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流行性 出血熱 病原體의 媒介體에 關한 硏究

        임양우,김승곤 최신의학사 1977 最新醫學 Vol.20 No.4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ur epidemic areas of hemorrhagic fever such as Yunchun, Pocbun, Yangju and Paju of Kyunggi Province from January to August, 1971. 1. A total number of 204 host collected during the study was identified in to species in 7 genera, 2 families and 2 orders. 2. The mites collected from the wild rodents were identified into 14 species in 7 genera, 3 families and 2 suborders. The common and high density of the population was Laelaps agilis. 3. The lice were identified into 4 species in 2 genera and 1 family. The fleas were identified into 6 species in 6 genera and 3 families.

      • 韓國型出血熱 發生地域 野生齧齒類에 關한 硏究

        金寅淑,林諒雨,李鎬汪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74 고려대 의대 잡지 Vol.11 No.1

        Korean hemorrhagic fever (KHF) occurr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during Korean conflict among UN Forces residing in Yunchun and Chulwon areas in 1951, although it had previously been known to both the Japanese and Russian in Manchuria and Siberia, respectively. After Korean war, the disease has been fixed in the areas of demilitarized zone as an endemic one, and the causative agent has gradually spread in a southwesterly direction and from 100 to 400 hospitalized cases have been being reported every year. Etiologic agent of KHF has not been isolated yet but results of the epidemiologic and entomologic studies indicated that the field rodents might play as a reservoir of the disease. The results of the study on 759 field rodents collected in the hyperendemic areas of KHF, Yunchun, Yangju, Pochun and Paju, in 1971 and 1972 are as follows. 1) 759 field rodents collected in the hyerendemic areas of KHF in 1971 and 1972 were 2 orders 3 families 8 genera and 8 species. The most prevalent species was Apodemus agrarius coreae 80%, and Microtus fortis pelliceus 5% and Crocidura lasiura 2.7%, in order. 2) Seasonal incidence of the field rodent was cor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KHF patient, with two peaks in May, June and November, December. 3)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organs of 785 autopsied field rodents were as follows. a) As a result of autopsy of 618 Apodemus agrarius coreae no weight differences of organs were found between female and male. Weights of organs were, maxillary lymphnode 0.02-0. lg, spleen 0.05-0.2g, liver 0.9-3.2g, kidney 0.2-0.6g. b) No weigh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organs of 119 Microtus fortis pelliceus were recorded. Maxillary lymphnode 0.02-0.08g, spleen 0.03-0.18g, liver 1.1-3.5g, kidney 0.2-0.8g. c) Weights of organs of 19 Crocidura lasiura were, maxillary lymphnode 0.01-0.05g. spleen 0.02-0.47g, liver 0.8-1.2g, kidney 0.1-0.4g. d) MUS musculus yamashinai, weights of organs were, maxillary lymphnode 0.05-0. lg, spleen 0.02-0.12g, liver 0.4-1.3g, kidney 0.17-0.29. e)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 weights of organs were, maxillary lymphnode 0.01-0.07g, spleen 0.05-0.l4g, liver 1.2-2.0g, kidney 0.37-0.68g. f) Cricetulus trition nestor, weights of organs were, maxillary lymphnode 0.02-0.18g, spleen 0.02-0.12g, liver 3.0-4.4g, kidney 0.65-0.9g. g) Micromys minutus ussuricus, weights of organs were, maxillary lymphnode 0.05g, spleen 0.075g, liver 0.3g, kidney 0.2g. h) Talpa micrura coreana, weights of organs were, maxillary lymphnode 0.02g, spleen 0.2g, liver 2.4g kidney 0.5g.

      • 韓國型出血熱 發生地域 野鼠의 體外奇生體에 關한 硏究

        權燦淑,林諒雨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1973 고려대 의대 잡지 Vol.10 No.3

        Korean hemorrhagic fever (KHF) occurr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1951, although it had previously been known to both the Japanese and Russian. After Korean war, the disease has been fixed in the areas of DMZ as an endemic one, and from 100 to 400 cases have been being reported every year. 759 field rodents were collected in the endemic areas of civilian hemorrhagic fever patients in 1971 and 1972 and their ectoparasites were classified.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ectoparasites of field rodents are as follows. 1. Mites harvested from field rodents collected in tile most prevalent endemic foci of KHF, Chulwon, Yunchun, Pochun and Paju are 8 genera and 14 species. The most predominant species was Laelaps agilis and, Euschongastia koreansis, Loptotrombidium pallida and Loptotrombidium palpalis in order. 2. Seasonal incidence of mites harvested from rodents was high in the dry seasons of Korea such as May, lune, October and November. Population of blood-sucking mites Loptotrombidium pallida and Loptotrombidium palpalis reached maximum about one month before the peaks of KHF patients. 3. Lice lived upon on field rodents were 2 genera 4 species. Polyplax serrata was 78% in 1971 and Polyplax enulosa was 40% in 1972. 4, Fleas collected from field rodents were 6 genera 6 species and, the most prevalent species was Ctenophthalmus congener (70%) and next was Xenopsyella cheopis. Above results are suggestive that Loptotrombidium mites, lice and fleas might play a role as a potential vector of Korean hemorrhagic fever.

