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로교 개보수를 위한 개략공사비 산정 모델 개발 - 회귀분석과 사례기반추론의 비교를 중심으로 -

        전건영,조재용,허영,Jeon, Geon Yeong,Cho, Jae Yong,Huh, Young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4

        To restore old aqueduct in Korea which is a irrigation bridge to supply water in paddy field area, it is needed to estimate approximate costs of restoration because the basic design for estimation of construction costs is often ruled out in current system. In this paper, estimating models of construction costs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performance data for restoration of RC aqueduct bridges since 2003. The regression analysis (RA) model and case-based reasoning (CBR) model for the estimation of construction costs were developed respectively. Error rate of simple RA model was lower than that of multiple RA model. CBR model using genetic algorithm (GA) has been applied in the estimation of construction costs. In the model three factors like attribute weight, attribute deviation and rank of case similarity were optimized. Especially, error rate of estimated construction costs decreased since limit ranges of the attribute weights were applied. The results showed that error rates between RA model and CBR models were inconsiderable statistically.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estimating method of approximate costs of aqueduct restoration will be utilized to support quick decision making in phased rehabilitation project. 국내의 수로교는 쌀문화로 상징되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교량으로서 수로교를 개보수하기 위해서는 기본설계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재 생략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에 소요되는 공사비를 산정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03년 이후 교체한 RC구조 수로교에 대한 실적자료를 기초로 개략공사비 산정 회귀분석(RA) 모델과 사례기반추론(CBR) 모델을 개발하였다. RA 모델의 경우 단순회귀 모델이 다중회귀 모델보다 오차율이 낮았다. CBR 모델의 경우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였으며 영향요인의 가중치, 편차, 순위조건을 최적화 대상으로 하였고 특히 영향요인 가중치의 범위를 제한하여 수로교 개보수 공사비의 예측 정확도를 제고하였다. RA 모델과 CBR 모델 사이의 오차율은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수로교 개보수 개략공사비 산정방법은 개보수사업의 시행에 따른 신속한 의사결정을 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수로교 경관 개선을 위한 미학적 설계법

        전건영(Jeon, Geon Yeong),김남희(Kim, Namhee),허영(Huh, Young) 대한토목학회 2012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32 No.6A

        전국 농촌에 산재되어 있는 많은 수로교가 노후화되어 보수ㆍ보강 및 리모델링이 필요한 실정이다. 수로교는 농촌의 경관에 일부분을 치지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본연의 기능 위주로 설계되어 구조물별 특징없이 소규모의 연속화된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단조로운 경관요소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기능과 안전 및 경관을 함께 고려한 수로교의 리모델링 설계가 요구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실제 적용가능한 설계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로교 설계대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교량의 미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상하부구조의 형태과 배치, 색채와 문양 등을 미학적 설계요소로 표현하였으며 제시된 설계대안은 주변경관과 함께 지역적 맥락에 적합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수로교 개보수 설계 대안 가이드라인은 농촌지역의 경관에 어울리도록 노후 수로교에 대한 개보수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any of old aqueduct bridges located in rural areas are in need of repair and redesign. They still occupy some portion of countryside landscaping. However, most of them were designed to fulfill their basic functions of carrying waters, which has not contributed to the landscape positively. Moreover, it is not rational to treat each design case of aqueduct bridges individually because they are relatively small in size and arranged continuously over a long path. Therefore, it is better to provide a design guideline to repair or to redesign old aqueduct bridges as a whole considering both structural safety and landscape. The main objective is to develop a framework to repair and redesign of old aqueduct bridges for safety improvement and better land-scape. Specifically this paper will address the development of possible design alternatives for repair and redesign The development of design alternatives for redesign will follow general principle of bridge aesthetics and be represented according to structural system, flume shape, pier height, pier shape in terms of design parameters while minor repair includes paintings and other ornamentations. And the developed design alternatives will be reviewed with its landscape as a background to check the visual compatibility within the community context.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guideline will be utilized to develop a maintenance plan to revitalize old aqueduct bridges to improve overall landscape of rural areas.

