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omparison of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ephalometric measurements using a midsagittal projection and conventional two-dimensional cephalometric measurements

        Pil-Kyo Jung,Gung-Chol Lee,Cheol-Hyun Moon 대한치과교정학회 201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45 No.6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it is possible to use a twodimensional (2D) standard in three-dimensional (3D) analysis, by comparing the angles and lengths measured from a midsagittal projection in 3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with those measured by 2D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y (LCR). Methods: Fifty patients who underwent both LCR and CBCT were selected as subjects. CBCT was reoriented in 3 different methods and the measuring-points were projected onto the midsagittal plane. Twelve angle values and 8 length values were measured on both LCR and CBCT and compared. Results: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the variance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7 angular and 5 linear measurements among LCR and 3 types of CBCT (p < 0.05). Of these 12 measurements, multiple comparisons showed that 6 measurements (ANB, AB to FH, IMPA, FMA, Co-Gn, Go-M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pairwise comparisons. LC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3 types of CBCT in 3 angular (SN to FH, interincisal angle, FMIA) and 2 linear (S-Go, Co-ANS) measurements. The CBCT method was similar for all measurements, except for 1 linear measurement, i.e., S-N. However, the disparity between the mean values for all parameters was within the range of clinical measurement error. Conclusions: 3D-CBCT analysis, using midsagittal projection, is a useful method in which the 2D-LCR normative values can be used. Although the measurements changed with reorientation, these changes were not clin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가상적 수직 교합 고경 증가 시 안모의 유형에 따른 하안모 변화에 관한 연구

        김남우,이긍철,문철현,배정윤,김지연,Kim, Nam-Woo,Lee, Gung-Chol,Moon, Cheol-Hyun,Bae, Jung-Yoon,Kim, Ji-Yeo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6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4 No.1

        목적: 수직 교합 고경 증가 시 발생하는 하안모의 변화가 안모의 유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 지 평가하여, 임상적으로 유의하여야 할 안모 유형을 알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진단을 위해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을 촬영한 환자 중 261명을 추출하여 그 대상으로 하였다. 시상적 안모 패턴은 Class I, II, III로 분류하였고, 수직적 안모 패턴은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로 나누어 환자를 9가지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환자를 가상적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하악 중절치 기준 2 mm 수직 교합 고경을 증가시킨 후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 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을 측정한 후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의 비율을 구하여 9가지 집단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 지 서로 비교하였다. 비교분석은 2-way ANOVA로 검정하고 사후 분석은 Tukey test를 이용하였다. 모든 검정은 유의수준 5%에서 수행되었다. 결과: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은 Class I, II, III 간의 비교에서는 Class III 집단에서,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 간의 비교에서는 모든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은 Class I, II, III 및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 집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연조직 Pogonion의 후방 이동량 대 연조직 Menton의 하방 이동량 비율은 Class I, II, III 및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hyperdivergent 집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9가지 집단 중 Class II & hyperdivergent 집단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결론: 수직 교합 고경의 증가 시 시상적 안모의 패턴 및 수직적 안모의 패턴에 따라 하안모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Class II & hyperdivergent 얼굴 패턴을 가진 환자는 수직 교합 고경 증가가 동반되는 치료 시 다른 유형에 비해 하안모의 변위량이 클 수 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on lower facial changes by facial type. Materials and methods: Lateral cephalograms from 261 patients were obtained and classified by sagittal (Class I, II, and III) and vertical (hypodivergent, normodivergent, and hyperdivergent) facial patterns. Retrusive displacement of soft tissue Pogonion and downward displacement of soft tissue Menton were measured in each group after 2 mm of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was increased at the lower central incisor using a virtual simulation program. The ratio of both displacements was calculated in all group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2-way ANOVA and Post hoc was done by Tukey test (5% level of significance). Results: Retrusive displacement of soft tissue Pogonion in Class III group was statistically different compared to Class I and II, and in vertical facial groups all 3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5). Downward displacement of soft tissue Ment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sagittal groups and vertical groups (P<.05). The ratio of both displacem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agittal groups and vertical groups (P<.05), and Class II hyperdivergent group had the highest value. Conclusion: Lower facial change was sta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facial type when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increased. Class II hyperdivergent facial type showed the highest ratio after increase in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