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n Embodiment Research and its Descriptiveness

        Daniel Chaein LEE(이채인),Myunghoon LEE(이명훈)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14 기업과 혁신연구 Vol.7 No.1

        체화인지(embodied cognition)에 대한 연구는 지난 30여 년간 빠르게 증가해왔으며 심리학, 마케팅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주제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이 연구분야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체화인지 연구가 서술적 연구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 즉 서술성 비판이다. 본 연구는 서술성 비판을 중심으로 하는 문헌연구이며, 서술성에 대한 변호(apology)와 서술성의 극복을 위한 대안(alternative)의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먼저 체화인지 연구의 대표적인 이론적 모형들을 소개한 후에 체화인지 연구의 서술성에 대한 비판을 문헌적으로 분석한다. 서술성 비판은 기존연구에서 대략 다음의 세 가지 관점으로 분류된다: 첫째, 체화인지 연구가 부실한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고 있다는 관점; 둘째, 체화인지 연구가 적절한 과정모형(process model)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관점; 셋째, 체화인지 연구가 다양한 효과를 보여주지만 그 효과의 이면에 어떤 이유가 있는지에 대해 충분히 보여주지 않는다는 관점. 본 연구는 위의 세 가지 관점으로 대표되는 서술성 비판이 충분한 근거를 갖추고 있지 않을 수도 있음을 입증함으로써 서술성 비판에 대한 비판적 고찰, 즉 서술성에 대한 변호를 시도한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체화인지 연구의 서술성을 완화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며, 이를 위해 현상 중심의 연구, 현장 연구, 그리고 행동 척도의 사용을 제안한다. Researchers’ interest in embodied cognition has grown dramatically over the last 30 years. Despite its increasing popularity, embodiment research has been met with a bit of criticism on its allegedly "descriptive" nature. Being a literature analysis on such “descriptiveness”, this paper purports to provide an apology for the alleged shortcoming and to quest for alternative methodologies that may serve to remedy them. This paper begins with introducing major theoretical models in the embodiment research, followed by an attempt to categorize the descriptiveness allegations. Descriptiveness critiques may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perceptions: less than satisfactory theoretical background; lacking in formal and computational process models; and well-expounding on what relationship there exists but falling short of explaining how, when, and why such relationship holds. We then attempt to offer an apology for the descriptiveness by establishing that each of the perceptions may be overstated and undeserving. Lastly, we seek for alternative research methodologies to mitigate the descriptiveness shortcomings in embodiment research and propose the following: moving toward phenomenon-driven research; incorporating more behavioral measures into its empirical studies; and implementing more field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