      • KCI등재

        신 간척지토양의 공간적 염농도 변이가 녹비·사료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손용만(Yong-Man Sohn),전건영(Geon-Yeong Jeon),송재도(Jae-Do Song),이재황(Jae-Hwang Lee),박무언(Moo-Eon Park)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3

        최근에·간척 조성된 화옹, 이원 및 영산강간척지에서 밭작물재배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2007~2008년 2년간 간척지의 염농도변이와 녹비·사료작물의 생육과의 관계를 시험연구하였다. 토양염농도는 여름철 호우시 배수불량에 의한 침수피해가 심하였든 영산강간척지와 화옹간척지에서는 시험작물의 생육에 유의적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침수피해가 없었든 이원간척지는 염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작물생육과 수량은 로그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장 큰 초장에 대한 대비 50% 이상 생육저해를 나타내는 표토염농도는 콩 5 dS m<SUP>-1</SUP>, 옥수수 6 dS m<SUP>-1</SUP>, 수단그리스, 피 및 세스바니아는 7 dS m<SUP>-1</SUP> 정도로 추정되었고, 이 저해농도에서의 녹비수량의 감수율은 최고수량대비 26~44%수준으로 염농도에 대한 수량감수피해가 초장단축저해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작물의 건물수량(kg 10a<SUP>-1</SUP>)은 장소에 따라 변이가 매우 커서 잘 된 장소가 수단그라스 2,426, 제주재래피 907, 세스바니아 1,881, 옥수수 2,032, 콩 924정도로 높은 편이지만 염농도가 높고 침수나 습해를 입은장소는 전혀 수확이 없는 개무 상태였다. 상대적으로염농도가 낮은 영산강과 배수가 좋은 이원간척지는비교적 수량이 많았으나 화옹간척지는 염농도도 높고배수도 불량하여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Relation between soil salinity and forage yield of five upland crops such as sudan grass, sesbania, barnyard grass, corn and soybean was studied in the three reclaimed lands of Korea during two years from 2007 to 2008. Although plant number emerged was obtained satisfactory by desalting treatment, further growth of crops was sharply affected by re-salting process according to soil drying. Soil salinity varied place by place and changed constantly, crop growth was differently responded to soil salinity according to the specific conditions of the reclaimed lands. In the Iweon reclaimed land with higher soil water conductivity and sandy soil texture, crop growth and yield sharply decrease with increase of soil salinity. Relation between soil salinity and crop growth and yield was well expressed as logarithmic function. Surface soil EC to reach at 50% of growth reduction to the tallest height of crops was 5dS m<SUP>-1</SUP> for soybean, 6dS m<SUP>-1</SUP> for corn and 7dS m<SUP>-1</SUP> for sudan grass, sesbania, and barnyard grass by logarithmic function. In the Hwaong and Yeongsangang reclaimed lands with low soil conductivity and finer soil texture, plant growth response to salt stress was statistically vague by mixing of harmful influence from flooding and wet injury. However, it is observed that crop growth and yield on the place of lower salinity was better than crop growth on the place of higher salinity. It is accordingly concluded that flooding control during summer rainy season is vary important as well as desalting process for good growth of soiling and forage crops in the newly reclaimed land from tidal flat.

      • KCI등재

        Effect of Soil Salinity and Soil-wetting by Summer-Rising of Water Table on the Growth of Fruit Trees Transplanted at the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in Korea

        Yong-Man Sohn(손용만),Geon-Yeong Jeon(전건영),Jae-Do Song(송재도),Jae-Hwang Lee(이재황),Doo-Hwan Kim(김두환),Moo-Eon Park(박무언)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1

