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원학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이론적 연구

        정지연(Jung, Ji-Yo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2

        지역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강원도와 관련된 수많은 자료를 한 곳에 모아 집적(集積)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활용할 수 있는 아카이브 구축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강원학 관련 자료를 총괄하여 집적하고 이를 서비스 하는 아카이브를 구축한다면, 연구자들이나 일반인들이 강원학 관련 자료에 대한 접근성이 확대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강원학 연구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축된 자료를 교육, 연구, 창작 산업 등 다양한 자원의 콘텐츠 개발 및 응용을 위한 원천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자료가치를 재생산할 수 있다. 강원학 아카이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강원도 관련 자료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리 및 DB화 방안, 저작권 문제, 자료 제공에 대한 표준화 방안 등 여러 가지 해결하여야 할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정밀한 설계가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학 관련 자료의 방대함과 자료 유형의 다양성 등을 고려하여, 수집·관리·활용의 측면에서 강원학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기본 요소를 분석하고, 단계별 전략을 마련하여 향후 강원학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로드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강원학 아카이브 구축이 실효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수집 정책 수립, 행·재정적 지원, 협의체 구성 등을 선결과제로 제시하였다. With increasing interests in regional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n archive to collect the many resources related to Gangwon Province and to manage and use them systematically. An archive that can steer, collect, and service the resources related to Gangwon Studies would expand the accessibility of resources related to Gangwon Studies for researchers or the public and lead to more studies on Gangwon. Not only that, the value of resources may be reproduced by providing the constructed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resources in education, research, creative industries, and more. In order to construct the Gangwon Studies Archive, there are some problems to resolve, such as comprehensive and systemized organization and database construction of resources related to Gangwon Province, copyright issues, and standardization of resource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ecise design. The current study considered the expansiveness of resources related to Gangwon Studies and the diversity of resources to analyze the basic elements of building an archive in terms of collec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and establish step-by-step strategies to suggest a road map for the construction of Gangwon Studies Archive. In order for Gangwon Studies Archive to take effe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llection policies, provide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 organize a council, etc.

      • KCI등재

        강원의 ‘얼’ 선양사업 추진성과와 개선 방안 -인물 선양사업을 중심으로-

        임호민(Lim, Ho-Mi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2

        본 논고는 20여년에 걸쳐 진행된 강원 얼 선양사업 중 인물선양과 관련된 사업의 추진성과를 점검한 후,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향후 추진되는 강원 ‘얼’ 선양사업의 발전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 연구이다. 20여년의 사업 추진과정에서 지역 편중, 인물 편중, 반복적이며 연례적인 사업의 고착화, 신규 인물 진입에 있어서 객관적 선정 기준에 근거하지 못한 점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제기되었다. 강원의 ‘얼’ 선양사업은 인물 선양이고, 그것을 통해 강원도의 정체성을 확립하겠다는 인식의 틀에서 벗어나야 한다. 강원도의 역사, 문화 그리고 도민들의 사상 변화의 발전 자취를 탐구하여 강원정신 즉 강원인의 마음[江原人心]이 무엇인지를 우리 도민들에게 인식시켜 주어야 한다. 강원도의 정체성 탐색은 첫째, 도민 자신이 강원도의 구성원으로 생각하는 신념과 강원도라는 집단과 일체감을 느끼는 무엇, 소속된 집단[강원도]의 체제적 존속과 발전 과정에서 도민으로서 인지적․정서적으로 보람과 긍지를 느낄 수 있는 무엇, 그리고 강원 도민으로서 애도심(愛道心)을 갖고 그 애도심을 실천할 수 있는 무엇 등에서 찾아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achievements of the Gangwon"s ‘Earl’ enhancement project, which has been in operation for over 20 years, draws out problems, suggests ways to improve them, and presents a developmental model for the Gangwon"s ‘Earl’ enhancement project. Problems raised during the 20-year project, such as regional bias, personality bias, recurring and annual fixation of business, and lack of objective selection criteria for entry of new characters. We must make our people awareness of the spirit of Gangwon. Gangwon-do"s identity search is as follows. First, what do people feel as a member of Gangwon-do and their unity with the group called Gangwon-do? What can be proud cognitively and emotionally as a citizen i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ystemic survival of the group [Gangwon-do]? A good example of Gangwon-do"s identity search is the Joseon Academic movement, which was develop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Joseon Academic Movement explored the link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through ‘Earl’ and connects our ancestors with me as a kind of kinship community that forms us. The framework for Gangwonhak Studies should be prepared, covering all of Gangwon"s humanities including Gangwon"s history. After collecting the Gangwon culture discourse, which emphasizes the absolute necessity of Gangwonhak stud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launch a comprehensive plan for sustainable and long-term promotion of Gangwonhak Studies.

