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성, BMI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백영호,고정림,천은석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7 교사교육연구 Vol.46 No.2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성, BMI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를 위해 B·U시에 있는 13개 고등학교 총 1,81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불성실한 84명을 제외한 1,726명을 대상으로 고등학생들의 성, 계열, BMI에 따른 자가건겅관리행태를 비교하였다The Journal, College of Education. Vol. 46, No. 2, (2007) 성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는 남·여학생 모두 평균수면시간은 6시간, TV시청시간은 1시간으로 컴퓨터 사용시간은 남학생 2시간·여학생 1시간으로 남·여학생 모두 스트레스해소방법은 음악듣기, 아침식사여부는 매일 먹는다, 간식횟수는 매일 먹는다, 간식선호도는 비스켓, 빵류, 인스턴트섭취횟수는 주1~2회, 선호음식은 육류, 선호음료는 주스류, 체형인지정도는 약간 살찐 체형, 운동을 하지 않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 운동을 하는 이유는 신체적 건강을 위해서, 음주횟수는 마시지 않는다, 흡연·음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에 지장이 있는 것 같다. 신경안정제·수면제·각성제 등의 복용여부는 없다로 나타났다. TV시청시간, 아침식사여부, 선호음료, 체형인지정도, 신경안정제, 수면제, 각성제 등의 복용여부에서는 남학생이 더 나은 자가건강관리행태를 컴퓨터 사용시간, 간식선호도, 인스턴트섭취횟수, 선호음식, 음주횟수, 흡연·음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여학생이 나은 자가건강관리행태를 나타냈다. BMI에 따른 자가건강관리행태는 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 모두에서 평균수면시간은 6시간, TV시청시간은 1시간으로 컴퓨터 사용시간은 1시간, 스트레스해소방법은 음악듣기, 아침식사여부는 매일 먹는다로 간식횟수는 저체중·정상체중은 매일 먹는다·과체중은 주 1~2회로 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 모두에서 간식선호도는 비스켓·빵류, 인스턴트섭취횟수는 주 1~2회, 선호음식은 육류, 선호음료는 주스류로 체형인지정도는 저체중은 마른체형으로 정상·과체중은 약간 살찐 체형으로 저체중·정상체중·과체중 모두에서 운동을 하는 이유는 신체적 건강을 위해서, 운동을 하지 않는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 음주횟수는 마시지 않는다, 흡연·음주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에 지장이 있는 것 같다, 신경안정제·수면제·각성제 등의 복용여부는 없다로 나타났다. 정상은 저체중·과체중보다 간식선호도에서 과체중은 정상·저제중보다 아침식사여부, 간식횟수, 선호음식, 체형인지도에서 자가건강관리행태가 좋았다.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성별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계열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BMI는 정상체중이 저체중과 과체중보다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 청소년들의 올바른 자가건강관리행태를 높이고, 잘못된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바로 잡을 수 있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청소년 자가건강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청소년기에 맞는 보다 일반화된 검사를 할 수 있는 자가건강관리행태와 신체적 자기 효능감의 설문지 개발과 자가건강관리의 능동적 실천 방안을 마련해야 된다고 본다. For the study on the type of self-care status according to gender, BMI and physical self- efficacy of high-school students, this study took a census at 1,810 students of 13 high-schools at area of U and P. This study took a Chi-square to compare the type of self-care status according to gender, BMI of high-school students. The study calculat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hen perform one-way ANOVA to compare physical self-efficacy of high-school students. Verifications on those was executed by Duncan with the significance level of a=.05.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followed below. At both boy and girl students: average sleeping time -6 hours, average watching TV time - 1 hour, the methods of releasing a stress : listening to music, yes or no of eating a breakfast -Taking a breakfast everyday, how often they eat snack foods - everyday, the preferred snack foods - biscuit, bread, the frequency of eating fast-foods - 1~2 per week, the preferred foods - meats, the preferred beverage - juices, the cognition on body type - a little fat body. The reason why they don't excise - having no time to excise, the reason why they do excise - To have a healthy body, the frequency of drinking alcohol - zero, the affection of smoking and drinking alcohol on studying - It seems to be, yes of no of taking medicines such as tranquilizer, sleeping drug, stimulant - No. The time of using a computer - boys (2 hours) / girls (1 hour).Boy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girl students in watching TV time, yes or no of eating breakfast, the preferred beverage, cognition on the body type, yes of no of taking medicines such as tranquilizer, sleeping drug, stimulant. Girl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boy students in the time of using a computer, the preference of snack foods, the frequency of eating fast-foods, the preferred foods, the frequency of drinking alcohol, the affection of smokingㆍdrinking alcohol on studying. At all under, normal, over-weight students: the average sleeping time - 6 hours, the average watching TV time - 1 hour, the average time in using a computer - 1 hour, the methods of releasing a stress - listening to music, yes or no of eating a breakfast : -Taking a breakfast everyday, the preferred snack foods - biscuit, bread, the frequency of eating fast-foods - 1~2 per week, the preferred foods - meats, the preferred beverage - juices. The reason why they do exercise : -To have a healthy body, the reason why they don't excise -having no time to excise, the frequency of drinking alcohol - zero, the affection of smoking and drinking alcohol on studying - It seems to be, yes of no of taking medicines such as tranquilizer, sleeping drug, stimulant - No. The frequency of eating snack-foods : low & normal - everyday / over - 1~2 times. The normal weight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low or over-weight in the preferences of snack-foods. the over weight students have a better types of self-care status than the normal or low-weight in yes or no of eating a breakfast, the frequency of eating snack-foods, the preferred foods, the cognition on body type. On gender, it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that the boy students are higher than the girl students in the physical self-efficacy. On BMI, it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that normal weight are higher than low & over weight in the physical self-efficacy. These results show us that we have to develop a systematic and continuous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juveniles-self that enhance upright types of self-care status and fix the wrong living and eating habits. And these results also show us that we have to prepare the types of self-care status which can be generally tested for juveniles and the development of census on the physical self-efficacy and active practice plan on self-care status.

