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UMNO 파벌주의와 마하티르 정치리더십의 권위주의화 경향에 관한 연구

        황인원(Hwang In-Won) 한국정치학회 2003 한국정치학회보 Vol.37 No.3

        1997년의 경제위기에서 1998년의 정치위기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나타난 마하티르와 안와르의 정치적 분열은 말레이시아에서의 ‘정치위기와 체제변동’의 동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계기를 제공한다. 1981년 집권 이래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폭넓은 대중적 지지를 구가하던 마하티르는 어떤 제반 요건에 의해 집권 말기에 정치적 위기를 맞게 되었는가? 안와르의 제거과정에서 나타난 마하티르의 배타적이고 억압적인 정치행태는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이에 대한 해답을 본 연구는 1981년 집권 이후 마하티르 정치 리더십에 대한 역사적인 분석을 통해 찾아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마하티르의 정치 리더십이 1980년대 집권 초기에 비교적 온건한 형태의 견제와 균형에서 직접적인 통제로, 그리고 1990년대 들어서 견제와 균형을 가미한 정치행태에서 최근 배타적이고 억압적인 모습으로 변화되어간 점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러한 마하티르 정치 행태의 일련의 변화에는 집권정당인 UMNO내 정치 엘리트를 중심으로 한 파벌간의 경쟁, 갈등과 이에 대한 마하티르의 정치적 대응이라는 역학 관계가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UMNO내의 파벌 갈등과 마하티르 정치 리더십 변화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 본 논문은 두 가지 주장을 하고자 한다. 첫째, 마하티르 집권 기간 동안 1987년과 1998년 두 차례에 걸쳐 나타났던 UMNO내 엘리트간의 정치적 분열은 당내 파벌 갈등을 둘러싼 ‘이율배반적인’(controversial) 마하티르의 정치 스타일의 실패가 낳은 필연적인 산물이다. 둘째, 권위주의적 체제에서 민주화로의 이행 과정에서 집권 엘리트 내부의 분열이 제공하는 긍정적 측면에도 불구하고, UMNO내 파벌 갈등과 분열은 오히려 집권당 내부의 정치뿐만이 아니라 말레이시아 정치과정 전반에 걸쳐 마하티르 개인을 중심으로 한 권위주의적 통치를 더욱 공고화시키는 계기로 작용했다. Regime change in authoritarian or semi-authoritarian states has often been attributed to divisions within the ruling group, especially in countries with a strong tradition of single party dominance. In Malaysia, therefore, a more responsive political system should be expected from the factional split in Malaysia's dominant political party, UMNO. There was, however, little evidence that the UMNO factionalism has promoted political liberalization in Mahathir's Malaysia after the severe factional conflict in 1987. The year 1998 appears to be another landmark in Malaysian political history. After several years of rumors of leadership conflict within UMNO, Anwar Ibrahim was dismissed from office, expelled from the party and eventually imprisoned under the ISA (Internal Security Act). Interestingly, the recent factional dispute within UMNO since Anwar's downfall in 1998 offers another opportunity to transform the political landscape of Malaysia.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relations of the UMNO factionalism and Mahathir's leadership style, focusing on Mahathir's strategies towards regime maintenance within UMNO during the 1981-98 period. Overall, it seems that there has been a growing concentration of political power in the hands of Mahathir since he came to power in 1981. However, it must also be noted that there have been meaningful changes in Mahathir's style in consolidating his political grip over the ruling party from moderate checks-and-balances(1981-87), direct control(1987-90), to indirect, but unambiguous. intervention(1990-98). By focusing on changes within the overall continuity in Mahathir's leadership style in UMNO politics,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meaningful background analysis of the recent UMNO leadership crisis, particularly the fall of Anwar.

      • KCI등재

        2008년 말레이시아 총선 분석과 정치적 함의

        이재현(LEE Jaehyon) · 황인원(HWANG In-Won)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8 신아세아 Vol.15 No.4