      •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성별 및 시기에 따른 주간 행동 분석

        김지원 ( Ji-won Kim ),이정은 ( Jung-eun Lee ),함충호 ( Choong-ho Ham ),강희진 ( Hee-jin Kang ),임양우 ( Yang-woo Lim ),장두강 ( Du-kang Jang ),성하철 ( Ha-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1

        동물은 계절, 온도, 먹이, 환경변화 등에 따라 다양하게 반응하며 종 보호와 복원을 위해 그 종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특히 멸종위기종 동물의 행동에 대한 이해는 종 보존과 보호 측면에서 가치가 높기 때문에, 국외에서는 멸종 위기종의 행동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남생이(Mauremys reevesii)는 거북목(Testudines) 남생이과(Geoemydidae)에 속하는 국내에 유일한 토종 민물거북이며 과거에는 전국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종이었으나, 환경오염,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뚜렷하게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재청에서는 남생이를 천연기념물 453호로 지정하였고, 환경부에서는 남생이를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하여 보호 및 관리하고 있다. 또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남생이를 멸종 위기종(EN)으로 분류하였다. 남생이의 복원을 위해 국내에서 인공증식 및 부화와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생활사와 더불어 종의 보전에 가장 기본이 되는 행동 연구는 이동성, 구애행동 등 일부 행동에 집중되어 있어 전반적인 행동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남생이의 행동 특성 파악을 위해 남생이의 주요 활동 시간대를 포함한 08-17시까지의 주간 행동을 관찰하여 성별 및 시기(번식기/비번식기)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월출산국립공원 내 남생이 대체서식지에서 관리중인 남생이 개체(n=6)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기간 중 6월을 번식기, 9월을 비번식기로 선정하여 2020년 6월과 9월에 대체서식지 내 설치된 CCTV로 남생이의 행동을 녹화하였고 녹화된 영상을 관찰 및 분석하였다. 남생이의 행동은 크게 5가지(구애행동, 먹이활동, 상호작용, 이동, 휴식)로 분류하였으며, 주간 동안 10분 간격으로 관찰하였고 행동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행동이 발생할 때 마다 횟수를 기록하였다. 성별에 따른 행동 분석 결과 암컷의 경우(n=3) 총 행동 횟수 874회(100%) 중 먹이활동 6회(0.7%), 상호작용 81회(9.3%), 이동 367회(42.0%), 휴식 420회(48.1)로 나타났다. 수컷의 경우(n=3) 총 행동 횟수 1,297회(100%)중 구애행동 48회(3.7%), 먹이활동 8회(0.6%), 상호작용 46회(3.5%), 이동 529회(40.8%), 휴식 666회(51.3%)로 나타났다. 수컷에서만 관찰된 구애행동을 제외하고 암컷과 수컷 모두에서 휴식>이동>상호작용>먹이활동 순서로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휴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시기에 따른 행동 분석 결과 번식기에는 총 행동 횟수 1,021회(100%) 중 구애행동 25회(2.5%), 먹이활동 11회(1.1%), 상호작용 48회(4.7%), 이동 422회(41.3%), 휴식 515회(50.4%)로 나타났다. 비번식기에는 총 행동 횟수 1,150(100%) 중 구애행동 23회(2.0%), 먹이활동 3회(0.3%), 상호작용 79회(6.9%), 이동 474회(41.2%), 휴식 571회(49.6%)로 나타났다. 총 행동 횟수가 번식기보다 비번식기에 더 많이 나타난 것은 여름철 남생이의 활동량이 감소하는 특성과 변온동물인 남생이가 번식기의 높은 기온에서 활동 시 에너지 소모가 크기 때문에 비번식기보다 적게 활동한 것으로 생각된다. 먹이활동의 경우는 비번식기보다 번식기에 더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이는 번식을 위해 더 많은 에너지가 요구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일부 행동이 낮은 비율로 나타난 것은 사육 상태 때문일 수 있으며, 야생에서 관찰된 행동과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남생이의 행동을 분류하여 분석한 국내 최초의 연구로 추후 남생이 행동 연구의 기초자료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추가적으로 남생이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수행된다면 사육 시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관리 방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는 남생이의 보존 및 복원에 도움이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