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林園十六志 引用文獻 分析考(1)- 農學分野를 중심으로 -

        노기춘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7 No.1

        This study analyze the cited literatures of six chapters of Limwonsibyukji, which mainly deal with agriculture.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among citations twenty kinds of literature have orthographic errors in title and fifty three kinds of literature are abbreviated titles. Totals of cited literature which concerned with agriculture in Limwonsibyukji are 357 kinds and citation frequency is 5349 times. Core literatures which citation frequency over 100 times are Kunbangbo, Nongseo, Nongjeongjeonseo, Bonchogangmok, Jeminyosul, Jengbosanlimkyongje, Nanhoeomokji, Haeongpoji, Hwahansamjaedohae, Bakjumokdansa and six chapters of Limwonsibyukji concerning agriculture was mainly compiled through direct citation from raw materials. 이 연구는 林園十六志 가운데 農學分野에 속하는 6개 志의 引用文獻을 분석한 논문이다. 분석결과, 引用文獻의 표기상 誤謬로 확인된 문헌은 20종이며, 略書名 또는 異書名은 53종으로 확인되었다. 書名의 誤記와 略書名 또는 異書名을 정리하여 본 결과, 農學分野의 引用文獻은 총 357종, 인용회수는 총 5349회로 밝혀졌다. 그리고 林園十六志의 農學分野 편찬에 인용회수가 100회 이상인 핵심문헌은 芳譜(667회), 農書(王禎)(299회), 農政全書(296회), 本草綱目(268회), 齊民要術(264회), 增補山林經濟(251회), 蘭湖漁牧志(250회), 杏蒲志(213회), 和漢三才圖會(137회), 州牧丹史(107회) 등 10종으로 밝혀졌고, 農學分野인 6개 志는 원문(1차 자료)의 직접인용을 통한 편찬 작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湖南의 地域區分에 관한 연구

        노기춘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7 호남학 Vol.0 No.40

        지역학, 향토학의 전제가 되는 지역범위의 설정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湖南學의 활발한 논의를 위해 湖南學이 포괄할 수 있는 지역적 범위를 정리한 논문이다. 연구 결과, 湖南이란 명칭은 조선 건국초부터 사대부층을 중심으로 개념이 형성되었으며, 1500년대 명칭의 일반화 단계를 거쳐 1600년대 이후부터 완전히 정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高麗史地理志, 世宗實錄地理志, 新增東國輿地勝覽, 東國輿地志, 朝鮮實錄, 海東地圖, 林園經濟志 등의 문헌에 수록된 全羅道와 湖南의 영역은 모두 일치하며, 湖南의 경계가 되는 특정 지형지물은 ‘錦江’으로 밝혀졌다. 또한 문헌에 수록된 지명을 바탕으로 湖南의 지역적 범위를 획정해 보면, 沃溝∼龍安에 이르는 錦江 하류 이남 지역으로부터 大屯山을 거쳐 珍山~錦山에 이르는 북쪽 지역과, 소백산맥 안쪽의 茂朱↔雲峯↔求禮↔光陽에 지역, 그리고 남쪽은 濟州에 이르는 지역이 모두 湖南의 영역에 해당되며, 현재의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그리고 제주도를 湖南學으로 포괄할 수 있는 지역의 범주로 분류하였다. A study on the regional scope of Honam Roh, Ki-chun There is no need to reiterate how important to set the regional scope is when research regional or local area study. This study intend to make clear the regional scope of Honam, which enables to make vigorous argument of Honamhak. The concept of ‘Honam’ formed by illustrious official from beginning of Chosun Dynasty was generalized during 16th century, and totally fixed in 17th century. The regional scope of Honam mentioned in old literatures such as <KoryosaJiriji>, <SejongShillokJiriji>, <Shinjungdonggukyeojisengnam>, <Donggukyeoji>, <ChosunShilok>, <Haedongjido>, <LimwonKyongjeji> is totally same one, and the landmark which seperate Honam from other regions is Kum River. The regional scope of Honam from the record of old literatures covers from the south of Kum River’s downstream extended to Okgu~Yongan, through Daedun Mt., the north of Jinsan, Kumsan. Sobaek Mountains inner zone such as Muju, Unbong, Gurye, Gwangyang, to Cheju island. And now Cholanamdo, Cholabukdo, and Cheju island can be classified as a Honam region.