        최근 조성된 새만금간척지의 범용화의 일환으로 과수원조성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무화과, 블루베리 등 6개 수종을 식재하였다. 2009년 5월 31일 이식한 과수묘목은 초기에 활착이 양호한 편이었으나 점차 고사주의 발생이 심화되면서 월동전 10월 말에는 생존율이 사과 4∼28%, 배 6∼25%, 복숭아 0%, 포도 83∼88%, 무화과 25∼39%, 불루베리 0∼3%로 급격히 감소하였고 신초장도 정지되거나 고사하였다. 이처럼 고사주가 많이 발생한 원인은 토양염농도가 전 생유기간 중 토양 EC가 3.0 dS m?¹이하로 낮게 유지되어 염해 발생가능성이 적은 반면에 여름강우기 높은 토양수분조건과 호우시 정체수가 많이 발생하여 생긴 침수해로 추정된다. 새만금토양은 투수계수가 121 ㎝ day?¹로 정체수가 생길 가능성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정체수에 의한 침수해가 발생하는 것은 여름장마기에 지하수위의 상승과 토양의 수분포화도가 높아짐에 따라 토양의 강우수용능력이 10∼24 ㎜ 정도로 급격히 줄어들기 때문에 적은 강우량에도 정체수가 많이 발생하는 간척지의 특성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이식묘목이 전멸한 복숭아는 습해에 약한 생리적 특성, 거의 전멸에 가까운 높은 고사율을 보인 블루베리는 산성토양을 좋아하는 생리적 특성 때문에 알칼리성의 간척지 특성 (pH 8.0-8.4)에 적응하지 못하여 생긴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새만금 간척지에서의 과수원조성은 제염과 더불어 배수문제가 선결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추정된다. The effect of soil salinity and soil-wetting by rise of water table on the growth of fruit trees was studied to obtain information for orchard establishment in the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Survival ratio of trees was 85% for grape, 31% for fig, 15% for apple and pear, and near zero for peach and blueberry. Wet injury induced by water-logged or flooded condition, rather than salt injury(soil EC was lower than 3.0dS m?¹ during growing period) is thought to be more responsible for low survival ratio of fruit trees transplanted in Saemangeum area. During the summer raining season in the reclaimed areas, the soil salinity tends to be decreased by natural rainfall effect, and the rainfall acceptable capacity(RAC) of soils dramatically is reduced(10-24 ㎜) as rainfall is continued to occur. In spite of high hydraulic conductivity(121 ㎝ day?¹) of soils across the area, low RAC of soils might be due to high soil saturation and elevated water table during summer raining season. Therefore, the installation of effective drainage system should be the primary factor determining successful establishment of orchard in the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 KCI등재

        신간척지토양의 공간적 토양염농도 변이가 보리, 호밀 및 귀리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손용만(Yong-Man Sohn),전건영(Geon-Yeong Jeon),송재도(Jae-Do Song),이재황(Jae-Hwang Lee),박무언(Moo-Eon Park)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6

        간척조성지에서 녹비ㆍ사료작물의 연중 재배기술개발을 위하여 화옹간척지, 이원간척지 및 영산강간척지에 시험포장을 설치하여 하계 녹비ㆍ사료작물인 수단그라스, 세스바니아, 제주재래피의 후작으로 동계 녹비ㆍ사료작물인 보리, 호밀 및 귀리를 공시하여 시험재배하였다. 토양염농도와 공간변이성은 이원간척지와 화옹간척지가 시험작물의 고사나 생육저해를 유발할 정도로 매우 높은 반면에 영산강간척지는 작물의 생육저해를 유발하지 않을 정도로 매우 낮았다. 시험작물의 파종 후 출현개체수는 염농도의 증가에 따라 로그함수적으로 감소하여 최고 출현개체수의 50%로 감소하는 EC(dS m?¹)가 보리 6.5, 호밀과 귀리 5.1로 추정되어 토양염농도가 평균 6 dS m?¹을 초과할 경우 맥류의 출현이 크게 감소하였다. 시험작물의 수량은 염농도의 증가에 따라 로그함수적으로 감소하여 청예수량이 50% 이상 감수되는 염농도(dS m?¹)는 보리 4.9, 호밀 6.2, 귀리 6.0으로 추정되고, 건물수량은 보리 5.5, 호밀 6.2, 귀리 5.8로 추정되며, 종실수량은 보리 5.6, 호밀 5.8, 귀리 5.7로 추정되어 동작 맥류재배를 위해서는 적어도 6 dS m?¹ 이하로 염농도가 관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원과 화옹간척지는 염농도가 10 dS m?¹ 이상으로 높아서 출현부진과 생육저해 및 고사가 많아서 수확이 불가능하였으나 영산강간척지는 염농도가 6.17 dS m?¹ 이하로 유지되어 염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지 않아서 청예수량(㎏ 10a?¹)은 호밀 1,479, 귀리 1,328, 보리 1,582이었고, 건물수량(㎏ 10a?¹)은 호밀 689, 귀리 683, 보리 701이었으며, 종실수량(㎏ 10a?¹)은 보리가 395, 호밀이 164, 귀리가 325를 얻었다. Effect of soil salinity variation on the growth of barley, rye and oat was studied at the Hwaong, Iweon and Yeongsangang reclaimed lands in the western seaside of Korea. Soil salinity variation and soil EC were very high for crops to be killed or to be brought serious growth retardation during the growing season at the Iweon and Hwaong reclaimed lands, but fully low not to bring growth retardation at the Yeongsangang reclaimed land. Relation between soil salinity and crop growth and yield was well expressed as logarithmic function. Surface soil EC to reach at 50% of seed-emergence reduction was estimated 6.5 dS m?¹ for barley and 5.1 dS m?¹ for rye and oat by logarithmic function. In addition, surface soil EC to reach at 50% of grain yield reduction to the best growth in the experimental site was estimated 5.6 dS m?¹ for barley, 5.8 dS m?¹ for rye and 5.7 dS m?¹ for oat, while soil EC to reach at 50% of dry matter reduction was estimated 5.5 dS m?¹ for barley, 6.2 dS m?¹ for rye and 5.8 dS m?¹ for oat by logarithmic function. Grain yield of barley, rye and oat was 395, 164 and 325 ㎏ 10a?¹ in the Yeongsangang reclaimed lands naturally controlled below condition of 6 dS m?¹ of soil EC, but no harvest was obtained in the Hwaong and Iweon reclaimed land because of high salinity more than 15 dS m?¹ in maximum soil EC during growing period. Consequentially, it was concluded that soil salinity must be controlled below 6 dS m?¹ for good growth and high yield of winter barley, rye and oat in the reclaimed land in Korea.