      • KCI등재

        강원도 천주교의 정치 신학적 고찰

        이근세(Lee, Keun-S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과학연구 Vol.0 No.49

        본 논문은 강원도 천주교의 현실적 역량과 잠재력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강원 지역정체성(Local Identity)의 형성과정을 체계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강원도 천주교는 교난(敎難) 과정의 박해를 피해온 일군의 신자들이 강원도 곳곳에 형성한 교우촌(敎友村)이 횡성 풍수원 성당 등의 제도권 교회로 변모하면서 구축되었다. 본 논문은 강원도 천주교의 잠복기로 규정될 수 있는 교우촌의 의미를 중심으로 강원도 천주교를 다각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적 규범을 제시한다. 강원도 천주교가 풍수원 성당 등으로 제도화된 과정은 중심부의 정치적․신학적 갈등이 중층적으로 규정되어 나타난 교우촌의 상황을 통해 의미를 부여받아야 한다. 교우촌은 민중의 삶에 기반을 두고 성장한 강원도 천주교 문화로서 중심부의 제도화에 대한 구체적 바탕을 제공했다는 점에서 강원도 천주교에 대한 논의의 핵심 쟁점인 중심과 지역의 관계 및 정치와 종교의 관계를 재인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Gangwon’s local identity by considering the meaning of real power and potential of the Gangwon’s Catholic. Gangwon’s Catholic has been constituted by the historical fact that during persecution period in the early 19th century, a group of catholics who had fleed from persecution took refuge in its backwoods, built several catholic communities, ‘Kyo-u-chon’ and that these communities became institutional churches such as Hoengseong"s Pung-su-won. In this paper I examine Gangwon’s Catholic in multilateral aspects and propose its future norm by focusing on the meaning of Gangwon’s catholic villages which constitute its latent period. The process through which Gangwon’s Catholicism such as Pung-su-won has been institutionalized could not acquire its concrete meaning without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Kyo-u-chon’ which is produced through the over-determination of centeral authoritative area’s politico-theological conflict. So ‘Kyo-u-chon’ is crucial for a new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er and periphery as well as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which constitutes the key debate on Gangwon’s Catholicism, because ‘Kyo-u-chon’, as Gangwon’s Catholic culture developped on the basis of people’s life, offered the core substance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Korean central Catholicism.