      • KCI등재

        고문헌의 보존처리에 관한 사례연구 -장흥 보림사 사천왕상에서 발견된 『금강경삼가해』를 중심으로 -

        노기춘,Roh Ki-Ch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5 No.3

        이 연구는 1995년 장흥 보림사의 사천왕상에서 발굴된 복장불서 가운데 보물 제745-9호로 지정된 $\boxDr$금강경삼가해$\boxUl$를 대상으로 서지학의 관점에서 지류문화재의 보수 및 보존처리 과정을 다룬 연구 논문이다. 보존처리 전 형태적 특징을 보면, 책의 크기는 가로 25.3 cm, 세로 38.9cm 두께 1.5cm 전체 면수는 58장, 지질은 황갈색의 고정지로 확인되었다. 보존처리 전 $\boxDr$금강경삼가해$\boxUl$의 상태는 사천왕문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하여 사천왕상에 빗물이 스며듦으로서 책의 바깥부분에 해당하는 장은 비교적 오염이 심한 상태일 뿐만 아니라 일부 장은 갈색으로 부식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며, 전체적으로 판심의 하어미와 서근 부분이 일정한 모양으로 박락 현상을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boxDr$금강경삼가해$\boxUl$의 보존처리를 하는데 있어서 수리방침의 주안점은 본지의 현상 유지를 우선원칙으로 삼되, 반드시 후세에 재수리가 가능하도록 수리방침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세부방침을 정하였다. $\boxDr$금강경삼가해$\boxUl$의 보존처리 과정은 1) 제1차 세척과정, 2) 판본 보완 및 보수 과정, 3) 제2차 세척 및 보존처리 과정, 4) 재단 및 제책과정, 서투 및 표갑의 제작 등으로 나누어 실행하였다. $\boxDr$금강경삼가해$\boxUl$의 수리 결과, 수리 전 책의 외형은 가로 25.3cm 세로 38.9cm 두께 1.5cm, 판본 58장(본문 57장, 보조지 1장)이었으나, 수리 후 가로 25.8cm, 세로 39.4cm, 책의 두께는 1.9cm, 판본 64장(본문 57장, 보조지 1장, 겉표지 앞과 뒤 각1장, 보호지 앞과뒤 각2장)으로 가로 0.5cm, 세로 0.5cm, 두께 0.4cm, 판본 6장이 증가하는 등의 외형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This research studied the preservation treatment of the papered literature the national treasure 745-9 $\ulcorner$Keumganggyung-samgahae$\lrcorner$, discovered in 1995 from the Four Devas of Borimsa Buddhist Temple at Jangheung County, in the viewpoint of the bibliography. The overall features of the $\ulcorner$Keumganggyung-samgahae$\lrcorner$ were of 25.3cm width, 38.9cm height 1.5cm depth, 58 pages and of high-fine yellow-brown colored reef paper. The book was ruined physically in the shape and color. The covers of the book were deeply stained by the permeated rain and some internal pages were changing into brown color by corrosion. The treatment policies were; maintaining the status quo and capable repeated treatment. And the preservation treatment was done in the sequences of 1) 1st cleaning process, 2) repairing and correcting, 3) 2nd cleaning and preservation 4) cutting, binding the book and making the envelope and wood box. The post-preservation features of $\ulcorner$Keumganggyung-samgahae$\lrcorner$ were; total 64 pages and the size being 25.8 cm width 39.4cm of lenght, and 1.9cm of depth.

      • KCI등재

        이익모의 병진연행록에 관한 연구

        노기춘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6 No.3

        Yeonhaengrok is a document recorded by one member of the envoy sent to the China from 17 to 19 century. Ik-mo Lee, a member of the envoy, wrote a full explanation of the visit from Nov. 24 1796 to Mar. 7 1797 in his writing Byongjin Yeonhaengrok. Byongjin Yeonhaengrok, which is omitted in the complete collection of Yeonhaengrok, has been newly found at the Family of Suwon Baek's house locating at the Sanggum Vil., Yongsan Town, Jangheung County of Chonnam Province. Byongjin Yeonhaengrok contains an historical meaning that it is an official record of the official envoy that was sent first after the Injong's enthronement in China. This study observed the bibliographical features of Byongjin Yeonhaengrok, the time of the transcription, the progress of receiving by the Suwon Baek family. And certified the details of the Byongjin envoy, going and returning between Hanyang and Beijing, staying schedules of the envoy in Beijing. 燕行錄은 17세기부터 19세기에 이르기까지 중국의 燕京을 使行하고 돌아 온 사행사의 일원에 의해 쓰여진 기록이다. 李翊模가 저술한 丙辰燕行錄은 謝恩兼冬至使 書狀冠인 李翊模가 1796년 11월 24일부터 翌年 3월 7일까지 매일 매일의 일정을 생생하게 기록한 燕行錄이다. 이 燕行錄은 임기중의 燕行錄全集에도 누락된 새로 발견된 燕行錄이며, 全羅南道 長興郡 蓉山面 上金里(金谷)에 위치한 水原 白氏 宗家에서 새로 발견되었다. 특히 丙辰燕行錄은 淸의 乾隆皇帝(高宗)가 琰(仁宗)에게 선위 의식을 거행한 후 첫 번째에 해당하는 정규 사절단의 공식 기록이라는 역사적 의미를 담고 있는 중요한 문헌이다. 이 연구는 李翊模의 燕行錄에 대하여 書誌的 特徵과 燕行錄의 필사시기 및 水原 白氏 宗家에 입수된 과정, 그리고 燕行錄에 수록된 내용을 중심으로 병진 사행의 3사신, 북경까지의 왕복 노정 및 북경에서의 체류 일정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 KCI등재

