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ianserin에 의한 불안정 하지 증후군 4례

        박원명,김용찬,백인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86 신경정신의학 Vol.25 No.2

        This is a clinical report of 4 cases of restless legs syndrome developed in patients diagnosed as major depressive disorder by DSM-III criteria, who were treated with "Mianserin" which is known as one of the new generation tetracyclic antidepressants. With the duration of the average of 1 or 2 weeks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mianserin, all of these patients showed characteristic symptoms of restless legs syndrome which included unpleasant creeping sensation and vague discomfort on the both legs at rest typically in the evening and during the night. For the prevention of exacerbation of these symptoms, hotbag, diazepam, lowering or discontinuation of mianserin, and shifting to another antidepressants including tricyclic antidepressants had concurrently been tried and proved effective.

      • KCI등재

        수면주기 지연 증후군 1례

        박원명,김제헌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2 신경정신의학 Vol.31 No.1

        Whereas insomnia (disorders of initiating and maintaining sleep) and hypersomnia(disorders of excessive somnolence) have been studied for many centuries, physicians only recently become aware of that the sleep-wake rhythm itself can also be disturbed. Indeed, at this time we can only dimly perceive the importance of circadian rhythm for healthful sleeping. Not only do our internal circadian rhythm have to be properly entrained to the 24-hour cycling of this planet, but it also seems crucial that an individual's usual bedtime hours be properly located within that individual's circadian rhythm. Delayed sleep phase syndrome is one of disorders of the sleep-wake schedule, which usually arises from mismatches between the patient's circadian rhythm and society's timetable. We experienced a case of salary man who developed delayed sleep phase syndrome for about one year. He had considerable difficulty in falling asleep at appropriated time in the night and increasing difficulty in awakening in the next morning. When not on a strict schedule(eg, weekends, holidays), he had a normal sleep pattern and after a sleep of normal length awaked spontaneously and felt refreshed. Polysomnographic recordings performed in our department for 3 consecutive nights demonstrated that he was noted only a delayed pattern of sleep and awaking time. There was no evidence of significant organic diseases except hepatitis type B. Past history revealed no previous psychiatric disorders and no family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 KCI등재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환자에서 Mirtazapine 효과 : A Pilot Study

        박원명,배치운,정학재,채정호,전태연,김광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3

        연구목적 :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억제제의 효과에 대한 연구들은 증가하고 있으나 새로운 향우울제인 mirtazapine의 효과에 대한 연구들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mirtazapine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DSM-IV 진단기준에 의거하여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로 진단받은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8주간 mirtazapine을 투여하고 투여 시작일과 투여 후 4, 8주 시점에 Interviwer-Administered Structured Interview for PTSD(SIP), Short PTSD Rating Interview(SPRINT),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 Montgomery Å sberg Deprssion Rating Scale(MADRS)를 평가하였다. 결 과 : 대상군 중 남자는 10명, 여자는 5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36.1세였으며 mirtazapine의 일일 평균용량은 29±6.9㎎ 이었다. 각 시점별 측정한 SIP, SPRINT, IES-R,MADRS는 기저시점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각, df=1, F=172.0, p<0.01 ; df=1, F=334.4, p<0.01 ; df = 1, F=123.8, p<0.01 ; df= 1, F=775.8, p,0.01). 결 론 : 본 연구 결과 mirtazapine은 외상후 스트레스장애의 치료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며 향후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mirtazapine의 효능 및 내약성에 관한 대조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irtazapine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Method : 15 patients who diagnosed as PTDS were treated with mirtazapine for 8 weeks. Efficacy measurement and side-effects monitoring were performed at baseline, in 4 and 8 week. PTSD and depression were assessed at each follow-up visits suing following measures : Interviewer-Administered Structured Interview for PTSD(SIP) ; short PTSD Rating Interview(SPRINT) ;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 ; The Montgomery Åsberg Depression Rating Scale(MADRS). Results : Significant reduction of SIP, SPRINT, IES-R,and MADRS was observed after 8 weeks administration of mirtazapine. No serious drug-related side effects occurred. Conclusion : Teh results suggest that mirtazapine may be an effective agent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PTSD. More sophisticated study would be necessary.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운동 활동 자극시의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