        이 연구는 2008년 3월 치러진 말레이시아 총선의 결과를 분석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독립이후 계속 집권을 해왔고, 늘 2/3 다수를 차지했던 기존 집권 국민전선의 의회 2/3 다수가 깨진 이 선거의 결과는 여러모로 매우 놀라운 것이다. 총선의 결과만 놓고 본다면, 여당의 참패, 야당의 약진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집권 국민전선 내의 비말레이 정당의 참패와 야당에서는 다종족정당인 민중정의당의 약진이 이번 선거 결과의 가장 두드러지는 점이다. 또 야당들은 주의회 선거에서도 큰 승리를 거두어 5개 주정부를 차지했다. 이런 놀라운 선거 결과가 나오게 된 원인은 국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한 현 총리 압둘라 바다위 리더십과 계속되는 UMNO내 파벌갈등에 대한 국민들의 실망, 사법부 스캔들, 치솟는 범죄율과 물가, 힌드라프로 대표되는 종족문제 등을 제대로 다루지 못한 압둘라 바다위의 국정운영의 실패 등이다. 이 선거 결과로 인해 장기적으로 말레이시아 정치에 주요한 변화가 예상된다. 우선 기존 종족별로 구성된 정당 지지와 정당체계가 균열의 조짐을 보인다. 이와 함께 집권 국민전선 내 정당간 힘의 재편도 예상할 수 있다. 물론 사실상의 집권당인 UMNO 내에서도 또 한번의 내부 권력 투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두 번째로 승리한 야당들 사이에도 힘의 관계가 재조정될 가능성이 있는데, 다종족 정당인 민중정의당이 이번 선거의 약진을 바탕으로 야당들을 이끌 것이다. 또 5개 주를 장악한 야당들은 이 주들의 운영을 통해 수권능력을 국민들에게 보여야 하는 과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1998-99년 목소리를 높였던 개혁운동세력(reformasi)의 명맥이 시민사회단체를 통해 온존하면서 이번 선거의 전후로 해서 정체세력화하는 움직임을 보였고, 그 영향력은 더욱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 This study analyses the result of Malaysian general election, held in March 2008. In this election, Barisan Nasional, which has been ruling since the independence and received 2/3 majority continuously, was unable to maintain the 2/3 majority at the parliament. It was de-facto defeat of the ruling coalition and victory of the opposition. More precisely, non-Malay parties in the ruling coalition fared miserably and the multi-racial party in opposition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addition, the opposition took five state governments. The reason behind this surprising election result are 1) Abdullah Badawi’s poor leadership which did not satisfy the people’s expectation and the people’s disillusion with UMNO factionalism and; 2) Abdullah Badawi’s inability as Prime Minister shown in the judiciary scandal, rising consumer price, rocketing crime rate, mismanagement of ethnic issues such as Hindraf case. we can expect some long-term reverberation of this election result. First, a crack in the existing ethnic party system and ethnic representation is expected. Also, power reshuffling among the parties in the ruling coalition is likely. Second, there might be a tuning of power relation among the opposition parties-PRK, a multi-ethnic opposition is likely to lead the opposition. At the same time, the opposition has to prove that they can run the country through successful governing of those five state governments that they took. Last, it is proved that the reformasi movement, which was active in 1998-99 period, are still alive and kicking, making inroad into established politics in this election. It is likely that their impact on Malaysian politics get stronger.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말레이시아 선거정치와 정치변동: 2008년 총선 이후 보궐선거정국을 중심으로

        황인원 ( In Won Hwang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지역과 세계 Vol.35 No.1

        2008년 총선에서 야당의 약진에도 불구하고 지난 50년 이상 공고화된 패권적 집권연합체제가 경쟁적 양당연합체제로 변화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은 여전히 시기상조라는 여론이 우세하다. 그러나 최근 전개되는 일련의 정치상황은 말레이시아에서 가까운 미래에 선거정치구도의 재편은 물론 종족정치로 대변되는 전통적 갈등구조의 변화도 조심스레 예측된다. 특히 2008년 총선 이후 2010년까지 13차례의 보궐선거에서 야당이 8곳에서 승리함으로써 1999년과 2008년 총선에서 나타난 패권적 정치구도에 대한 민심의 변화가 여전히 지속되거나 오히려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통상적으로 말레이시아에서 보궐선거는 여당이 ``3M``으로 요약되는 ``Money``, ``Media``, ``Machinery``를 집중시켜 절대적 우위를 점해왔던 점을 고려할 때 2008년 총선 이후 보궐선거에서의 야당의 선전은 매우 이례적이다. 본 연구는 2008년 총선 이후 일련의 보궐선거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향후 말레이시아 정치지형의 변화가능성을 전망하고 있다. It is generally noted that there has been negative relations between electoral politics and political change in Malaysia. Although there has been regular general elections in every 4-5 years without any interruption, Malaysia`s hegemonic party system has never been changed for last five decades. The 2008 General Election, however, made a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Malaysia`s electoral politics. At the election, for the first time since 1969, opposition parties achieve a remarkable success by collapsing the ruling coalition`s two-third majority in parliamentary. What is more crucial is the results of series of by-elections following after the 2008 General Election. During the by-elections held in between the 2008 General Election and the end of 2010, the coalition of opposition parties won 8 out of 13. Considering a by-election is regarded as the ruling coalition`s political safeguard by utilizing 3M, that is Money, Media, and Machinery, the results of by-elections since the 2008 General Election is remarkable enough to assume the possibility of transforming Malaysia`s long-lasting hegemonic party system to a more competitive two-coalition party system. This article examines the detailed results of the series of by-elections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towards the nexus of electoral politics and political change in Malaysia.