        일실 의학문헌 "윤방"의 문헌적 고찰

        노기춘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는 逸失 의한문헌 $\ulcorner$윤방$\lrcorner$에 대하여 撰述에 관한 여러 가지 문저점과 문헌적 性格을 살펴보고, $\ulcorner$산림경제$\lrcorner$의 여러 분야에서 散見되고 있는 $\ulcorner$윤방$\lrcorner$을 執一하여 그 내용을 복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본서는 17세기 중엽 이후 또는 18세기 초 인전에 해평 윤씨 가에서 우리나라 醫人들의 經驗方을 수집하여 엮은 의서로 추정되며, 현대임상분야별로 대비하여 본 결과 의학의 전 분야를 포괄하고 있는 종합의서의 문헌적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밝혀졌다. This study analyzed the various aspects in writing the lost ancient medical book Yunbang, whose title listed on no other catalogs. And examined the bibiiographical properties of Yunbang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citations collected from the book Sanlirngyoungiae. Yunbang, the collective empirical prescriptions of native medicines, is supposed to be made by the Yun families during the period of from the mid 17th to the early part of 18th centuries.

      • KCI등재

        「振武原從功臣錄券」에 관한 硏究

        노기춘 한국서지학회 2008 서지학연구 Vol.39 No.-

        Jinmu Wonjong Kongsin Rok Kwon is a book which listed the names and prizes of people who served to put down the rebellion of Lee Gwal in 1624. In this study, the copy of Jinmu Wonjong Kongsin Rok Kwon issued to Kim Hui-min who rendered distinguished services against this event, was examin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listed in terms of their official positions and social status. The result shows that a total of 6,205 persons(1st grade: 624 persons, 2nd: 1,088, 3rd: 4,475) with 283 official titles are listed in this book, and the largest group of 1,385 persons belonged to ‘Chul Sin’ who earlier passed the official examinations, but were not assigned any official positions at that time. Also, an analysis of their social status reveals that 2,720 persons were ‘Yangban’(the highest class of noble birth) which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 while ‘Yangin’(free men) were 1,566, ‘Chunin’(men of low class) were 1,066, and ‘Jungin’(men of middle class) were 853 persons. 「振武原從功臣錄券」은 1624년 일어난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들의 명단과 그들에 대한 포상 내용 등을 기록한 책이다. 본 연구는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데 큰 공을 세운 金希敏에게 1625년 발급된 「振武原從功臣錄券」을 대상으로, 녹권에 수록된 명단을 각 等級別로 나누어 職銜別, 身分別 인원수를 분석하여 난의 평정에 참여한 사람들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振武原從功臣錄券」에는 283개 직함에 총 6205명(1등급은 642명, 2등급 1088명, 3등급 4475명)이 수록되어 있으며, 난의 평정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한 직함은 1385명이 수록된 出身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4개의 신분으로 나누어 인원수를 분석한 결과, 兩班 2720명, 良人 1566명, 賤人 1066명, 中人 853명 등의 순으로 난의 평정에 兩班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음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湖南節義錄」에 관한 硏究

        노기춘 한국서지학회 2009 서지학연구 Vol.44 No.-

        본 연구는 1799년 高廷憲이 편찬한 「湖南節義錄」에 대하여 편찬배경 및 간행처, 간행시기, 편성체제와 내용분석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湖南節義錄」은 壬辰倭亂, 李适의 亂, 丁卯胡亂, 丙子胡亂, 李麟佐의 亂 등 5亂이 일어났을 때 활약한 호남지방 의병들의 행적을 기록한 책으로, 1799년 여름 順天 松廣寺에서 初刊하였음이 밝혀졌다. 현존하고 있는 5卷 5冊本 「湖南節義錄」은 수록된 <序文>의 數에 있어서 차이만 있을 뿐, 본문의 내용이 모두 동일한 판본으로 확인되었으며, 총 130여 곳에서 원문에 차이가 있는 藏書閣 소장본은 初刊本을 校訂 補刻한 後刷本으로 확인되었다. 「湖南節義錄」에는 殉節者 374명, 功勳者 1,086명, 총 1,460명의 殉倡者가 수록되어 있으며, 가장 많은 殉倡者를 배출한 지역은 靈光, 長興, 寶城, 羅州, 南原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comprehensively the background, place and date of publication, organization, and contents of Honam Jeoluirog(湖南節義錄) compiled by Go Jeongheon(高廷憲) in 1799. It is revealed that Honam Jeoluirog recorded the activities of civilian armies which rose in the cause of justice in the Honam Province during five wars and rebellions, that is,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Chinese Invasions of Korea in 1627 and 1636, the rebellion of Yi Gwal, and the rebellion of Yi Injwa, and was first published at Songgwang-sa in Sunchoen in 1799. It was confirmed that all the remaining editions of Honam Jeoluirog of 5 books in 5 volumes are the same editions with only a sligh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refaces(序文)’ included, and the edition held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with the difference in about 130 places of original texts was the revised and supplemented print of the first edition. In Honam Jeoluirog, recorded are a total of 1,460 persons killed during these wars and rebellions, of which 374 persons died in defense of their chastity and 1,086 fought for the cause of justice.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areas with the most deceased are Younggwang, Jangheung, Boseong, Naju, and Namwon in order of the number of the decea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