      • KCI등재

        점적관수가 토양염농도 제어와 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손용만(Yong-Man Sohn),전건영(Geon-Yeong Jeon),송재도(Jae-Do Song),이재황(Jae-Hwang Lee),박무언(Moo-Eon Park)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6

        간척조성지 밭작물재배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점적관개가 간척지토양의 염농도관리와 배추 및 양배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영산강간척지, 이원간척지 및 화옹간척지에 시험지를 조성하여 시험재배를 하였다. 점적관개는 표토의 염농도를 비교적 효과적으로 염스트레스 기준이하로 제어할 수 있었지만 토양의 염농도에 대한 공간변이성을 완전히 해소시키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었고 이 공간변이성이 생산물의 상품화율을 낮추는 원인중의 하나로 생각되었다. 표토의 염농도가 높을수록 유거수의 염농도가 직선적으로 증가함으로 고농도의 유거수는 간척지의 염농도관리에 매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적기 이식재배를 한 이원간척지에서는 평균 수량이 배추가 약 6-7톤/10a, 양배추가 5톤 정도로 비교적 높은 수량을 보였고 상품화율도 배추 51.2%, 양배추 59.4%로 어느 정도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적기에 비하여 이식이 늦은 화옹간척지와 영산강간척지는 수량도 매우 낮았고 상품화율도 거의 없거나 매우 낮아 적기를 맞추지 못한 것이 저수의 가장 큰 변수였다. 배추와 양배추의 결구비대는 토양염농도가 증가할수록 로그함수적으로 감소하였고, 결구배추가 최고 구중의 50% 이하로 감소되는 토양EC는 적기에 이식한 이원간척지의 경우 배추 6.1dS m?¹ 양배추 5.7dS m?¹이었다. Effect of drip irrigation on soil salinity control and growth of vegetable crops was studied in the three reclaimed lands of Korea in 2007. Drip irrigation was done one or two times per month for reduction of salt stress by using vinyl hose with tiny holes laid on ridge surface under black plastic film mulch during growing season of cabbage and chinese cabbage. It was observed that drip irrigation was generally effective to soil salinity control, but soil salinity variation of some place was not fully solved to lower down under level of free salt stress. It is also considered that high salinity of runoff water spilled out from cultivation ridge plays another key role for soil salinity management. Consequentially, this soil salinity variation might be one of factors brought low average yield and low commercial ratio of agricultural products. Relation between soil salinity and head growth of cabbage and chinese cabbage was well expressed as logarithmic function. Surface soil EC to reach at 50% of growth reduction to the heaviest head can be estimated was 6.1dS°§m-1 for cabbage and 5.7dS m?¹ for chinese cabbage transplanted at optimum season.

