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eoul, Keep Your Paddies! Implications for the Conservation of Hylid Species

        Borzee, Amael,Ahn, Jaeha,Kim, Sanha,Heo, Kyongman,Jang, Yikweon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2015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31 No.3

        Biodiversity is plummeting worldwide, and the major causes of such decline include habitat degradation and climate change. While cities do contribute to the negative impact to the environment, they can also serve as strategic centres for conservation programs. Sites qualifying as biogeographic islands within metropolitan Seoul were studied for the occurrence of two hylid species: the endangered Hyla suweonensis and the abundant H. japonica.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neither habitat diversity nor surface area, but solely the occurrence of aggregated rice paddies is a requisite for H. suweonensis, hypothetically due to its strict breeding requirements. On the contrary, H. japonica occurrence was not affected by any of these factors, and all types of habitats studied were adequate for this species. The presence of an endangered species within the boundaries of one of the most populated metropolises suggests a strong natural resilience, which should be enhanced with appropriate actions. We emphasize that the management plans therein can, and should, be used as the first step in the conservation of H. suweonensis in metropolitan Seoul.

      • KCI등재

        Seoul, Keep Your Paddies! Implications for the Conservation of Hylid Species

        Amael Borzee,Jaeha Ahn,Sanha Kim,Kyongman Heo,Yikweon Jang 한국동물분류학회 2015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31 No.3

        Biodiversity is plummeting worldwide, and the major causes of such decline include habitat degradation and climate change. While cities do contribute to the negative impact to the environment, they can also serve as strategic centres for conservation programs. Sites qualifying as biogeographic islands within metropolitan Seoul were studied for the occurrence of two hylid species: the endangered Hyla suweonensis and the abundant H. japonica.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neither habitat diversity nor surface area, but solely the occurrence of aggregated rice paddies is a requisite for H. suweonensis, hypothetically due to its strict breeding requirements. On the contrary, H. japonica occurrence was not affected by any of these factors, and all types of habitats studied were adequate for this species. The presence of an endangered species within the boundaries of one of the most populated metropolises suggests a strong natural resilience, which should be enhanced with appropriate actions. We emphasize that the management plans therein can, and should, be used as the first step in the conservation of H. suweonensis in metropolitan Seoul.

      • KCI등재

        Preference for Heated Substrate in Captive River Cooters (Pseudemys concinna): A Potential Use for the Control of Invasive Populations

        Hakyung Kang,Amael Borzee,Ming-Feng Chuang,Yikweon Jang 한국동물분류학회 2021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37 No.1

        Invasive species threaten global biodiversity as well as human livelihood and much of the global lands are vulnerable to these threats. Numerous freshwater turtles from the northern hemisphere have been introduced in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the Republic of Korea. Knowing turtle’s behavioral ecology is valuable to manage introduced populations and a distinctive behavior is basking for behavioral thermoregulation.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using basking to enhance trapping, we tested thermotaxis in the river cooter (Pseudemys concinna). Turtles were placed in an aquarium containing heated and non-heated mats under controlled water and air temperature, air humidity and light. We found that P. concinna stayed significantly longer on heated mats than on unheated control mats in 11 out of 18 trials, demonstrating that heat source is a potential attractant for P. concinna. We recommend the use of heat source to bait traps used for population control of invasive freshwater turtles.

      • SCOPUSKCI등재

        Treefrog lateral line as a mean of individual identification through visual and software assisted methodologies

        Kim, Mi Yeon,Borzee, Amael,Kim, Jun Young,Jang, Yikweon The Ecological Society of Korea 2017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41 No.12

        Background: Ecological research often requires monitoring of a specific individual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To enable non-invasive re-identification, consistent external marking is required. Treefrogs possess lateral lines for crypticity. While these patterns decrease predator detection, they also are individual specific patterns. In this study, we tested the use of lateral lines in captive and wild populations of Dryophytes japonicus as natural markers for individual identification.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ults of visual and software assisted identifications were compared. Results: In normalized laboratory conditions, a visual individual identification method resulted in a 0.00 rate of false-negative identification (RFNI) and a 0.0068 rate of false-positive identification (RFPI), whereas Wild-ID resulted in RFNI = 0.25 and RFNI = 0.00. In the wild, female and male data sets were tested. For both data sets, visual identification resulted in RFNI and RFPI of 0.00, whereas the RFNI was 1.0 and RFPI was 0.00 with Wild-ID. Wild-ID did not perform as well as visual identification methods and had low scores for matching photographs. The match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continuity of the type of camera used in the field. Conclusions: We provide clear methodological guidelines for photographic identification of D. japonicus using their lateral lines. We also recommend the use of Wild-ID as a supplemental tool rather the principal identification method when analyzing large datasets.

