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 및 문화상품 개발

        김진경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4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6 No.-

        21세기 K-컬처가 전 세계적으로 각광 받는 시점에 한국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지닌 디자인 문화상품은 한국 문화를 알리는 데 큰 영향력을 전파하고 있다.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은 한국적 미감을 지닌 아이디어가 구체화되고 생산, 유통, 서 비스 과정을 통해 실제 상품으로 출시한다. 본 연구는 한국적 가치가 담긴 우수한 문화상품 발굴의 중요성 및 K-디자인 아이덴티티가 분명한 문화상품 활성화에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 목적에 맞게 문헌연구, 사례분석, K-디자인 문화상품 개발 순으로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K-디자인에 기반한 문화상품의 아이덴티티는 정체성, 독창성, 연상성, 역사성의 네 가지 특성으로 도출하였으며 이 후 2022년-2020년의 대한민국 관광기념품공모전에 당선한 문화상품을 선정하여 사례 분 석하였다. 사례분석을 토대로 실제 K-디자인 문화상품 4종을 개발하여 아이덴티티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K- 디자인에 기반한 아이덴티티 전략으로는 한국문화를 대표하는 정체성, 한국문화를 연상하는 연상성, 한국문화의 역사를 반 영한 역사성, 한국문화와 연계한 차별화된 독창성이다. 한국문화의 고유성을 오래도록 기억할 수 있는 디자인 요소의 아이 덴티티를 연구하여야 하며 아이디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K-디자인 전략을 세운 후 실제 제품에 적용하여 상품화 해야 함을 시사한다. 상품 기획을 도출하고 실제 상품으로 출시하는 과정에서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바르게 세워 이미지를 통합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화상품은 향후 실질적 상품화를 통하여 한국문화를 알리는 아이덴티티 전략 확보를 목표로 하며 후속 연구를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K-디자인 전략은 세계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력 있는 자원이며 국가 위상을 높일 수 있는 활동이다. 본 연구로 인하여 한국의 고유한 전통과 문화적 가 치를 지닌 경쟁력있는 디자인 문화상품 발굴과 발전에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At a time when 21st-century K-culture is gaining global recognition, Korean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a unique Korean identity are spreading significant influence in promoting Korean culture. These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are being developed by concretizing ideas imbued with Korean aesthetics,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services, culminating in the release of actual products. This study aim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iscovering outstanding cultural products with Korean values and to activate cultural products with a clear K-design identity. To achieve this goal, the research proceeded in the following sequenc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the development of K-design 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identity of cultural products based on K-design was derived with four characteristics: identity, originality, association, and historical context. Subsequently,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cultural products that had won awards in the Republic of Korea's tourism souvenir competition Between 2022 and 2020. Based on the case analysis, four actual K-design cultural products were developed and the validity of their identity was verified. In conclusion, the identity strategy based on K-design includes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evoking associations with Korean culture, reflecting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and showcasing distinctive originality linked to Korean culture. Research on the identity of design elements that can help preserve the uniqueness of Korean culture for a long time is necessary. After establishing a K-design strategy that reinterprets ideas in a contemporary context, it is important to apply it to actual products for commercialization.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ccurately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process of deriving product planning and releasing actual products. we intend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rough subsequent research.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competitive design cultural products with Korea's unique traditions and cultural values.

      • KCI등재

        문화상품 선호도에 따른 기업 브랜드 선호도와 충성도에 관한 연구

        김혜란 한국상품학회 2023 商品學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외국인들의 한국의 다양한 문화상품들에 대한 선호도가 한국의 기업 브랜드 선호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영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테스트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수집된 온라인 설문 응답들은 총 142부였고 이를 SPSS 등을 사용하여 관계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한국 문화상품들 중 가장 활발한 세계시장 진출을 하고 있는 문화상품으로 영화, 드라마, 음식, 가요를 선정하였고, 이들에 대한 선호도가 한국의 기업 브랜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한국 기업 브랜드 선호도가 한국 기업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보고 추가적으로 소비자의 성별에 따른 문화상품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해 보았다. 검증결과, 첫째, 문화상품 선호도는 연구모델과 같이 전체 4개의 요인으로 도출되었고 한국문화상품에 대한 영국소비자들의 선호도는 한국기업브랜드에 대한 선호도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영향력이 강한 것은 한국가요에 대한 선호도로, 한국기업 브랜드 선호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쳤다. 한국기업브랜드에 대한 선호도는 구매의향 등을 포함한 브랜드 충성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남녀 소비자간 문화상품에 대한 선호도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의 문화상품들이 한국기업에 가져다 줄 수 있는 경제적 영향력을 아시아권이 아닌 서양문화권에서 확인한 연구로, 단순히 상품의 수준을 넘어 문화상품의 의미가 국가 경제에유의미한 파급효과를 이끌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하겠다. 궁극적으로 문화상품은 국가브랜드 이미지 향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 국가, 문화, 기업의 상호간 협업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기여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복잡성, 지식격차, 그리고 독점적 경쟁: 구조화상품 공모시장 분석