      • 고교생의 자가건강관리형태에 관한 연구

        고정림,천은석,백영호 釜山大學校 附設 體育科學硏究所 2008 體育科學硏究所 論文集 Vol.24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자가건강관리형태에 관한 연구를 위해 B.U시에 있는 13개 고등학교 총 9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불성실한 25명을 제외한 875명을 대상으로 고등학생들의 자가건강관리형태를 비교하였으며, 자료처리는 chi-square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은 a=.05로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강관리형태는 성별에 따른 체형인지도와 운동여부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학생, 남학생 모두에서 체형인지도는 약간 살찐형, 운동참여이유는 건강, 운동 불참이유는 시간이 없어서로 각각 나타났으며, 여가시간 사용 형태에서 컴퓨터 사용시간은 여학생이 1시간 남학생은 안한다가 가장 높았고, 스트레스 해소 방법과 수면시간은 남녀 모두 음악 듣기와 6시간의 수면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음식 섭취형태는 선호음식이 여학생 남학생 모두 육식 위주가 가장 많았고, 선호음료는 여학생이 쥬스류, 남학생은 쥬스와 유제품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기 손상된 비내진 RC 골조의 진동대 실험

        백은림 ( Baek Eun Rim ),김경민 ( Kim Kyung Min ),천주현 ( Cheon Ju Hyun ),김태진 ( Kim Tae Jin ),임남기 ( Lim Nam Gi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7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1

        In this study, the shake table test of the damaged reinforced concrete frame was carried out and the damage and dynamic respons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The static lateral-cyclic test for the specimen was followed by the dynamic test. As a result of the shake table test, damage was concentrated on existing cracks and the maximum inter-story drift ratio was calculated as 1.94% at the final excitation step.

      • 2층 실대형 구조물에 설치한 스프링클러 배관의 지진거동

        백은림 ( Baek Eun-rim ),서영득 ( Seo Young-deuk ),최형석 ( Choi Hyoung-su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2

        스프링클러 배관은 지진과 같은 재난 시 화재 진압 등을 위해 기능 유지가 필요한 비구조요소로 내진성능 확보가 필요하다. 국외 지진에서 스프링클러와 천장의 상호작용에 의해 스프링클러 배관이 손상된 사례가 있어, 국내에서도 스프링클러 배관의 지진시 거동 및 내진성능 평가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2층 실대형 구조물에 실제 스프링클러 배관 시스템(수직, 수평 주배관, 가지배관 및 스프링클러 헤드)을 설치하여 진동대 실험을 통해 지진 시 동적 거동을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 국내 설계 지진 작용 시 건물에 비해 짧은 주기로 진동하는 특성이 있으며, 스프링클러 헤드는 가지배관과 주름관으로 연결되어 특별한 손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 철재 적재 선반 연결부의 거동 평가를 위한 정적가력실험

        백은림 ( Baek Eun-rim ),서영득 ( Seo Young-deuk ),김충길 ( Kim Chung-gil ),최형석 ( Choi Hyoung-su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2

        건물내 설치되어 대중에 공개된 적재 선반 구조물은 지진 시 적재물 낙하 및 붕괴로 인해 인명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어 내진설계가 필요한 중요도가 높은 비구조요소이다. 적재 선반 구조물은 모멘트 골조구조와 유사한 구조형식을 보이지만, 접합 상세가 모멘트 골조구조와 달리 후크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지진과 같은 수평하중 작용시 접합부의 회전 거동에 지배되며 접합부에 손상이 집중되는 거동을 보인다. 적재선반의 내진설계 및 성능평가를 위해서는 실험을 통해 실질적인 기둥-보연결부의 거동 및 성능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적재 선반을 대상으로 정적 단조가력 및 반복가력실험을 수행하여 수평하중 작용시 적재선반 연결부의 손상 특성 및 모멘트-회전 거동을 평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