      • KCI등재

        강원도 천주교의 재인식

        이근세(Lee, Keun-S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0

        본 논문의 목적은 강원도의 지역정체성(Local Identity) 형성과정을 살펴보고 그 현재적 의미와 미래적 가치를 체계화하기 위하여 강원도 천주교를 재인식하는 것이다. 강원도 천주교는 19세기 초의 교난(敎難) 시기에 배교하지 않은 신자들이 박해를 피하여 강원도의 산중으로 이주한 역사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후 강원도 천주교는 교우촌(敎友村)의 시련기를 통하여 잠재력을 강화하고 횡성의 풍수원 성당과 원주의 용소막 성당 등으로 제도화 되면서 정착되었다. 본 논문은 한국 천주교의 기원적 사건인 교난(敎難)의 의미를 배경으로 지역 연구의 관점에서 강원도 천주교를 고찰함으로써 중심과 주변의 관계를 규명한다. 천주교는 16세기에 서학(西學)이라는 신문화로서 인식되었다가 18세기 후반부터 종교의 위상으로서 조선에 수용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천주교는 여러 차례의 교난을 거치면서 수많은 신자의 처형을 경험했다. 이 과정에서 배교하지 않은 신자들은 전국 각지로 도피해야 했다. 강원도 천주교의 뿌리는 교난으로 인한 신자들의 도피다. 신자들이 지역적 특성을 활용하여 도피하면서 형성된 강원 지역의 천주교 문화는 ‘주변적’인 것으로 인식되기 쉽다. 그러나 강원 천주교가 풍수원 성당 등으로 정착된 과정은 중심부의 정치적ㆍ신학적 갈등이 교우촌의 과도기를 거쳐 제도화를 통해 해소된 역사다. 따라서 한국 천주교에 있어서 강원 지역은 단지 외피나 주변으로서 전체에 참여하는 부분이 아니라 전체 체계가 그 안을 관통하는 ‘전체적 부분’(total part)이다. 강원도 천주교 문화는 중심부의 박해로 인하여 형성되었으나, 바로 그 때문에 민중의 삶에 기반을 두고 자생적으로 성장했으며 결국 중심부의 제도화를 촉발하고 그 바탕을 제공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강원도 천주교가 중심과 지역의 관계를 새롭게 인식하는 데 기여한다는 점을 밝힌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n the Catholicism in Gangwon province to elucidate the formation of Gangwon province"s local identity and to systemize its actual signification and its future value. Catholicism in Gangwon area is rooted in historical fact that during persecution period in the early 19th century, some catholics who did reject renegade took refuge in its backwoods to avoid the oppression. Henceforth it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fortification of its potential in the period of transition during which several catholic communities were formed and its institutionalization by foundation of some churches such as Hoengseong"s Pung-su-won and Wonju"s Yong-so-mak. In this paper I consider in the viewpoint of area studies Gangwon"s catholicism and relationship between center and local on a background of persecution which constitutes the fundamental evenement for Korean catholicism. The Catholicism has been received in the late 18th century as a proper religion after having been regarded as Western Learning. It has suffered, however, several rounds of persecution, and consequentially innumerable christians were executed in the most atrocious way. In this condition many christians who did not apostatize had to seek refuge all across the country. The origin of Gangwon"s catholicism consists to escape persecution and to take refuge in this region. Then catholic culture in Gangwon area would be easily regarded as "local" for it has been formed by the fact that under favor of Gangwon"s geographical condition christians took refuge in this province. But the process through which catholicism has been settled in Gangwon area by foundation of churches such as Pung-su-won, is an authentic history in which theologico-political conflicts of center have been resolved through the period transition of catholic communties and their institutionalization in legal church. Therefore, in Korean Catholicism Gangwon area is rather a "total part" in which total system projects itself than a surface or local which is only a portion of the whole. It is true that Catholic culture of Gangwon area has originated in the escape from the persecution of center. However, it could, by this fact itself, grow in autochthonic way on the public substratum, and it has finally stimulate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enter in constituting its basis. In this perspective I show that catholicism of Gangwon province contributes to a new understanding on relationship between center and local.