      • KCI등재

        서해안 신간척지에서 유채-피마자 작부체계시 토양염농도 및 침수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손용만(Yong-Man Sohn),전건영(Geon-Yeong Jeon),송재도(Jae-Do Song),이재황(Jae-Hwang Lee),박무언(Moo-Eon Park)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5

        간척조성지 밭작물 재배기술개발의 일환으로서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피마자와 유채를 공시작물로 하는 작부체계로 유지작물의 재배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피마자의 생존개체율은 토양염농도 4 dS m?¹에서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초장이 50% 정도 단축되는 토양염농도는 4 dS m?¹으로 추정되었다. 유채의 초장생육이나 수량은 토양염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초장은 6 dS m?¹일 때, 수량은 2~2.5 dS m?¹의 범위에서 50%가 감소되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강우가 많은 계절에 재배되는 피마자는 염농도 뿐만 아니라 습해에도 약하여 배수가 불량한 영상강과 화옹 간척지에서 각각 0.8과 6.5 ㎏ 10a?¹로 적었으나 배수가 좋은 이원 간척지는 42 ㎏ 10a?¹로서 비교적 높은 경향이었다. 겨울작물인 유채는 비강우기간의 재염화가 심하였던 화옹 간척지에서 전혀 수량을 얻지 못하였으나 출현불량과 염농도의 변이가 심하였던 이원 간척지는 종실수량이 평균 9 ㎏ 10a?¹로서 매우 낮았고, 염농도가 낮게 유지된 영산강간척지는 332 ㎏ 10a?¹로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서해안 간척지에서 피마자와 유채의 생육 및 수량성을 고려해 볼 때 토양염농도가 피마자 4 dS m?¹, 유채 3 dS m?¹ 이하로 관리되고, 침수피해가 없도록 배수관리가 된다면 유지작물재배가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Double cropping system of oilseed crops introduced rape and castor bean was studied in the newly reclaimed tidal land of Korea. Surface soil EC to reach at 50% of growth reduction to the tallest height of crops was estimated 4dS m?¹ for castor bean and 6dS m?¹ for rape by logarithmic function. The castor bean cultivated during rainy summer much more suffered serious growth and yield reduction by flooding damage in the Hwaong and Yeonsangang reclaimed lands having low soil conductivity and finer textured soil than in the Iweon reclaimed land having higher soil conductivity and coarse sandy textured soil. Rape cultivated during dry winter-spring much more suffered serious growth and yield reduction by high soil salinity come from re-salting process. 50% yield reduction was estimated at 2.0 2.5 dS m?¹ of surface soil EC by logarithmic function. Consequentially, it was concluded that oilseed production for energy by double cropping system of rape and castor bean might be possible under good controling soil salinity below 4 dS m?¹ for castor and 3 dS m?¹ for rape in the newly reclaimed land of Korea.

      • KCI등재

        신간척지토양의 공간적 염농도 변이가 녹비·사료작물의 출현에 미치는 영향

        손용만(Yong-Man Sohn),전건영(Geon-Yeong Jeon),송재도(Jae-Do Song),이재황(Jae-Hwang Lee),박무언(Moo-Eon Park) 한국토양비료학회 2009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2 No.3

        최근에 간척 조성된 화옹, 이원 및 영산강간척지에서 밭작물재배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일환으로 2007 2008년 2년간 토양염농도의 시 공간적 변이와 염농도가 녹비 사료작물(수단그라스, 제주재래피, 세스바니아, 옥수수 및 콩)의 출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시험 간척지의 토양염농도는 간척지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으며, 동일 간척지 내에서도 장소에 따라 차이가 크고, 파종전에 비하여 시험후인 가을에는 여름 강우기의 제염효과로 매우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녹비 사료작물을 파종하기 전 3일간 담수로 제염처리를 한 후에 파종한 2007년도 시험에서는 입모수(No. m<SUP>-2</SUP>)가 수단그라스 55~442, 제주재래피 118~700, 세스바니아 46~692, 옥수수 4~11, 콩 6~22정도로 확보되어 작물재배에 문제가 없었으나 파종전 제염처리를 하지 않은 2008년 시험에서는 간척지에 따라서 염농도 차이가 크고, 또 동일 간척지내에서도 장소에 따라 염농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서 전혀 출현되지 않은 곳부터 출현율이 매우 좋은 곳에 이르기 까지 매우 다양하였으며, 출현 개체수는 토양염농도의 증가에 따라 로그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출현 개체수가 0에 도달하는 토양염농도 수준(dS m<SUP>-1</SUP>)은 수단그라스 17, 제주재래피 25, 세스바니아 20, 옥수수17, 콩 14이었다. Relation between spatial variation of soil salinity and emergence of five upland crops such as sudan grass, sesbania, barnyard grass, corn and soybean was studied in the three reclaimed lands of Korea during two years from 2007 to 2008. Although soil salinity is vary high at seeding season, desalting treatment by three days-flooding before seeding, reach at favorable level lower than 6 dS m<SUP>-1</SUP> of soil salinity for emergence of soiling and forage crops and then plant number emerged(No. m<SUP>-2</SUP>) was 55~149 for sudan grass, 118~266 for barnyard grass, 46~115 for sesbania, 3~11 for corn and 6~19 for soybean in 2007. However plant number emerged under no desalting treatment varies place by place because of soil salinity difference in 2008. Plant number emerged after seeding according to soil salinity was well expressed as logarithmic function, and sharply decrease with increase of soil salinity. It is accordingly concluded that desalting treatment of flooding before seeding of upland crops is essential for good emergence in the newly reclaimed land from tidal flat.