        유원석 ( Won Suk Liu ),최영민 ( Young Min Choi ) 한국파생상품학회(구 한국선물학회) 2013 선물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독점적 경쟁모형을 통해서 구조화상품 시장을 모형화하여 상품의 복잡성이 일반투자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실제 발행된 주가연계증권에 대한 분석결과를 통해서 모형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연구결과에 따르면 상품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식격차(knowledge asymmetry)가 발행자들이 복잡한 상품을 개발하는 중요한 유인이며, 복잡한 상품에 대한 투자자의 수요가 큰 경우에 발행자들이 상품의 복잡성을 증가시켜 초과이윤을 획득하고자 하는 유인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품의 복잡성으로 인해 구조화상품 시장의 분배 효율성이 저하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국내 주가연계증권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상품의 복잡성이 증가할 때 판매가격은 단조증가하나 발행량은 비단조적인 J-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에 따르면 이는 지식격차가 복잡성에 대한 지수함수 형태일 때 관찰되는 결과로, 향후 구조화상품 시장이 보다 복잡한 상품을 중심으로 발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paper introduces a monopolistic competition model containing retail investors with imperfect knowledge and issuers offering complex structured products. The model, for which we provide empirical evidences supporting the issuer`s profiteering by increasing the product complexity, can explain that knowledge asymmetry is the key for the issuer to offer complex product and to enjoy the higher excess profit, thus worsening allocative efficiency. Our empirical analysis reports monotonically increasing mark-up premia, and J-shaped issue amounts with respect to complexity: the former result could be explained in a rational framework considering issuer costs, however, the latter is not the case. Our model proves the empirical results are well explained when knowledge asymmetry between issuer and investors is a strictly increasing convex function of complexity.

      • KCI등재

        몽골 울란바토르 도시 랜드마크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간체첵 ( Ganzurkh Gantsetseg ),윤수인 ( Yoon Su In ),박혜신 ( Park Hae Shi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4 No.-

        최근 몽골 관광객이 늘어나고 있으며 문화상품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토르 도시의 정체성을 담은 랜드마크를 활용한 문화상품을 개발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에서 랜드마크와 문화상품의 정의하고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첫째, 몽골 문화상품 중심으로 한 연구는 미비하였으며, 둘째, 몽골 문화상품의 종류는 주로 문방 소품, 장식품, 패션액세서리들이 주를 이루었고, 부엌 소품, 생활 소품 같은 경우에는 사례가 미비하였다. 그러나 한국 문화상품은 부엌 및 생활소품을 포함한 사례와 종류가 다양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작품 제작은 설문조사를 통해 울란바토르 랜드마크 2개를 도출하여 트렌드 및 컬러를 반영하였고, 선행연구에서 국내에 가장 많은 문화상품사례 종류인 문방 소품과 생활 소품을 선택하여 2세트의 디자인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상징성이나, 인지도 등에 적합한 몽골 울란바토르의 랜드마크를 수집 할 수 있었고, 이국적 정서를 그리워하는 국내인들을 위한 디자인 시안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어질 후속 연구에서는 디자인 시안으로 제시된 것들이 실제 시제품으로 제작되어 소비자조사를 통한 발전 발향이 논의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가 몽골을 소재로 디자인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선행연구로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cently, the number of tourists to Mongolia is increasing and awareness of the need for cultural products are also increasing. In this study, it is aimed to develop Mongolian cultural products by using landmarks those represent the identity of Ulaanbaatar, the capital city of Mongolia. First of all, after defining landmarks and cultural products i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analyzing previous studies, first, there were insufficient studies made on Mongolian cultural products. Second, the main cultural products of Mongolia were only stationery items, decorations, and fashion accessories however kitchen and lifestyle items were limited. Whereas Korean cultural products have various typ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kitchen and lifestyle products. Furthermore, two sets of design have developed on two landmarks of Ulaanbaatar which were selected through a survey, reflected trends and colors, and products are stationery and lifestyle items which are most common types of cultural products in Korea identified by the previous studies. Through this study, it was able to collect landmarks of Ulaanbaatar, Mongolia and learn about symbolism and significance of each landmark and could derive various designs for those who are missing spirit of Mongolia. During follow up study, we hope that draft designs will be produced in prototypes in a market and developed through consumer surveys, helpful for researchers who are studying design about Mongolia.

