all economic activities. Under new economy, culture industry based on creativity is emerging as a new industry with great prospects and as it grows, the marketing of culture contents products is getting more important than before. Unlike general product, as culture contents product is not uniform in quality and its quality can not be evaluated correctly, customer has strong intention to avoid risk. The overflow of various contents products in the market and tough competition make customer difficult to choose product. The life cycle of contents product is much shorter than that of general products and initial marketing cost is increasing. With above reasons, the importance of brand on contents product is getting bigger. Under this situation, the case of movie 〈Harry Potter〉 that becomes internationally beloved culture contents brand has great implications. Movie 〈Harry Potter〉 series gathered 7.7 billion dollar boxoffice internationally and recorded 26 mil admissions in Korea. As an OSMU strategy, game, merchandising and theme park brought huge economic effe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culture contents brand marketing by movie 〈Harry Potter〉 series. To analyze brand marketing strategy of movie 〈Harry Potter〉 series, brand marketing action has been used for the study. This study analyzed brand value of Harry Potter, brand symbol build-up and the marketing strategy of creative, publicity, promotion, online activity and distribution. As a result of study, the brand marketing of movie <Harry Potter> series shows 1) successful brand symbol build-up by logo, color, slogan and other symbols, 2) creating loyal customer by making consistent adoption of novel with movie, 3)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customer by internet, 4) integrated brand marketing strategy of AOL Time Warner.

      • KCI등재

        문화산업 정책의 변동에 관한 소고

        김기현(Kim, Kee Hyu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2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

        창의성 기반의 창조경제(Creative Economy)시대에 문화산업이 핵심 성장동력으로서 국가 경제 발전에 있어 그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정책환경 변화에 맞추어 문화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새로운 정책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들은 우리나라 문화산업 정책에 대해 진단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정책방향에 대해 논의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민정부이후 문화산업 정책환경의 변화에 따른 문화산업 진흥정책의 변동 과정 및 성과를 살펴보고, 정책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데 필요한 정책 목표를 어떻게 설정하며 또 대략적인 정책과제를 어떤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짚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정부는 우리문화의 산업화와 세계화하고 문화산업을 전략산업화 · 성장 동력화 한다는 정책목표로 제시하고 문화산업 정책을 통하여 문화산업의 외연적 성장과 국제경쟁력 강화에 기여해 왔다. 또한, 기술진화 및 경제적 · 정치적 · 문화적 환경 등 급격한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정부는 문화산업 정책체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정책을 통하여 문화산업이 성장을 한 것으로 파악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정부주도적인 정책입안과 집행이 이어지고 있고 정부가 문화산업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선정하여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성장 동력으로 기능케 하기 위한 각종 지원정책을 수립?집행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문화적 요소와의 연계성이 미흡하고, 지원예산규모도 미미하며, 지원체계 등 정책수단도 정부 부처 간 중첩 되어 정책 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정부의 정책목표와 정책과제 및 정책수단 등의 사업계획을 수립할 시 정책체계를 재정립하고, 정책효과를 제고할 수 있도록 사회문화적 가치 등을 고려한 지원정책을 시행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했다. As it can be said that the cultural industry is becoming an impetus in Creative Econom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ltural industry policies and identify their problems and improvement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and performances of the cultural industry promotion policies from Kim Youngsam’s presidency regarding to the changes of the environment in the cultural industry policies. Also,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practitioners to formulate proper policies and supporting projects in response to such changes by refering to the cases of other countries. From Kim Youngsam’s presidency, the cultural industry on policies under the purpose of industrialization, globalization, and strategy industrialization have contributed to the external growth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it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framework of the cultural industry promotion policies, developing the cultural industry remarkably despite diverse challenges in policies caused by the rapid changes of industrial surroundings according to globalization and technological progress. However, in the previous cultural industry promotion policies, the government regarded the cultural industry as a growth engine and its promotion policies as supporting projects, achieving success in a short period of time. Accordingly, the government prioritized industrial factors lacking the linkage with cultural factors. As a result, it hinders the policies from being systematic and effective methods of industry promotion. Moreover, decentralized and inefficient supporting projects are not agile to respond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which tends to alter rapidl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when making purposes, instruments, and issues of the cultural industry promotion policies, it is essential for the government to reestablish policy frameworks. Also, the results imply that supporting projects should consider socio-cultural values to improve the effect of the policies.

