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Localized Mobility

        Schafer, P.,Brubacher, C.,Hwang, M.J 한국공공사회학회 2018 공공사회연구 Vol.8 No.1

        주요 대도시의 미세먼지의 원인이되는 자동차의 매연과 날로 증가하는 도심지 교통체증의 문제로 인하여, 자동차의 사적 소유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동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적인 사고가 요구되고 있다. 이는 보다 현대적이고 다양하며 환경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유형의 공유적 이동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환점에서 본 연구자들이 선행연구에서 제언한 “이동의 지역화를 기반으로 지역성과 지역사회의 수준에서 이동행위에 대한 이론적으로 구성된 개념체계로 설명하였다. 지역적 수준이란 시민이 높은 빈도로 혹은 활발하게 생활하고 이동하는 수준이나 단위를 의미한다. 이 수준에서는 이동이 구성되는 형태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의 지역화” 연구의 이론적 구성을 넘어서, 구체적인 사례로서의 지역적 맥락을 가지고 이 이론이 어떻게 구성되고 또 얼마나 확장성을 갖고 적용될 수 있는지에 관한 이론적인 평가와 함께 논의를 전개할 계획이다. 준거적인 분석틀로서 세종시를 대상으로 실시한 사례연구방법론이 적용되었다. 한국의 세종특별자치시는 독특한 원형의 이동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계획도시로서 환승-지향적인 개발과 도시 전체에 대한 공정한 접근을 강조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지역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고유의 이동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준높은 인식론적인 기반 위에 원칙적인 적용과 실천에 있어서 맥락적으로 섬세한 수준의 지역화된 이동에 대한 이해를 얻기 바란다. By virtue of disillusionment with private car ownership becoming incrementally more apparent, and as a result of increasing fine dust levels and traffic congestion proliferating in major world cities, a mobility paradigm shift is underway. Preferred travel modes are evolving with greater momentum towards contemporary, multi-modal, and environmentally sustainable forms of shared mobility. This shift is mentioned in recent research on ‘localized mobility’, a theoretically established construct pertaining to mobility behavior at the level of localities and communities. The local level is the level at which citizens live and move within most frequently, and thus the level possessing the greatest influence over how their constructions of mobility are shaped. In this paper, the theoretical construct of localized mobility is taken a step further, evaluating a conceptual scheme for how, and the extent to which, it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and devised to be compatible with, a particular local context. The analytical frame of reference used in this case study is that of Sejong City, South Korea, a planned city designed and built to have a unique ring-shaped mobility network with an emphasis on transit-oriented development and the provision of equitable access to the entirety of the city.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local communities experiencing their own nuanced mobility challenges can gain valuable cognizance of how to approach the adapt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ir own context-sensitive version of localized mobility.

      • A Concept Map-Based Support System for English Language Teaching

        이진주 ( Jinju Lee ),( Conrad Brubacher ),구상회 ( Sang Hoe Koo ) 고려대학교 세종경영연구소 2013 경상논집 Vol.33 No.1

        본 논문은 학습자의 지식 정도를 파악하는 진단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동일 학급에 속한 학습자간 균형 있는 영어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한다. 교사는 진단평가를 통하여 학생들의 선행 지식에 대한 이해 정도를 파악하고, 개별 학생에게 적절한 보충 학습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간 선행 지식 상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여,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개념도 모듈, 평가 모듈, 사용자 프로파일 모듈로 이루어져있다. 개념도 모듈은 학생에게 교습할 내용으로서의 개념과 이 개념들의 연관 관계로 구성 된다. 본 연구에서 개념 모듈은 초등학교 4학년 영어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해당 교육과정에 포함되는 영어 문법과 그들 사이의 관계성으로 이루어졌다. 평가 모듈은 진단평가 문제와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 프로파일은 학습자에 관한 일반 정보와 평가 모듈 안에 있는 문제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 결과를 포함한다. 진단평가는 각 단원이 시작되기 전 수행되고 평가 결과에 따라 사용자 프로파일이 동적으로 갱신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개념도 기반 교육 지원 시스템은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실제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구현되었으며, 구조적 제약성이나 가정을 많이 포함하고 있지 않기에, 본 시스템은 영어뿐만 아니라 전달 지식을 개념도로 표현이 가능한 모든 과목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proposes a support system for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tended to balance English classrooms regarding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A pre-test is used to elucidate learners' specific strengths and weaknesses in English, with the test results forming the basis of user profiles for each learner in the classroom. With those results, English teachers are able to balance their classrooms by targeting specific deficiencies with supplementary practice that allows learners to focus before and during upcoming lessons. Three modules comprise the proposed system: a concept map module that is made up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grammar concepts from the English curriculum of a grade four elementary class; an evaluation module consisting of the aforementioned pre-test and information regarding the test questions; and a user profile module containing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general information for each user. As learners take the pre-tests in advance of upcoming concepts to be learned, the user profile also updates the database as learners acquire knowledge of new concepts and advance towards more complex grammatical stages of the concept map. Although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conjunction with an English curriculum in Korea, it can also be employed within other fields as a way for teachers to recommend the customized practice necessary to enhance learning of the concepts intrinsic to those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