      • KCI등재

        사용자 중심의 현대 문화 상품의 지역성 특징에 관한 연구

        포내퐁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2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1 No.-

        문화 소비의 고도화와 사용자의 요구가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대적 배경에서 "사용자 중심"의 제품 디자인의 원칙 적용은기초적 진행에 중요한 기반이 된다. 사용자와 문화 체험에서 문화 상품 수요의 특성상 지역별 시각에서 문화 상품의 분석설계와 판매의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는 환경이 요청된다. 본문의 연구에 실증적 참고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의 지역적 특징과 문화 상품 설계의 방식, 척도 및 융합의 미에 연구를 전개한다. 지역 문화 상품 설계는 대상 사용자의경험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는 디자인 원칙과 과학적 통계 방법을 사용한다. 이 연구는 대상 사용자의 문화 경험 요구를수집해야 한다는 설계 포지셔닝(Positing) 원칙을 확정했다. '사용자 중심'을 전제로 대상 사용자의 문화 경험 요구에 따라디자인의 다양한 단계에서 효과적인 디자인 방법을 사용하여 문화 상품을 디자인하는 전략을 결정한다. 대상 사용자의 문화적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표로 지역 문화와 문화 상품을 디자인으로 소통해야 한다. 문화 상품 디자인은 이미지를통합 및 변형하고 문화 상품의 문화적 차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한다. 사용자의 소비 행동을 제고하는 것이 현대 문화 상품의 가치와 의의이다. 본고의 연구 성과는 현대 문화 상품의 디자인과 지역 문화의 전승과 발전에 새로운 사고방식과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자수를 이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김명준,김현욱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28 No.-

        Cultural Goods is a complex creating economical added value combining country's cultural and historical element with aesthetic element and industrial technology. Cultural Goods is not only a high value creative industry, but also a knowledge-creative industry creating new value combining country's own cultural identity and uniqueness to the world. Therefore it's a twenty-first century's promising growth requiring cutting edge software technology and high-degree cultural creative ability than any other industries. Korea has a high level in national governmental cognition to cultural goods, but establishing foundation to private capital's inflow and fostering of conciliation is insufficient. Product developments are being also promoted in the stage of imitating western items, and new-product development in financial-centrical aspect is very short due to product development focusing on handicrafted similar works of art, regional local products, tourism souvenirs.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is our valuable cultural heritage projecting our thought and aesthetic consciousness. Without being industrialized with differentiated culture, it could be lost without counteracting to international competitive period. We have to develop our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as Cultural Goods fit to our period like ceramics of China and England, wooden lacquerware of Japan, etc.So we have to study Korean Traditional Embroidery can be produced and developed as globally excellent Cultural Goods 문화상품이란 자국의 문화·역사적 요소 및 자원에 현재의 시대적 조건에 맞는 심미적 요소와 첨단 산업기술을 복합적으로 투입하여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복합체를 말한다. 동시에 문화상품은 한 나라의 문화가 총체적으로 응집된 상품을 뜻하며, 고부가가치 창조형 산업이면서 자국 문화의 고유성 및 특성을 세계의 보편문화와 조화롭게 결합시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제작자의 전문성 및 창의력이 상품경쟁력을 결정하는 주요변수로 작용하는 지식창조형 산업이다. 따라서 그 어느 산업보다 첨단 소프트웨어 기술 및 고도의 문화 창조능력이 요구되는 21세기 유망 성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문화상품에 대해 국가정부 차원에서의 인식 수준은 높으나 민간 자본의 유입과 협력관계를 조성하는데 필요한 기반 구축은 미흡하다. 또한 서구의 상품 아이템을 모방하는 단계에서 상품 개발이 추진되고 있으며, 수공예적인 유사예술상품 및 지역토산품, 관광기념품 중심으로 상품이 개발되는 등 유용성과 경제성 중심의 신상품 개발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전통 자수는 우리의 사상과 미의식이 투영된 소중한 우리 문화유산이다. 그러나 차별성 있는 문화로 산업화하지 못한다면 국제경쟁력 시대에 대응하지 못하고 상실될 수도 있다. 중국과 영국의 도자기, 일본의 칠기 등과 같이 우리의 전통 자수도 우리 시대에 맞는 문화상품으로 개발하여 세계적으로 우수한 문화상품으로 생산하여 발전될 수 있도록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내은행들의 파생상품 이용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권택호 ( Taek Ho Kwon ),박래수 ( Rae Soo Park ),장욱 ( Uk Chang ) 한국파생상품학회(구 한국선물학회) 2013 선물연구 Vol.21 No.3