      • KCI등재

        새만금간척지에서 토양염농도 및 재배조건이 이랑의 유지와 밭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손용만(Yong-Man Sohn),송재도(Jae-Do Song),전건영(Geon-Yeong Jeon),김두환(Doo-Hwan Kim),박무언(Moo-Eon Park)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5

        최근 조성된 새만금간척지의 범용화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간척지의 밭작물재배를 위하여 새만금간척지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염농도, 배수 및 이랑안전성에 대한 연구검토가 시급하다. 시험연구는 새만금간척지에 조성된 시험포에 옥수수, 콩 및 고구마를 공시작물로 하여 각 작물당 3-4개의 품종을 파종하여 유기물시용과 비닐피복, 염농도변화, 토양의 수분 및 침수 등 재배조건이 이랑의 안전성과 작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작물의 수량은 옥수수가 청예수량 170~1,465 kg 10a<SUP>-1</SUP>, 건물수량 83~649 kg 10a<SUP>-1</SUP>, 옥수수의 이삭수량이 0.07~0.78 No. plant<SUP>-1</SUP>이었고, 콩은 청예수량이 320~1,746 kg 10a<SUP>-1</SUP>, 건물수량 117~566 kg 10a<SUP>-1</SUP> 종실수량 19~90의 범위였고, 고구마는 생물총량 1,108~3,998 kg 10a<SUP>-1</SUP>, 식용부분인 고구마괴근 수량 306~1,729 kg 10a<SUP>-1</SUP>로 일반 경지에 비하여 수량성이 매우 낮았다. 이처럼 수량성이 낮은 원인은 ① 새만금 간척지에 조성된 시험지는 극세사 함량이 높은 양질 사토로서 제염상태가 많이 진전되어 대부분 2 dS m<SUP>-1</SUP>이하로 제염되어 염농도가 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지만, 일부 지역에서 염농도가 16 dS m<SUP>-1</SUP> 이상으로 높아서 출현되지 못하거나 생육불량 정도가 극심하였고, ② 새만금간척지 토양은 견지성이 약하여 이랑침식으로 인한 도복과 뿌리노출로 고사하는 피해가 극심하였으며, ③ 토양의 투수력은 빠르나 지하수의 상승으로 토양의 강우수용능력이 감소되어 과습과 침수해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④토양이 척박하고 보비력이 약하여 세탈이 심하여 비절에 의한 양분장해가 심하였던 것으로 요약되었다. 유기물시용과 비닐피복은 이랑의 붕괴와 침식을 감소시켜 이랑유지능력이 증가하고 토양의 치밀화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수량증가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soil salinity and culturing conditions including compost application and vinyl mulching on the maintenance of ridge and the growth of upland crops, three crops such as corn, soybean and sweet potato were experimented by using three or four cultivars of crops in the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Average soil salinity before seeding was 2 dS m<SUP>-1</SUP>, which was low enough for general upland crops to grow. However, high soil EC more than 16 dS m<SUP>-1</SUP> was observed in some parts of the experimented field. In the experiment, it was concluded that growth retardation and yield reduction of summer upland crops might be from severe erosion of ridge, soil compaction, flooding or wet soil condition and high salinity of some parts, and then these deteriorations were possibly improved for good crop growth and yield increase by compost application and vinyl mulching cultivation in the Saemangeum reclaimed tidal 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