        박원명,채정호,배치운,안국진,전태연,김대진,김광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1

        연구목적: 최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이 효과적인 기능적 뇌조영술로 각광받고 있다. 환편 정신분열병 환자들에서 연성 신경학적 증상이 많이 관찰된다는 것을 잘 알려진 사실이다. 본 연구는 연성 신경학적 증상을 검사하고 운동 과제 시행 중 fMRI를 검사하여 나타나는 두뇌 활성도가 정신분열병, 비정신분열병 정신증 및 정상 대조군 간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법: 9명 정신분열병, 6명의 비정신분열병 정신증, 및 6명의 건강한 대조군에서 손가락 마주치기 과제와 주먹-원 만들기 검사 과제를 활성 과제로 하고 휴식 상태를 휴지 과제로 하는 혈액산소수준의존 fMRI를 시행하였다. 각 과제별로 좌우측 운동 중추와 부운동중추의 활성화 복셀 수와 편측화 지수를 산출하였다. 결과: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비정신분열병 환자군과 대조군에 비하여 손가락 마주치기 과제 수행시 유의하게 우측 운동 중추 활성화 복셀 수가 많았으며 유의한 역편측화를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연성 신경학적 증상을 검사하는 운동 과제 수행시 특이한 역편측화된 두뇌 활성화를 일으킨다는 것과 향후 fMRI가 정신분열병의 병태생리를 조사하는데에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 Recently,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fMRI) has been an important tool for mapping in various functional brain disorders. And it is known that soft neurologic signs are frequently found in schizophren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cerebral activation to motor tasks examining soft neurologic sign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non-schizophrenic psychoses, and control subjects, using functional MRI. Methods : Nin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six patients with non-schizophrenic psy-choses, and six healthy control subjects were examined. A prardigm, in a resting condition followed by an activation state(finger-to-thumb opposition task and fist-ring task by right hand)was used for blood oxygen level dependent f-MRI. Activated voxels in both motor cortices and supplementary motor cortex were recorded and the lateralization index of cortical respons was measured. Results :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ed typical increased activation in right motor cortex and reversed lateralization by finger-to-thumb opposition task compared with non-schizophrenic psychoses and contol subjects.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provides evidence for specific reversed lateralizaiton in fMRI brain activation by motor task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FMRI will be used as a powerful tool for elucidating the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 KCI등재