        본 논문은 2000년 3월부터 2006년 3월까지 25분기 동안 국내은행의 파생상품 거래자료를 사용하여 국내은행들의 파생상품을 이용한 헤징현황이 어떠한 지, 그리고 이러한 파생상품 이용도가 해당은행의 기업가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분석기간 동안 국내은행들의 파생상품 이용도가 꾸준히 증가하였다. 단순히 거래규모 측면뿐만 아니라 위험노출 대비 파생상품 이용도 역시 꾸준히 증가하였다. 세부적으로 파생상품을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위험회피목적보다는 매매목적을 위한 파생상품 이용도가 월등히 높았다. 또한 이자율위험보다 환위험에 대비한 파생상품 이용 비중이 훨씬 높았으며, 여러 파생상품 중에서 선도?선물이 여타 옵션이나 스왑보다 더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이러한 파생상품의 사용이 국내은행들의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그 영향이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위험노출대비 파생상품 이용도가 높아 헤징비율이 충분할수록 기업가치에 긍정적이었다. 또한 상대적으로 비중이 낮은 위험회피목적보다 매매목적일수록, 환위험헤지의 경우보다 이자율위험헤지의 경우, 그리고 스왑이나 선도?선물보다 옵션을 이용한 헤지거래가 더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would be interested in knowing how commercial banks use derivatives and analyze its effect on the firm vale in Korea. We find that the derivatives transaction by banks increases during the analysis period and that banks use the derivatives mostly for speculation rather than hedging. Foreign exchange risk is mostly concerned for the purpose of risk hedging, and forward and/or futures are preferred to other derivatives such as option or swap. We also find that the usage of derivative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irm value of Korean commercial banks.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이주민 호감도에 관한 연구: 조선족 이주민을 중심으로

        조수진(Cho, Sujin)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2

        사람에 대한 평가가 인종, 학력, 학벌 등의 스테레오타입에 영향을 받는다고 할 때 이주민의 출신지역에 따라 이주민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한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의 이주민들에 대한 호감도를 조사하고 한국의 대학생들에게 타자로 인식되는 한국에 이주한 이주민 이해를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에 있어서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에 재학 중인 한국인 대학생과 한국에 거주하는 조선족 유학생이 다. 한국 대학생이 인식하는 이주민 집단 간에 호감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1과 한국 대학생이 인식하는 조선족에 대한 호감도와 조선족 유학생이 인식하는 한국인에 대한 호감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2를 검증하기 위해 SPSS21을 이용하여 설문조사 결과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독립표본 검정(t-검정)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ANOVA를 통해서 검증한 <가설1>은 6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남을 검증하였다(F=4.74, p< .05). 독립 표본 검정(t-test) 결과 t=-5.00, p= .00로 가설 2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서 채택되었다 호감도를 외적 호감도와 내적 호감도로 구분했을 때, 한국에 이주한 조선족에 대한 인식은 외적 호감도와 내적 호감도 모두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이 인식하는 조선족의 외적 호감도가 낮은 원인에는 미디어와 매체의 범죄 이미지로 인한 선입견과 편견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족에 대한 내적 호감도는 이질적인 문화와 조선족의 정체성 문제에 따른 이질감으로 인한 친밀감 결여, 관계의 문제 때문에 낮은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한국인의 조선족에 대한 내적 호감도를 높이려면 조선족의 이중정체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주민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문화 상대적인 태도로 타자를 이해하는 문화감수성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한국 청년들의 이주민 이해를 위한 조선족 호감도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대학생의 ‘이주민’에 대한 인식을 통해 ‘이주’에 대한 태도를 알아볼 수 있는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king of Korean immigrants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o conduct basic research to understand immigrants who have immigrated to Korea who are perceived as other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the empirical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Korean-Chinese students living in Korea.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H 1 that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liking between immigrant groups recogniz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H2 that therewill be a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Chinese liking perceiv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he Korean-Chinese foreign student preference for Koreans. For this,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one-way batch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an independent sample test (t-test) using SPSS21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H 1 verified through ANOVA verifi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6 groups was significant (F=4.74, p< .05). As a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est (t-test),H2was adopted as t=-5.00, p= .00,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When liking was divided into external liking and internal liking, looking at the narrative survey result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perception of Korean-Chinese who migrated to Korea was negative in both. For this,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migrants, cultural sensibilities of understanding the other with a culture-relative attitude will be neede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perspective of immigr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migrant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by looking at the Korean-Chinese liking for the understanding of immigrants of Korean youth.

