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흙의 물 빠짐’과학 활동에서 경험귀납적, 가설연역적 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신은수(Eunsoo Shin),정현빈(Jeong Hyun Been),정영미(Jung Young Mi) 한국육아지원학회 2015 육아지원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흙의 물 빠짐’ 과학 활동에서 경험귀납적, 가설연역적 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저소득층에 속하는 인천시 G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유아 40명(만 4세 20명, 만 5세 20명)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상류층에 속하는 서울시 B대학 부속유치원의 유아 40명(만 4세 20명, 만 5세 20명) 총 80명의 유아들로 선정하여 유아의 연령,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집단을 구성하였다. 경험귀납적 방법을 적용한 집단은 자유 실험 및 탐색(가설검증), 교사와의 대화(가설설정), 적용(가설적용)의 3단계로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가설연역적 방법을 적용한 집단은 교사와의 대화(가설설정), 자유 실험 및 탐색(가설검증), 적용(가설적용)의 3단계로 활동을 진행하였다.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 평가는 적용(가설적용) 단계에서 유아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관찰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및 삼원변량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자유 실험 및 탐색을 강조한 경험귀납적 방법이 가설연역적 방법보다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과 문제해결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의 연령과 사회경제적 지위가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pirical-inductive and Hypothetical-deductive Method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The subjects were total of 80 young children consisting of 40 children (20 children of 4-year-olds and 20 children of 5-year-olds) from a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G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so called low class areas in Incheon and the other 40 children (20 children of 4-year-olds and 20 children of 5-year-olds) from a kindergarten attached to the B University in Seoul so called mid-high class areas in Seoul. The science activities of ‘soil drainage’ were used to assess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The activities were based on empirical-inductive methods. They are conducted in three phases; 1) free experimentation and exploration, 2) talking with teachers and 3) applicati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were assessed by observation when they were doing the scientific task in the third phase of activities. The observational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d three-way repeated ANOVA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depending on young children’s age,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age and their socioeconomic status need to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process skills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young childre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serve special needs of different groups of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