      • KCI등재

        지역문화와 대학(大學)의 상관성 연구

        엄현섭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3

        In order to revitalize local culture, academic system with consistency is required. When discussing the identity of Gangwon area, we seem to already presuppose the status of Gangwon province through regulations such as "lack", "alienation", "around", "poverty". At the same time, this regulation makes local research discuss the uniqueness and specificity of Gangwon area culture to show resistance to the center, but it is difficult to answer the question becaus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unidentified cultural 'unique' when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unique culture of Gangwon area. This study intends to expand the concept of identity in Gangwon area by understanding locality of Gangwon as an emergent space that is constantly reconstructed, not a fixed object. In this regard, I explained the direction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focusing on the regional archetypes, and I would like to consider what classes are connected to the region and make suggestions for the subject. Classes that utilize the lo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onditions of Gangwon-do from the present perspective along with various cultural aspects and to examine how the base university can play a role through the status and role that Gangwon-do should have in unified Korea and the world.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합성을 갖춘 학문적 체계가 요청된다. 특히강원지역의 정체성을 논할 때 “낙후”, “소외”, “주변”, “빈곤” 등의 규정을 통해 강원도의 위상을 전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동시에 이런 규정은 지역연구로 하여금 중앙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기 위해 강원지역 문화의 독자성, 특이성 등을 논의하도록 하지만, 실제로 진정 강원지역 고유의 문화가 무엇인지정의해야 할 때면 정체불명의 문화적 ‘독특성’을 만들어내야 하므로 역시 적합한 답을 내리기가 힘들어진다. 강원의 지역성을 고정된 대상이 아니라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창발적 공간으로 이해함으로써 강원지역 정체성 개념을 확장하려는 것이 본고의 의도이다. 이에 지역원형을 중심으로 강원학의 방향성을 설명하고, 강원대학교가 지역과 연결된 수업이 무엇인가를 고찰하고 교과목 제언을 하고자 한다. 지역원형과 한국전쟁을 활용한 수업은 향후 강원대학교가 꼭 해야 될 수업 교과목인것이다. 강원도의 지리적·역사적 조건을 다양한 문화 양상들과 더불어 현재적관점에서 다시 고찰하면서 통일 한국과 세계 속에서 강원도가 가져야 할 위상과 역할을 통해 거점대학이 어떤 면에서 역할을 할 수 있는가를 고구(考究)하였다.

      • 조선의 유람문화 공간으로서 강원지역에 정체(正體)된 장소적 표상 - 지역학에서 역사적 문화원형 찾기의 일례 -

        이상균 ( Lee¸ Sang-kyun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19 강원문화연구 Vol.40 No.-

        지역에서는 지역학을 통해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대표적 지역문화로 상정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강원학에서도 다양한 주제를 대상으로 강원도에서 파생된 문화의 실체를 찾아내는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시각을 조금 달리하여 역사적으로 파생된 문화의 실체들이 과연 강원도라는 공간을 어떻게 상징화시켰는가를 주목했다. 강원문화의 형성을 논하는 데 있어 가장 대표적 요소인 자연경관을 대상으로 유행하였던 조선시대 유람문화 속에서 강원도가 획득한 장소적 표상을 고찰하고자 했다. 조선 지식인들 사이에서는 강원도를 유람하고자 하는 열풍이 일었다. 금강산과 관동팔경 등의 수려한 산수명성이 확산되고 찬미되었다. 고려후기부터 조선 전 시기에 걸쳐 많은 지식인이 유람하고, 또 유람하길 소망한 지역이었다. 강원도는 조선의 유람문화 속에서 전국제일의 유람명소로 그 명성을 얻었다. 또한 자연에서 성정을 도야하여 시문 등을 창작하고자 했던 조선 지식인들의 문풍의식 속에서 강원도는 최적의 심미적 창작공간으로서 새로운 장소적 표상을 획득하게 된다. 이러한 강원도의 문화원형은 오늘날 금강산 관광재개 등 남북강원도의 교류협력 전망 속에서 여전히 유용한 문화로 제고 하여 적용할 가치가 있다. Local studies are trying to reveal the identity in order to find cultural archetype. Gangwon local studies are now doing research of studies of cultural archetype. When it comes to discussing formation of culture of Gangwon, the representative element is natural view. This thesis studies how Gangwondo Province acquire images of go sightseeing culture during Joseon Dynasty period. There were fevers of go sightseeing Gangwon-do Province among intelligentsia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Beautiful picturesque scenery in Gangwon-do Province was the talk of the town and was praised. Gangwon-do province is the great region where intelligentsia wish to go and go sightseeing during the period from late Goryeo to Joseon Dynasty. Gangwon-do Province was the attraction of go sightseeing. There were many historical figures marks in the Gangwon-do Province. There are also numerous poetry and prose and pictures of Gangwon-do Provinc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Gangwon-do Province was spotlighted as landscape of go sight seeing and it also had acquisition of a new model of the space of esthetic creation. The culture of go sightseeing of Joseon Dynasty had a big importance of detailed identity establishment and it is branch of application pending issue in region. Today Gangwon-do province overbearingly promotes the service industry of sightseeing and it also applied to resume sightseeing of Mt. Geumgang. The model of go sightseeing culture can apply to the model of cultural space(Gangwon-do Province) and it had a big value of applying to the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Gangwon-do Province.