      • KCI등재

        정치 갈등이 한국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 스타 팬덤의 완충 효과 : 중국 소비자의 정치 갈등 인식이 한국 기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유재미(Yoo, Jae Mee)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1

        본 연구는 중국과 정치 갈등이 한국 기업에 미치는 영향과 두 변수 관계에서 중국 소비자의 한국스타 팬덤이 완충 역할을 해 줄 수 있는가를 탐색했다. 한국기업에 긍정적 파급효과를 미치는 한류, 그 중심에는 한국스타가 있고 스타의 존재 기반은 팬덤이다. 팬덤은 위기 상황에서도 스타에 대한 충성도를 유지한다. 연구에서 팬덤(fandom)은 스타 자체에 애정을 보내는 개인적 자아로서 팬쉽(fanship) 그리고 같은 스타를 좋아하는 다른 팬들과 연대하는 사회적 자아로서 팬덤, 두 의미를 포괄했다. 중국 소비자의 한국과 정치 갈등 인식이 한국기업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지, 이 영향이 개인 소비자의 한국스타 팬덤으로 완화될 수 있는지를 탐색했다. 연구 결과, 중국 소비자의 정치 갈등 인식이 직접적으로 한국기업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했다. 둘째, 한국과 정치 갈등 인식은 중국소비자의 한국기업에 대한 부정 평가 인지를 증가시키고 이는 한국기업 태도 하락을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 갈등 인식과 한국기업 태도 관계에서 한국스타 팬덤의 완충 효과를 확인했다. 정치 갈등 인식은 한국기업 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데 중국 소비자의 한국스타 팬덤이 강할수록 이 효과가 완화됐다. 그러나 정치 갈등 인식이 한국기업 부정 평가에 대한 인지를 증가시키는 과정에서 한국스타 팬덤의 완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스포츠 분야를 넘어 팬덤의 역할을 확장 적용하고 그 효과를 실증했다는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는, 한류, 한국스타 뿐 아니라 스타 팬덤의 의의와 활용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Korean star fandom(or fanship) of Chinese consumers could alleviate the corporate crisis situation caused by political conflict with China. In the study, fandom is defined as containing both of the following meanings: a fanship as a personal self that shows affection and dedication to stars, and a fandom as a social self that solidifies with other fans who like the same star. The result confirms that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s directly and negatively affect the attitude of Korean companies. The more Chinese consumers perceive that there is a strong political conflict with Korea, the more negative their attitude toward Korean companies is. Second, the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 with Korea increases Chinese consumers awareness of negative aspects of Korean companies, which leads to a decline in attitudes of Korean firms. Third, the results show the buffering effect of star fando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 and the attitude of Korean companies.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star fando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political conflict and the awareness of negative aspects of Korean companie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star fandom in relation to corporate management (e.g., crisis situations, attitude formation, etc).

      • KCI등재

        ‘한류’ 문화상품 이미지의 수출촉진 역할에 관한 실증연구

        김성엽(Kim, Sung-Reup),주혜영(Joo, Hye-Young)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한·중·일 3개국을 중심으로 각 국가에 형성되어 있는 우리 나라 문화상품 이미지의 지각 차이를 측정하고 이러한 문화 상품의 수출촉진적 역할을 국가 이미지와 외국 소비자들의 한국상품구매의 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한·중·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실증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우리 나라 문화상품 이미지 및 국가 이미지의 지각수준은 중국, 일본, 한국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상품구매 의도가 가장 높게 형성되어 있는 국가는 일본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문화상품 이미지 중 드라마·영화 이미지는 국가 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이 관광 이미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 이미지 중 교육 수준 및 성실성 부문이 한국상품구매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경제 및 기술 수준이 그 다음의 순이었다. 넷째, 문화상품이미지 중 직접적으로 한국상품구매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관광 이미지이고 그 다음이 드라마·영화 이미지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perception gap of cultural products image of Korea in the three countries, Korea, China, Japa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ultural products image, Korean images, and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products. A total of 507 college students including Korean Students responded to a survey questionnaire which was translated into Chinse and Japanese. The results from empirical model suggest that china is higher than other countries in cultural products image of Korea and Korean images. Japan is higher than other countries in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products. It is also found that cultural products image affect Korean images, specially drama/movie images had the highest effect on Korean images. Not only educational standards/ sincerity of Korean images had a major impact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products, but tour images of cultural products image had a critical impact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product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studies based on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