      • KCI등재후보

        문화 버라이어티 KBS ‘1박2일’ 성격 분석

        김관섭(Kim, Kwan Seob)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8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2

        이 연구는 방송콘텐츠와 인문학의 관계에 대한 논의, 방송미디어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됐다. 이 연구는 방송콘텐츠, 문화소재, 문화 버라이어티 개념의 논리적 확립과 방송콘텐츠 예능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방송소재로써의 문화소재 적용 방법론 제시를 목적으로 했다. KBS 해피선데이 ‘1박2일’은 대한민국 방방곡곡을 출연자들이 여행하면서 겪는 에피소드로 구성된다. 이 연구의 시각에서 ‘대한민국 방방곡곡’은 문화유산이 소재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 된다. 실제로 ‘1박2일’은 10년 동안 문화소재의 수용에 있어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이 연구에서의 항목별 분석을 통해 ‘문화 버라이어티’ 개념 설정의 근거가 된다. 그리고 ‘문화 버라이어티’ 제작 표준 설정에 기준으로 작동한다. ‘1박2일’ 10년이 이 연구의 주된 대상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KBS 1박2일의 10년’의 양상과 특성을 분석해, 방송콘텐츠 예능장르에서의 ‘문화 버라이어티’의 개념 설정과 방향성을 탐구하고, ‘문화 버라이어티’의 가능성을 통한 의미와 가치를 제시해 ‘문화 버라이어티’의 표준을 정립하는 것이다. 인문학의 구체적 결과물로써, 방송콘텐츠의 내용물로써 문화소재는 적극 수용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방송미디어를 창구로 인문학은 대중과 소통해야 한다. 방송콘텐츠 홍수 속에 인문학의 역할이 대두되고 있는 시대에 어떠한 문화소재를 어떻게 방송콘텐츠에 수용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하다. 방송콘텐츠 제작방법론 정립과 더불어 인문학에서의 방송소재에 대한 연구와 비평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그 해답을 구해가는 과정이다. 맥락의 중심에 문화소재가 있고, 문화콘텐츠가 있고, 방송콘텐츠가 있다. 세 가지 개념을 통해 KBS ‘1박2일’ 10년의 양상과 특성을 분석․비평하고 ‘문화 버라이어티’로서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것은 방송콘텐츠의 공공재로서의 가치실현과 소재개발의 다양성을 담보하는 것이기도 하다. 문화소재 수용 ‘문화 버라이어티’ 개념 정립과 ‘문화 버라이어티’ 제작표준 설정은 문화콘텐츠학과 방송콘텐츠 현장이 상호작용하며 양립하는 소통의 방안이다. The study began with a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casting content and humanities, and on the social function of broadcasting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oncept of broadcasting contents, culture materials, and culture variety logically and to present the method of applying cultural materials as broadcasting material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broadcasting contents entertainment program. KBS Happy Sunday ‘One night two days(1박2일)’ consists of episodes that performers experience travelling through all over the coun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study, ‘every corner of Korea’ means that cultural heritage can work as a material. Actually, ‘One night two days’ showed the possibility of acceptance of cultural material for 10 years, and became the basis of setting up the concept of ‘culture variety’ through analysis by items. It also works as the criteria in setting up the standard of ‘culture variety’ production. This is why 10 years of ‘One night two days’ are the main target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ualization and direction of ‘culture variety’ in broadcasting contents entertainment genre by analyzing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10 years of KBS One night two days’, and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culture variety" by presenting the meaning and value through the possibility of ‘culture variety’. Cultural materials should be actively accepted as broadcasting contents and as a concrete result of humanities. In conclusion, humanities should communicate with the public through the window of broadcast media. It is very important how to accept what kind of cultural material in broadcasting contents in the era where the role of humanities is emerging in the flood of broadcasting contents.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research and criticize the broadcasting materials in humanities, together with establishing the method of producing broadcasting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the process of seeking the answer. At the center of context, there are cultural materials, cultural contents, and broadcasting contents.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10 years of KBS ‘One night two days’ were analyzed and criticized through the three concepts, attempting to present the direction as ‘cultural variety’. It is also to realize the value of broadcasting contents as public goods, and to guarantee the diversity of material development.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culture variety’ that accepts cultural materials, and setting up the criteria of producing ‘culture variety’ are a measure of communication in which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broadcasting contents field are interacted and compatible.

      • 복고문화콘텐츠로서 TV 예능 프로그램의 기획 방향 연구

        강지원(Kang, Ji Wone)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5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6