      • KCI등재

        강원도 폐광지역의 쟁점과 미래 전망 그리고 대응전략

        김원동(Wondong Kim)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49 No.2

        이 글의 목적은 강원도 폐광지역의 사회경제적 쟁점과 폐특법의 재연장 문제에 대한 전망 및 미래의 대응전략을 강원랜드와 폐특법에 초점을 맞춰 검토해보는데 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원도 폐광지역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고, 주민들은 매우 열악한 교육, 의료, 주거환경에서 아쉬움과 체념 속에 이를 감수하며 살고 있다. 둘째, 강원랜드와 폐특법은 강원도 폐광지역의 어제와 오늘을 이해하고 내일을 전망함에 있어 핵심적인 준거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셋째, 강원랜드와 폐특법이 강원도 폐광지역에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평가는 영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고용창출과 같은 부문에서는 우호적 평가가 지배적인가 하면 또다른 부문들에서는 크고 작은 사회적 쟁점의 소지를 내포하고 있다. 넷째, 강원도 폐광지역 주민들은 폐특법 재연장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으면서도 재연장의 전망을 그리 밝게 보지 않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다섯째, 지역사회의 향후 대응 방향은 폐특법의 재연장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강력하게 정당화하고 뒷받침할 수 있는 객관적인 논거들을 만들어가는 한편, 재연장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는 전망 아래 그에 따른 대응책들도 함께 모색하는 것이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socioeconomic issues in abandoned mine areas in Gangwon-Do province, prospects and strategies for re-extension of ‘a special law on the development of abandoned mine areas’ with focusing on Kangwonland and the law.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opulation in abandoned mine areas in Gangwon-Do province has continuously decreased. Moreover, residents put up with the poor education, medical treatment, and living conditions with disappointment and resignation. Secondly, Kangwonland and a special law on the development of abandoned mine areas have meaning as a main reference for analyses and discussion, when we try to understand and prospect the past and present and future of the areas in Gangwon-Do province. Thirdly,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both Kangwonland and the law are evaluated somewhat differently per sectors. While there are mainly favorable responses in some parts such as job creation, several social issues still remain in another many parts. Fourthly, even though residents in the abandoned mine areas long for re-extension of the law, dominant atmosphere in that local community seems to be negative. Fifthly, agents in the community should make efforts to get objective bases which can legitimate and support re-extension of the law strongly. At the same time, they have to prepare for another countermeasures in a negative prospect on its re-extension.