      • KCI등재

        Japanese Hard Ticks (Ixodes nipponensis) Parasitizing on the Endangered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a) in the Republic of Korea

        Kim, Kyungmin,Kong, Sungsik,Kim, Ye Inn,Borzee, Amael,Bae, Yoonhyuk,Jang, Yikweon The Korean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2018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34 No.1

        Because of the potential negative influence on their hosts, ecto-parasites are of prime importance to numerous species. Ticks are among these, distributed worldwide, and potentially transmitting diseases while sucking blood of diverse hosts.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a Elliot, 1871) is the only felid left in the Republic of Korea following widespread anthropogenic disturbances that have resulted in the extinction of both Panthera species: the Siberian tiger(Panthera tigris altaica Temminck, 1844) and Amur leopard (P. pardus orientalis(Schlegel, 1857)). This study identifies ticks collected from a roadkill leopard cat retrieved in Seosan area in the Republic of Korea. Two ticks attached to the facial area of the carcass were identified as Japanese hard ticks, Ixodes nipponensis,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The matching sample was from Japan with 99.7% similarities, and the only available sequence on GenBank. This study reconfirms that I. nipponensis parasitizes the endangered leopard cat P. bengalensis euptilura.

      • KCI등재

        Japanese Hard Ticks (Ixodes nipponensis) Parasitizing on the Endangered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a) in the Republic of Korea

        Kyungmin Kim,Sungsik Kong,Ye Inn Kim,Amael Borzee,Yoonhyuk Bae,Yikweon Jang 한국동물분류학회 2018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Vol.34 No.1

        Because of the potential negative influence on their hosts, ecto-parasites are of prime importance to numerous species. Ticks are among these, distributed worldwide, and potentially transmitting diseases while sucking blood of diverse hosts. The leopard cat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a Elliot, 1871) is the only felid left in the Republic of Korea following widespread anthropogenic disturbances that have resulted in the extinction of both Panthera species: the Siberian tiger (Panthera tigris altaica Temminck, 1844) and Amur leopard (P. pardus orientalis (Schlegel, 1857)). This study identifies ticks collected from a roadkill leopard cat retrieved in Seosan area in the Republic of Korea. Two ticks attached to the facial area of the carcass were identified as Japanese hard ticks, Ixodes nipponensis, based on mitochondrial cytochrome oxidase I. The matching sample was from Japan with 99.7% similarities, and the only available sequence on GenBank. This study reconfirms that I. nipponensis parasitizes the endangered leopard cat P. bengalensis euptilura.

      • 토종어류를 이용한 황소개구리(Lithobates catesbeianus) 올챙이의 포식자 인식에 대한 연구

        최민지,Ming Feng Chaung,강하경,Amaël Borzée,장이권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8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7