        문화경험이 중요한 가치로 작용되는 문화콘텐츠 기반 경제와 체험 경제 시대가 도래 함에 따라, 향수와 추억이 담긴 이야기인 복고문화콘텐츠가 새로운 소비문화 상품으로 등장했다. 복고문화콘텐츠를 통한 복고 열풍은 영화, 드라마의 성공을 시작으로 예능 프로그램을 통해 폭발적으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양적증가에 비해 복고문화콘텐츠와 관련한 학술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복고와 복고문화, 복고문화콘텐츠의 개념도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복고문화콘텐츠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복고를 소재로 한 TV 예능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어떻게 구성 되었는가와 복고문화 콘텐츠로서의 특징을 갖추고 있는지 고찰한다. TV 예능 프로그램의 복고 소재 활용은 과거 예능 리메이크, 과거 모습 재현무대 제공, 음악과 토크를 결합한 리얼 버라이어티, 추억의 인물 현실화 유형으로 나뉜다. 이에 따라 복고문화콘텐츠는 세대 간 소통, 감성적 경험, 콘텐츠 지속성의 특징을 지닌다. 복고를 소재로 한 TV 예능 프로그램은 복고문화콘텐츠로서의 특징과 TV예능프로그램 구성이 유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기획해야 한다. 그러면 프로그램과 소재로 활용된 과거 문화․문화콘텐츠에 대한 애착과 신뢰도가 생성되며 지속적인 인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결과적으로 복고문화콘텐츠로서 TV 예능 프로그램은 상품 주기가 빠른 문화콘텐츠시장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s the era of content based economy & experience economy that emphasis value of cultural experience has come, retro culture contents that contained nostalgia and memories have appeared as new product. retro culture contents had started from movie and drama, developed as entertainment show form, make retro fever. Though quantitative expansion of retro culture contents, any academic approach haven’t done. Concept of retro, retro culture and retro culture contents not established neither. On this study, analyze TV entertainment show that take retro as material, 2. build theoretical framework, 3. characterize retro culture contents. TV entertainment show that take retro as material categorize 1. remake old entertainment show, 2. represent past stage, 3. real-variety show that combined music and talk, 4. retrospect of Persona Materialization, retro culture contents make generational dialogue, emotional experience and contents sustaining power. TV entertainment show that take retro as material should connect character of retro cultur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entertain program. Then, audience get attachment and trust to the program and the material. Go further, the program can be last longer. Considering culture contents market’s short product cycle, TV entertainment show that take retro as material can lead market.

      • KCI등재

        일대일로 전략하에서 중국 미식 다큐멘터리의 전파 - <혀끝으로 보는 중국>과 <풍미 인간>을 중심으로 -

        모성(Mao, Sheng),김기덕(Kim, Ki Duk)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0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0

        일대일로는 실크로드 연선에 있는 국가의 공동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으로, 문화의 전파와 발전은 일대일로 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다큐멘터리는 세계 각국이 교류하고 소통하는 방식으로 민족과 국가의 문화적 가치를 잘 담아 민족문화를 전파하는 이상적인 전파 방식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혀끝으로 보는 중국>과 <풍미 인간>은 최근 몇 년간 중국의 대표적인 인기 미식 다큐멘터리이다. 이 다큐멘터리들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가까운 음식과 인문 감정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이들은 중국에서뿐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며 중국 음식과 중국 문화를 알리는 데 성공했다. 이 다큐멘터리들이 중화 문화의 전파만을 위해서 제작한 작품은 아니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들은 중국에서뿐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큰 반향을 일으키며 중국 음식과 중국 문화를 알리는 데에 성공했다. 이 논문은 <혀끝으로 보는 중국>과 <풍미 인간>의 두 편의 인기 있는 미식 다큐멘터리의 비교분석과 이들 프로그램의 성공 원인을 추출하였다. 생활화된 주제의 선택, 미식과 이야기가 결합된 서사 수법, 시각화 촬영과 편집 기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끝으로 이러한 분석을 통해, 미식 다큐멘터리의 전파와 발전방향을 민족성과 세계적 결합의 선택, 뉴미디어에 의한 다원적 전파, 일대일로 다큐멘터리 브랜드화 지향의 세가지로 제시하였다. On the Belt and Road Strategy basis, the propagation and development of culture is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the Belt and Road strategy as a measure to promote the joint development of the country in the Silk Road coalition. Documentaries are becoming an ideal way to spread national culture by capturing national and national cultural values in a way that countries around the world exchange and communicate. With its unique charm 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the most popular documentary type. <A Bite of China> and <Once Upon a Bite> are some of China’s most popular gastronomic documentaries in recent years. These documentaries have become very popular for food and humanities feelings that are close to our daily lives. They have succeeded in promoting Chinese food and Chinese culture, creating a sensation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many countries. These documentaries were not produced solely for the spread of Chinese culture. The global spread of these two documentaries, which achieved great success by raising sympathy for the Chinese food culture, is coincidental. And with the promotion of the media, gastronomic documentaries have spread a lot to other countries. <Once Upon a Bite>can appeal more to audiences in other countries as the content and filming style with a global perspective is relatively expanded than that of the <A Bite of China>series. Through two popular gastronomic documentaries, <A Bite of China> and <Once Upon a Bite> the paper analyzes why gourmet genre documentaries are so popular and the direction in which gourmet documentaries are widely spread under the Belt and Road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