        흰쥐 뇌에서 항정신병약물이 c-fos 발현에 미치는 영향

        박원명,박재홍,김광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2

        흰쥐 뇌의 내측 전전두피질, 측좌핵, 내측선조체, 외측선조체, 외측중격핵에 전형 항정신병약물(chlorpromazine, haloperidol), 비정형 항정신병약물(clozapine, risperidone), 선택적 D₁ 수용체 길항체(SCH23390) 등 5종류의 약물의 여러 용량을 투여후 각 약물의 용매를 사용한 대조군과 같이 c-fos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Fos immunohistochemistry 방법으로 조사하여 각 항정신병 약물의 특성을 이해하려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실험동물은 체중300∼450g의 Wistar계의 수컷 흰쥐를 각군 4마리씩 사용하였으며 증류수만 주사한 군(1㎖/㎏). 용해만 주사한 군(1㎖/㎏), chorpromazine을 주사한 군(25㎎/㎏, 50㎎/㎏), haloperidol을 주사한 군(0.5㎎/㎏ 1㎎/㎏) clozapine을 주사한 군(10㎎/㎏, 20㎎/㎏, 30㎎/㎏), risperidone을 주사한 군(0.5㎎/㎏, 1㎎/㎏), SCH 23390을 주사한 군(0.5㎎/㎏, 1㎎/㎏)등 모두 13개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내측 전전두피질 부위의 c-fos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chlorpromazine(50㎎/㎏), clozapine(20㎎/㎏, 30㎎/㎏), risperidone(0.5㎎/㎏, 1㎎/㎏) 투여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01). 2) 측좌핵 부위의 c-fos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chlorpromazine, haloperidol, clozapine, risperidone(1㎎/㎏) 투여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 .01). SCH 23390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1). 3) 선조체 부위의 c-fos 발현은 특히 외측선조체 부위에서 대조군에 비해 chlorpromazine, haloperidol, risperidone 투여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1), clozapine은 chlorpromazine, haloperidol, risperidone에 비교하여 아주 적은 c-fos 발현을 나타내었다. SCH 23390은 내측선조체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4) 외축중격핵의 c-fos 발현은 대조군에 비해 chlorpromazine, haloperidol, clozapine, risperidone 투여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이상의 결과로 clozapine, risperidone은 전형 항정신병약물과는 다르게 내측 전전두피질에서 c-fos 발현이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또한 추체외로 부작용이 가장 강하게 나타나는 haloperidol을 투여시 외측선조체에서 c-fos 발현이 가장 높았고 추체외로 부작용이 거의없는 clozapine 투여시 외측선조체에서의 c-fos 발현은 거의 없는 정도로 나타났는 바 외측선조체에서의 c-fos 발현의 증가, 추체외로 증상및 외측선조체에 D₂수용체가 많음을 고려하면 이들사이에 서로 상관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지금까지 발표된 다른 학자들의 논문과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자들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인 clozapine과 risperidone은 기존의 전형 항정신병약물과 비교해서 신경해부학적 작용부위의 차이 및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에 대한 반응의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였으며 이러한 차이점이 정신분열증 양성증상뿐 아니라 음성증상에도 좋은 치료효과를 보일뿐 아니라 추체외로 부작용이 상당히 적다는 clozapine과 risperidone의 독특한 약리효과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Objects :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 effects of antipsychotics in brain, the authors studied some potential neuroantatomical differences in the actions of typical antipsychotics(chlopromazine, haloperidol), atypical antipsychotics(clozapine, risperidone) and selective dopamine D₁receptor antagonist(SCH 23390) by comparing their effects on c-fos expression in the rat brain. Methods : Fifty-two rats, weighing 300-450g, were divided into 13 groups according to injection agents〔water, vehicle, chlopromazine, haloperidol, clozapine, risperidone, SCH 23390〕. Each brain was removed immediately after perfusion and placed in fresh fixative. After postfixative period, the brain sections(area of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nucleus accumbens, medial striatum, lateral striatum and lateral septal nucleus) were stained by c-fos immunohistochemistry, Results : 1) chlopromazine(50㎎/㎏), clozapine(20㎎/㎏, 30㎎/㎏)and risperidone increased the number of Fos-postive neurons in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than control subjects(p<.01). 2) chlorpromazine, haloperidol, clozapine and risperidone(1㎎/㎏) increased but SCH 23390 decreased the number of Fos-postive neurons in the nucleus accumbens than control subjects(p<.01). 3) chlorpromazine, haloperidol and risperidone increased the number of Fos-positive neurons in the striatum, especially in the lateral striatum than control subjects(p<.01), but clozapine increased much less than chlorpromazine, haloperidol and risperidone. SCH 23390 decreased the number of Fos-positive neurons in the medial striatum than control subjects(p<.05). 4) chlorpromazine, haloperidol, clozapine and risperidone increased the number of Fos-postive neurons in the lateral septal nucleus than control subjects(p<.01). Conclusion : These results support that clozapine and risperidone's unique therapeutic actions on negative symptoms with a low incidence of extrapyramidal side effects in schizophrenia may be related to their distinctive effects in regions such as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and lateral striat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