      • KCI등재

        산지 농협의 계약재배 실태 분석

        이향미 ( H M Yi ),고종태 ( J T Goh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구 농업과학연구소) 2015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27 No.1

        강원도 고랭지 배추의 계약재배 농가는 2005년 248농가에서 2011년 122농가로 6년 사이에 51%가 감소하였지만 계약재배 물량은 같은 기간 동안 42,438 ton에서 33,094 ton으로 약 22% 감소하는데 그쳤다. 현지조사 결과 강원도 고랭지 배추의 주산지인 삼척시의 경우 주 작목이 고랭지 배추에서 풋고추로 전환되고 있는 등 강원도 지역 내에서 고랭지 배추 대체품목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현지조사 결과, 농협과의 계약재배가 농가 소득 안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주기는 5년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농협과의 계약재배가 농가소득안정에 기여한 올해(2011년)는 고랭지 배추 산지 가격하락으로 농협중앙회 강원지부는 계약한 농가에 한해 농가당 ``산지폐기자금``으로 60만8천원/10 a를 지원하였지만 비계약 농가는 농가 스스로 물량을 처리할 수밖에 없었다. 2010년 배추 파동 이후 정부가 배추 면적을 확대하고 농협과의 계약재배를 장려함으로써 2010년 29,778 ton보다 11% 정도 계약물량이 증가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정부의 인위적인 계약재배 물량의 증가는 해당 산지농협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강원도 산지농협의 현재 고랭지 배추 계약재배 실태를 비교·분석한 후 이를 통한 산지농협 계약 확대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및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강원도 산지농협들의 계약재배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먼저 계약재배사업의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한다. 소비자 물가안정인지 농가소득 안정인지를 설정 한 후에 산지농협의 계약재배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고랭지 배추 가격이 급등할 경우 소비자 물가안정을 위해 중국산 배추를 수입한다면 생산농가들의 소득이 감소될 것이다. 만약 정부가 물가안정을 목표로 배추 가격 상승으로 인한 소비자 물가상승 우려 때문에 배추를 수입한다면 산지농협의 손실에 대해서는 정부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강원도 고랭지 배추에 대해 판매를 전담 할 수 있는 기구의 설립이 필요하다. 강원도 고랭지 배추의 주요 판매처를 보면 강릉K농협D지점과 평창D농협은 90%이상을 도매시장에 상장하고 있고 태백T농협은 90% 이상을 농협유통을 통해 시판하고 있다. 반면 정선N농협은 100% 김치공장에 납품하고 있고 정선Y농협, 평창D원협, 평창D, 농협B지점도 주로 김치공장과 계약을 하고 있다. 따라서 강원도 산지농협들의 "강원도 고랭지배추 산지연합단(가칭)"설립하여 산지 농협의 판매업무를 대행 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산지유통인들은 전국의 작황 등을 살펴 본 후 장기적으로 판매처를 개척하지만 산지농협실무자들은 업무상의 제약으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3년 이상 같은 업무를 수행 할 수 없다. 따라서 산지유통인에 비해 전문성 향상이 어렵기 때문에 전문적으로 강원도 고랭지 배추 판매처를 확보하고 판매를 담당할 수 있는 전문기관 설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현재 농협중앙회 소속의 채소사업단에서 계약(매취)한 배추에 대해서 판매까지 하고 있지만 강원도 산지농협은 수탁과 매취를 함께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농협중앙회와는 별개의 조직으로 강원도 산지농협들이 주축이 되어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는 "강원도 고랭지배추 산지연합단(가칭)"에서 각각의 산지 여건에 맞는 판매처를 확보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고랭지 배추 관리 및 마케팅에 관한 전문 지식이 있어야 일반 산지유통인과 경쟁할 수 있다. 현재는 순환 직 업무체계로 인해 전문성 향상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고랭지 배추 계약재배를 담당하는 전문가를 장기적으로 육성하여 생산 농가들에게 산지유통인과 같은 수준의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계약재배 사업은 힘든 업무로 인해 직원들이 꺼려하고 있으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담당업무 실무자에 관한 처우 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산지 농협의 고랭지 배추 계약재배 활성화의 기본방향은 유통사업에 대한 재배 농가 만족도 극대화를 먼저 추구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계약재배를 통해 산지 농협 조합원의 만족도 향상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현장 조사 결과, 정선 Y농협의 경우 "병충해 등 농가과실로 인해 손실이 발생했을 때 계약금을 환원해야 한다"또는 정선 N농협의 경우 "천재지변, 병충해 발생 등으로 인한 계약재배 물량 감소분에 대해서는 계약금만 환원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천재지변이나 병충해 발생(농가 과실 제외)으로 인한 계약 물량 감소분에 대해서는 소득을 보전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여 고랭지 배추재배농가들의 농협 계약을 선호하도록 하는 현실적인 정책 수립이 가장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2011년 고랭지 배추를 계약 재배한 산지농협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므로 산지 농협의 경쟁주체라 할 수 산지유통인의 역할과 고랭지 배추 생산자 분석 및 이들의 상호역할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For our agriculture, of which the formation is small holding farm structure, securing competitiveness at the stage of producing shipment and steady and stable trades through contracts are important for income stabilization and farming plan of the farm households. About 80% of Kangwondo summer chinese cabbages are handled by agricultural produce shippers, thus, in order to expand contract cultivation between the producers and the agricultural cooperatives of the producing areas, it is necessary to offer an inducement that corresponds to the economic advantages offered by the produce shippers. This study has made an observation over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contracts set forth by the Agricultural Cooperative of major producing areas of Kangwondo alpine cabbage, and analyzed the priority order of the contract cultivation expansion policies of producing Agricultural Cooperative.

