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호명의 젠더 함의와 여성 폭력

        유진아 ( You Jin-a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0 No.-

        이 연구는 강화길의 소설 『다른 사람』의 분석을 통해 여성 호명에 담긴 젠더 함의와 여성 폭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인간이 호명되어진다는 것은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사회 속에서 주체로 위치 지어지며 이때의 주체는 타자의 부름에 의해 형성된 것이며, 그 맥락에는 타자의 혹은 사회의 이데올로기가 작동하고 있다. 소설에서는 여성에 대한 호명이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첫째,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에게 강요되어온 성규범은 호명하기를 통해 여성을 정숙한 여인과 문란한 여성으로 나누어 이분화 시킨다. 둘째, 사회의 규범을 어긴 여성에 대한 호명은 처벌적 기능을 가지며,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생산하는 이들은 호명을 통해 선/악의 경계를 만듦으로써 여성들을 통제하며 자신들의 지배적 사회관계를 유지해 나가고 있다. 셋째, 가부장제 남성중심 사회에서 젠더권력의 우위에 있는 개인 남성의 여성에 대한 호명은 젠더권력 관계의 경계를 허물려고 하는, 혹은 권력관계를 허문 여성에 대한 분노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분노는 남성이 젠더권력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했을 때 더욱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가부장제 남성중심 사회에서 젠더 력의 하위 집단에 속하는 여성에 대한 부정적 호명은 여성을 통제하고 구속·억압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며. 여성은 이러한 호명을 폭력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여성에 의한 남성 호명에 대해 남성은 폭력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여성들의 피해의식에서 나온 행위이며, 남성이 가진 젠더권력에 대한 저항적 행위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ender implications and violence in interpellation of women through the analysis of Kang Hwa-gil's novel Other People. Being called means being placed as a subject in society regardless of one's intention. At this time, the subject is formed by the call of the other person, and in that context, the ideology of the other person or society is working. In the novel, the interpellation of women appears in three forms. First, gender role, which has been forced on women in the patriarchal society, divides women into chaste and promiscuous women. Second, interpellation of women who violate social norms has a punitive function, and those who produce dominant ideologies maintain their dominant social relationships by controlling women and by creating boundaries between good and evil. Third, in a patriarchal male-centered society, the interpellation of women can be an expression of anger against women who try to break, or have already broken the boundaries of gender power relations. This anger can be seen more strongly when a man loses control of gender power. In a patriarchal male-centered society, negative interpellation of women is used as a means of controlling, constraining and suppressing women. It can be seen that women perceive these interpellations as violence.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men see male interpellation by women as acts of victimization rather than violence, and as acts of resistance to gender power held by 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