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inetic Assembly of a Thermally Stable Porous Coordination Network Based on Labile CuI Units and the Visualization of I<sub>2</sub> Sorption

        Kitagawa, Hakuba,Ohtsu, Hiroyoshi,Kawano, Masaki WILEY‐VCH Verlag 2013 Angewandte Chemie Vol.125 No.47

        <P><B>Im Netz gefangen</B>: Ein kinetisch angeordnetes, aber thermisch stabiles Netzwerk wird unter Verwendung der labilen Metallspezies [Cu<SUB>4</SUB>I<SUB>4</SUB>(PPh<SUB>3</SUB>)<SUB>4</SUB>] erhalten. In einzigartiger Weise adsorbiert es I<SUB>2</SUB> durch Chemisorption über I<SUB>3</SUB><SUP>−</SUP>‐Bildung. Das chemisorbierte I<SUB>2</SUB> desorbiert leicht bei >380 K wegen der dynamischen Bewegung des Gerüstes. Ein thermodynamisch angeordnetes Netzwerk physisorbiert I<SUB>2</SUB>, das exakt in den Kanal passt.</P>

      • SCOPUSSCIEKCI등재

        Trigeminal Neurinomas : Report of 8 Cases with special Reference to Operative Approach

        Yasui, Toshihiro,Hakuba, Akira,Kim, Soo Han,Suzuki, Toshihisa,Nishimura, Shuro 대한신경외과학회 1989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8 No.1

        저자들은 최근 13년동안 총 8예의 삼차신경초종 환자에서 가능한한 1회의 수술에 의한 종양전적출의 원칙아래 수술을 시행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남녀의 비는 3 : 5였고 연령 분포는 25세에서 56세까지 다양하였다. 종양의 위치 별 분포는 주로 중두개와 또는 후두개와에 국한된 경우가 각각 2예, 중·후두개와 양측에 걸쳐 장구형 모양을 정하고 있었던 경우가 4예였다. 주 증상으로는 안면부 동통과 청력장해가 가장 많았고 그밖에 다양한 증상이 출현하였다. 수술 접근법은 종양의 위치에 따라서 transpetrosal-transtentorial 혹은 orbitozygomatic-infratemporal approach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모든예에서 종양을 전적출하였다. 1예에서만 수술 5년후에 종양이 재발하여 재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후 사망한 예는 없었으나 대부분의 예에서 수술중 삼차신경 분지의 손상으로 발생되는 부분적인 삼차신경 기능장애는 불가피하였다. 술후 결과는 3예에서 우수하였고 4예에서 양호했으며 1예에서는 수술전에 비해 악화되지 않는 좋은 결과를 보였다. The authors have treated eight cases of trigeminal neurinomas for the past thirteen years. We have been treating these tumors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radical resection through one-staged operation. Three were male and five were female. The age ranged from 25 to 56 years with the mean age of 41.5 years. One was a case of von Recklinghausen's disease, Topographically, the tumors were mainly located within the middle fossa in two cases, within the posterior fossa in two, and extended both supra- and infratentorially in four cases. Facial pain and hearing disturbance were the main symptoms and various other symptoms such as focal seizure, hemiparesis, gait disturbance, symptoms of increased intracrainal pressure and visual disturbance were also noted. Surgical operations were performed in all cases. As a surgical approach, either transpetrosal-transtentorial or orbitozygomatic-infratemporal route was employed. The choice of the better approach depends on the topography of the tumor. Total removal was performed in all cases. Only one case, which was an early one in this series required second operation to remove the tumor completely. In one case, the tumor recurred five years after the operation. There has been no operative mortality, but the injury or permanent damage to the trigeminal branches was inevitable in many cases. Surgical results were excellent in three, good in four, and fair in one case.

      • SCOPUSSCIEKCI등재

        Lateral Approach to Ventral Meningioma of the Upper Cervical Spinal Canal : Case Report and Technical Note

        Shin, Won Han,Lee, In Soo,Hakuba, Akira 대한신경외과학회 1987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16 No.2

        최근에 computerized tomographic scan과 magnetic resonance imaging같은 새로운 진단기구의 등장과 microsurgical technique의 이용으로 척추강내 종양의 진단과 치료가 용이하게 되어졌다. 상부경추강내의 전방에 위치한 종양에 대한 외과적인 치료법에는 여러 가지의 approach가 채용되고 있으나, 저자들은 lateral approach를 이용하여 C2와 C3 사이의 전방에 위치한 meningioma와 foramen magnum과 C1의 전측방에 위치한 foramen magnum meningioma를 수술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다. Lateral approach는 M. sternocleidomastoideus의 상부 전연에서 유양돌기를 거쳐서 후두부 일부까지 피부를 절개한 후에 platysma, M. splenium capitis와 M. cervical splenius일부를 절단하여 일측의 경추궁에 도달된다. 이 lateral approach 채택할 경우의 장점으로는 1) Spinal cord를 retraction하지 아니하고 종양을 제거할 수 있다는 점, 2) 종양의 dural attachment를 직접 보면서 처리할 수 있다는 점, 3) Unilateral laminectomy로써, 종양의 제거가 가능함으로 척추의 dorsal static structure를 보존할수 있다는 점들을 들 수 있겠다. 저자들은 lateral approach가 foramen magnum에서 C3사이에 위치한 meningioma 또는 neurinoma의 수술에 큰 결점없이 이용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The operative technique of a lateral approach for removal of a ventral meningioma at the C2 and C3 levels and a foramen magnum meningioma located at its right ventro-lateral part, is described. Rationales of attempting a lateral approach for removal of an upper cervical tumor are to avoid damage to the spinal cord, to manage the dural attachment of the tumor, and to provide a good operative field.

      • SCOPUSSCIEKCI등재

        Prepontine Chordoma without Bone Involvement : Case Report 증례보고

        Bae, Hack Gun,Ohata, Kenji,Katsuyama, Junsuke,Hakuba, Akira 대한신경외과학회 1996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5 No.1

        뇌교에 유착된 매우 드문 경막내 척색종 1례를 보고한다. 5년간의 추적기간 동안 광범위 종양절제에도 불구하고 두차례 재발했으며, 마지막으로 재발된 종양은 gamma knife로 치료되었다. 방사선 치료 1년후 검사한 핵자기공명 촬영상 뇌교부 종양은 감소된 반면, 천막열공 상부로 새로운 경막내 척색종이 보였다. 골밀도 뇌전산화단층 촬영상 두개골침범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두개골침범없는 경막내 척색종이 비교적 양성의 성격을띄운다 하더라도, 본증례의 재발양상은 뇌교와의 유착 및 종야의 뇌세포 침윤으로 인해, 두개골을 침범하는 고전적 척색종과 같은 aggressiveness를 보였다. 종양의 장기간 재발방지를 위한 보조적치료로 방사선치료가 요망된다. Presented here is an extremely rare case of intradural extraosseous chordoma with tenacious adhesion to the pons. During the 5 years' follow-up period, the tumor has recurred locally twice in the prepontine region despite radical excisions and final irradiation with gamma knife. Magnetic resonance image obtained 1 year after radiosurgery demonstrated a new intradural mass growing above the tentorial hiatus, whereas the mass within the pons was markedly reduced.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ic scan showed no evidence of bone involvement. Even though intradural location without bone involvement is a relatively benign occurrence, the recurrent pattern suggests and aggressiveness that correlates classic chordoma because of its invasion to the pons. Adjuvant radiotherapy will be required in this case for a long-term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