      • 1930년대 후반 강원도 표상 - 『아사히신문』 외지판을 중심으로 -

        이부용 ( Lee¸ Bu-yong )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 2020 강원문화연구 Vol.42 No.-

        본고에서는 1930년대 후반 강원도 표상을 『아사히신문(朝日新聞)』 외지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에서 발간한 『근대 강원도 관련 기사정리』(2020)를 활용하여 강원도 관련 기사를 첫째, 강원도 개발에 주목하여 경제개발, 자원개발, 금강산관광 항목으로 나누고, 둘째, 재해와 사건·사고 관련 기사들을 자연재해, 인간사회에서의 사건과 사고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셋째, 건강, 위생, 교육과 관련된 기사들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먼저 강원도는 경제적으로 낙후된 지역으로 인식되었으며 경제개발의 필요성이 역설되었다. 금강산을 중심으로 한 지하자원 개발을 둘러싸고 개발이냐 보존이냐의 논쟁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리고 홍수로 큰 피해를 입었으며 복구에는 여러 시간이 걸려 이재민들은 강제 이주를 당하기도 했다. 또한 사이비종교와 토지 사기 사건들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육아, 신체 발육, 위생 등 생활 속의 세세한 측면까지 제도적 통제가 이루어졌다. 강원도 관련 기사들은 당시 식민지 지배의 정책 방향과 그 속에서 살아가던 지역 사람들의 굴곡진 삶의 모습을 생생하게 드러내주는 증거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Kangwon-do in the late 1930s, based on the oversea’s edition of Asahi Shinmun. As data for analysis, I used 『Articles related Modern Gangwon province』(2020) published by The Institute of Kangwon Community Culture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First, as for the developmental aspect in Gangwon-do, articles are divided into three parts, that is, economy, resources and Mt. Geumgang tourism. Second, the articles reporting disasters, incidents and accidents are classified into things both by nature and by human society. Third, articles related to health, hygiene, and education are examin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rticl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Gangwon-do was recognized as an economically underdeveloped region, so the necessity of economic development was emphasized. Also, there were debates over the development of underground resources in Mt. Geumgang between conflicting views of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The severe damages caused by floods, which it would take long time to recover, caused people to forcibly move. Besides, there were social issues regarding pseudo-religion and cases of land fraud. Lastly, institutional regulation was enforced into the detailed aspects of public lives such as child-rearing, physical development and hygiene. In conclusion, articles related to Gangwon-do serve as evidence which vividly reveals the direction of the colonial policies at the time and the tough lives of the local people living in them.