      • KCI등재

        기회특집 : 말레이시아 정치엘리트 인터뷰를 통한 현지조사; 방법론적 성찰

        황인원 ( In Won Hwang ) 한국동남아학회 2013 동남아시아연구 Vol.23 No.2

        In his doctoral dissertation, the author analyses the nexus between a dynamic conflict structures in Malaysia and regime maintenance strategies in that country. Through interviews with various Malaysian political elites, the author figures out how the ruling political elites, especially UMNO leaders and Mahathir Mohamad, has been able to maintain its own political hegemony while at the same time maintaining a fairly high level of regime stability. Although, to meet with new social and political circumstances, the UMNO-led ruling elites has adapted to changing expectations of Malaysian society, the single most essential motive for regime change and maintenance is to sustain its own political power. It is nothing particular to mention that interviews with political elites are considered as an essential research method expecially in analysing contemporary political issues. It is, however, also noted that there are very limited informations and resources of how to conduct an academic interview especially with various political elites. This paper shares field research experience of interviews with Malaysian political elites during the author``s Ph.D. candidate at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in the 1990s. The author conducted a series of field research in Malaysia for about three years during his doctoral candidate. During his three-year long fieldwork, the author had more than one hundred intensive interviews with various Malaysian political elites covering scholars, journalists, civil society activities, ruling and opposition politicians. In this paper, the author shares his personal experience of how to overcome various obstacles and to effectively handle with various political elites covering wide spectrum of political ideolog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말레이시아 2016: 위기의 지속과 기회의 상실

        황인원 ( Hwang In Won ),김형종 ( Kim Hyung Jong ) 한국동남아학회 2017 동남아시아연구 Vol.27 No.1

        2016년 말레이시아 정치과정은 여권의 위기로 형성된 정권교체의 기회가 야권의 분열로 인해 상실되는 형국이었다. 나집(Najib) 총리를 둘러싼 1MDB 스캔들은 2013년 총선이후 야당의 지지세 상승과 더불어 수평적 정권 교체에 유리한 정치지형을 제공했다. 그러나 야권은 고질적인 분열상을 심화시키며 정치적 호재를 상실하고 있다. 이는 권위주의 통치세력의 위기에서 비롯된 민주화의 기회를 야권의 내부 분열로 인해 상실하는 정치발전의 왜곡 현상으로 풀이된다. 정치적 혼란은 경제문제를 심화시키는 한편 외교의 국내정치 도구화라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나집 정권에 대한 신뢰도 하락은 외환위기 이후 가장 심각한 수준의 링깃 가치의 하락을 낳았으며, 수출감소 등 주요 경제지표도 악화되었다. 친중국 행보, 로힝자 사태에 대한 적극적 개입이 이루어졌는데 그 이면에는 국내 정치 스캔들을 만회하고자하는 정치적 의도가 강하게 작용했다. 2017년 초기 총선이 예견되는 상황에서 야권의 분열이 지속될 경우 국가 핵심 리스크 관리의 적기를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 된다. The political dynamics of Malaysia in 2016 should be seen as a process of losing an political opportunity mainly due to the split in opposition parties. The opportunity for political development was triggered by the ruling party in crisis. The ongoing 1Malaysia Development Berhad (1MDB) scandal involving the Prime Minister Najib Razak would have provided a favorable condition for the transfer of power. The opposition parties have however failed to utilize the chance that has arisen since the general elections in 2008 and 2013 due to the chronic problem of disunity. It can be seen as distortions of political development referring to a phenomenon in which a chance for regime change formed by the crisis in authoritarian regime is distorted by internal conflicts among opposition parties. Malaysia`s political turmoil seemed to paralyze its economy while foreign policy was used as a tool for domestic politics. It was reported that the key economic indicator have worsen including exports and budget deficit. The ringgit had dropped to its lowest level since the economic crisis in 1997-98 which was mainly attributed to diminishing credibility on the Najib`s administration. Najib`s political struggle has also impeded Malaysia`s foreign policy which has attempt to embrace China and the Rohingya issue. The chance to manage key risks would be diminished if oppositions` disunity continues as there is speculation that the general election could be held in 2017.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