        1973년이후 식용 및 농가소득 증대를 위하여 일본에서 황소개구리를 도입하여 전 국 각지의 농가에 분양 사육토록 하였으나 실패하였고 후에 방류 사업을 통해 이식 된 것들이 현재 전국적으로 확산일로에 있다. 황소개구리는 생태계교란에 영향을 끼 치며 고유종의 개체군 감소의 주범이다. 황소개구리(Lithobates catesbeianus) 올챙이는 한국에 서식하는 다른 양서류의 올챙이들과는 달리 성체가 되기 까지 2-3년의 시간 이 걸린다. 따라서, 황소개구리의 개체 수를 감소하기 위해서는 황소개구리 올챙이의 수를 감소 시키는 것 이 커다란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황소개구리 성체를 대상 으로 한 실험결과에 비하면 황소개구리 올챙이 생태에 관한 국내 연구결과는 미미하 다. 작년도 <한국환경생태학회지>에 실린 유영한 공주대 교수팀의 실험결과에 의하 면 우리나라 토종 어류인 가물치, 메기, 동자개 등 어류 3종은 황소개구리를 먹는 것 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는 이 중 가물치와 메기를 황소개구리 올챙이의 포식자로 선 정하여 황소개구리 올챙이의 포식자 인식 행동 생태를 관찰하고, 어떠한 환경을 선 호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부레옥잠과 수초를 은신처의 용도로 사용하였다. 실험은 총 세 가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수조를 반으로 나누어 한쪽에는 부 레옥잠을 띄우거나 인공수초를 설치 한 뒤, 올챙이가 수조의 어느 쪽에 위치해 있는 지 5분 간격으로 1시간 동안 관찰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부레옥잠/인공수초를 설치한 수조에 가물치/메기를 넣은 후 올챙이를 넣어 30분 동안 올챙이가 당한 공격 횟수를 측정하고, 실험 종료를 기점으로 올챙이의 생존율을 기록하였다. 세 번째 단 계에서는 두 번째 실험에서 생존한 올챙이를 실험대상으로 하여 첫 번째 실험과 동 일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황소개구리의 행동 생태를 이해하는데 기여하고, 황소개구리의 개체군 조절 사업의 기본적인 정보로써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유인매개체에 따른 외래종 황소개구리(Lithobates catesbeianus)의 포획율 변화에 대한 연구

        권세라,Ming Feng Chuang,김아정,최민지,Amaël Borzée,장이권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18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7

        이동수단의 발달에 따라 침입외래생물의 유입은 세계적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유입된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는 사례가 계속하여 보고되고 있다. 황소개구리 (Lithobates catesbeianus)는 가장 성공적으로 도입된 생물종 중 하나로 다양한 환경과 기후에서 생존이 가능하며 특출한 적응력과 분산 능력 때문에 제거가 쉽지 않다. 이 와 더불어 경쟁, 행동수정, 서식지 조절, 질병, 기생충 전염을 통해 토종 생태계에 직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식용으로 도입되었지만 양식 중단에 따른 관리 소홀로 인해 자연에 유입되어 생태계 교란의 주범이 되고 있다. 본 연구 는 생태계 교란종인 황소개구리의 행동 및 생태 특성을 고려하여 포획장치와 유인기 술 개발이 목표이다. 연구 수행을 위하여 군산, 서산의 2 지역에서 각각 12개의 조사 지점을 지정하였으며, 조사 시에는 조사지점의 성체, 아성체의 개체수와 CI (Calling Index) 그리고 환경요인(기온, 습도, 기압, 수온, pH, 전도도, 바람세기)을 기록하였다. 포획실험 시에는 동일한 포획장치에 성체 유인매개체(대조군, 조명, 노래)와 유생 유 인매개체(대조군, 먹이)를 조합하여 총 6가지 처리를 실시하였다. 획득한 자료는 단순 회귀분석과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전 지역에 대하여 포획장치 설치 전 1회 조 사를 실시한 결과, 한 번의 조사에서 성체는 2.29±2.56 (평균±표준편차)개체가 발견되 었으며 CI는 평균 0.71±0.91 이었다. 성체와 유생을 대상으로 포획실험을 1회 실시한 결과 전체 포획장치에서 최소 0에서 최대 7, 평균 0.67±1.55 의 성체가 포획되었으 며, 유생은 최소 0에서 최대 75, 평균 4.21±15.73 개체가 포획되었다. 단순회귀분석결 과 발견된 성체의 수와 CI가 포획된 성체의 수와 비례관계를 보였고(p<0.05), 환경요 인과 성체의 수 사이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원분산분석결과 처리군의 종류 에 따른 성체 포획율에 차이가 없었고 관측 검정력이 매우 낮았다. 유생도 모든 처 리군에 대하여 유의미한 값을 얻지 못하였지만, 먹이 처리군에서 평균 포획된 개체 수가 8.42±21.89 일 때, 대조군은 한 개체도 포획되지 않아 추가 실험을 실시할 경우 연관성을 보일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 연구에서는 관측 검정력을 높 이기 위하여 추가 실험을 실시할 예정이며 각 처리군 간의 효율을 비교할 것이다. 이 연구결과는 생태적 보존과 외래종의 효과적인 관리전략과 정책 수립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