      • KCI등재

        20대 총선거: 강원도 정치지형 변화와 표심의 향방

        김기석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56 No.2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es of voting patterns in Gangwon province with the 20th National Assembly(NA) election as a case. The NA election was a case that failed to produce conflicting policy issues, resulting in unexpected aspects in election results. A more detailed analysis of the election in the region will reveal meaningful changes in the political landscape of Gangwon Province. Understanding the patterns, causes, and future prospects will serve as an important basis for evaluating the direction of voting behaviors in Gangwon Province. This is the key argument of this paper. In other words, those changes are likely to reflect the voters’ political trends that will emerge in future Gangwon Province elections and thus throws significant implications in predicting the aspects and outcomes of the coming elections in the Province. Analytically, this paper will test the several important hypotheses connected with the overall changes in Gangwon society. Those are the turnout ratio, the voting behaviors by age and by region. Gangwon Province has some remarkable social changes that are associated with generational changes and regional differences, such as the aging of the population, the hollowing of agricultural and mountainous areas, and the metropolitanization of akin-to-Seoul areas. It seems that such factors will play a big role in making electoral outcomes. The shape of the Gangwon-do election, which will result from such a change, is the differentiation depending on the kinds of elections, especially the electoral district, while existing conservative voting behaviors continue. Due to the overall aging of the Gangwon population, the dominance of conservative parties and candidates in the Gun-units will continue to grow. This i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conservative supportive tendencies and high voter turnout in the aged local electorate. However, because the population of the county is gradually decreasing, it is likely that political influence of Gun-areas will be reduced due to reductions of electoral districts and political influences of Gun- voters. 이 논문은 20대 총선거를 사례로 하여 강원도에서 나타나고 있는 유권자들의 표심변화를 분석해보는 것이다. 20대 총선거는 선거의 정책이슈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은 선거이면서 의외의 결과를 적지 않게 만들어낸 선거였다. 강원도의 선거결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하면 강원도 정치지형에 의미있는 변화가 감지되며 그 양상, 원인, 그리고 향후 전망 등을 이해하는 것은 강원도 유권자의 표심의 향방과 강원도 선거 및 정치를 진단하는데 중요한 토대가 될 수 있는 많은 함의를 제공한다는 것이 이 논문의 주장이다. 말하자면 그 변화들은 향후 강원도 선거에서 나타날 유권자의 표심을 반영할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선거의 결과들을 예측하는 데 적지 않은 함의를 가질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이다. 분석적으로 이 논문은 그런 논문의 목적과 주장을 강원도 사회의 전반적인 변화양상과 연계된 몇 가지 중요한 가설들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구성한다. 그것은 도내의 투표율, 연령별 투표행태, 그리고 지역별 투표행태 등이다. 강원도는 전반적인 인구의 고령화, 농⋅산촌지역의 공동화 및 일부 도내 대도시 지역의 수도권화 등 세대 및 지역으로 구획되는 몇 가지 현저한 사회적 변화가 진행하고 있으며 이런 변화는 향후 상당 기간 동안 강원도 정치와 선거양상을 결정짓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보는 것이다. 그런 변화가 낳을 강원도 선거의 모습은 보수적 투표결과가 지속되는 가운데도 선거의 종류, 특히 선거구의 성격에 따라 차별화가 나타나는 모습이다. 도의 전반적인 고령화 때문에 군 단위 지역에서 보수정당과 후보의 지배력은 계속 커질 것이다. 그것은 고령화 된 군 지역 유권자의 보수적 지지성향과 높은 투표율이 복합적으로 낳는 결과이다. 하지만 군 지역은 점차 인구가 줄어드는 추세이기 때문에 한편으로는 선거구 축소 다른 한편으로는 도 단위 선거에서의 영향력 감소 등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