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노인보호구역의 보행환경요소 분석

        김경은 ( Kim¸ Kyungeun ),황연숙 ( Hwang¸ Yeonsook ),박예은 ( Park¸ Yea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경제 성장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평균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노인 인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 보행 사고를 줄이기 위해 노인보호구역을 지정 및 시행하고 있지만, 노인 보행사고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보행자 사고를 줄이기 위해서 노인에게 적합한 보행환경으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목적으로 노인 보행환경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보행환경 평가요소를 도출하고 노인보호구역의 현장조사를 통해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보행환경과 노인보행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통해 보행환경 요소를 도출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고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노인보호구역 보행 요소의 체크리스트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인보호구역을 현장 조사하고 이를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행환경을 보도환경, 도로환경, 가로시설물, 주변외관으로 나누어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6곳의 노인보호구역의 보행요소를 분석한 결과 주변외관이 가장 양호하고, 그 다음으로 보도환경, 가로시설물, 도로환경, 순이었다. 가로시설물은 보도벤치 설치가 미흡하였다. 벤치 설치는 노인들에게 보행 중 휴식을 제공하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보행로에 벤치를 마련하거나 보행로 곳곳에 앉을 수 있는 시설물을 설치로 보완되어야 한다. 도로환경의 경우 속도저감 시설 설치와 과속단속카메라 설치가 미흡하였다. 보행자에게 과속차량은 치명적이고 보행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속도저감시설과 과속단속카메라를 설치하여 운전자가 보행자의 보행에 유의할 수 있도록 보완되어야 한다. (결론) 기존에 노인보행환경에 관련한 연구들이 몇몇 진행되었으나 노인보호구역을 중심으로 보행환경을 평가한 연구가 거의 없고, 현재도 노인보호구역을 새롭게 지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노인보호구역 시행 시 유용한 기초 자료로 쓰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사례대상의 수를 늘려 보행환경을 평가할 필요가 있고, 노인보호환경을 보행하는 노인들에게 직접 인터뷰를 하는 등으로 평가방식을 보완하여 더 좋은 노인보호구역 환경을 조성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ncreases due to econom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Although this study designates and implements protection zones for the elderly to reduce walking accidents, the number of elderly walking accidents is steadily increasing. In this study,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walking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elderly in order to reduce pedestrian accide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problems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he elements of the walking environment and the walk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and field surveys of the elderly protection area. In this study, the elements of the walking environment are derived through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walking environment and walking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contents considered through previous studies, a checklist of walking elements in the elderly protection area is derived, and based on this, the elderly protection area is surveyed, analyzed, and conclusions are drawn. (Method) In this study, the elements of the walking environment are derived through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walking environment and walking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contents considered through previous studies, a checklist of walking elements in the elderly protection area is derived, and based on this, the elderly protection area is surveyed, analyzed, and conclusions are drawn. (Results)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six elderly protection areas, the surrounding exterior was the best, followed by sidewalk environment, street facilities, and road environment. The installation of sidewalk benches for street facilities was insufficient. Since the installation of benches serves to provide the elderly with a rest while walking,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benches on the sidewalk or to install facilities where they can sit on the sidewalk. In the case of road environment, the installation of speed cameras were insufficient. Speeding vehicles are fatal to pedestrians and can lead to pedestrian accidents. Therefore, speed reduction facilities and speed cameras should be installed. (Conclusions) In the past, several studies related to walk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have been conducted, but there are few studies that evaluated the walking environment focused on the elderly protection area. This study can be expected that it will be used as a useful basic data when implementing the elderly protection zone. Therefore,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walking environment by increasing the number of case subjects, and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creating a better environment for the elderly protection area by supplementing the evaluation method by directly interviewing the elderly walking in the elderly protection environment.

      • KCI등재

        외국인 여행자를 고려한 게스트하우스 커뮤니티공간의 특성

        안상녕 ( Xiangning Yan ),황연숙 ( Yeonsook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몇 년간 국내를 방문하는 외국인 여행자들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여행자들은 여행을 통한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숙박시설을 선호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숙박 유형 중 문화체험의 가능성이 높은 게스트하우스는 여행정보를 현지에서 쉽게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여행자들은 투숙하는 기간 동안 커뮤니티공간에서 만남과 휴식을 통해 서로 다양한 문화 콘텐츠 또는 여행과 관련된 정보를 교류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게스트하우스의 커뮤니티공간을 분석하여 국내를 방문하는 외국인 여행자들의 다양한 교류를 위한 바람직한 공간방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서울시에 게스트하우스가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중구, 종로구, 마포구를 대상으로 게스트하우스 9곳의 사례를 현장조사 하였다. 게스트하우스의 개념 및 배치유형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공간특성을 도출하고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게스트하우스 커뮤니티공간의 특성을 상호작용성, 지역문화성, 개방성, 감각성 4개의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첫째, 상호작용성의 경우 대체적으로 공간 및 가구의 배치로 여행자들의 만남과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공간이 협소하여 머무는 시간이 길지 않아 충분한 교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둘째, 지역문화성의 경우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지원되는 사례가 있는 반면에 프로그램 및 지역을 표현하는 상징적인 디자인요소가 고려되지 않은 사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방성의 경우 투숙하는 여행자들의 이동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 효율적인 동선 및 오픈된 형태의 공간을 계획하고 있었으나 프라이버시 측면이 전혀 고려되지 않아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여행자들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감각성의 경우 대부분의 사례에 적용되어 있었는데 색채, 마감재 또는 장식적인 요소를 공간 곳곳에 배치하여 여행자들의 시각적 즐거움을 제공하고 있었다. (결론) 게스트하우스는 여행자들에게 숙박시설이며 동시에 정보교류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따라서 충분한 공간면적을 확보하여 여행자들의 자연스러운 소통과 교류가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다른 곳과 구별될 수 있는 아이덴티티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여행자들의 이동이 자유로운 공간구조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가변적인 요소를 적용하여 프라이버시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져야 하며, 여행자들이 머무는 동안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질 수 있는 요소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향후 이를 근거로 하여 게스트하우스 커뮤니티공간의 디자인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구체적인 계획방향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number of foreign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continues to grow, travelers are shown to prefer cultural experiences through accommodation during travel. Guesthouses, which are more likely to offer cultural experiences among multiple types of accommodation, can easily provide local travel information, especially to visitors who spend time in community spaces during their stay. Indeed, guesthouses can be spaces for the exchange of cultural and travel-related inform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communication spaces in guesthouses, this study explored the best space plan to encourage foreign tourists to visit Korea.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nine guesthouses in in Jung-gu, Jongno-gu, and Mapo-gu, Seoul, as cases. The study carried out field investigation to investigate the guesthouses’ concept and layout type, focusing on spati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guesthouse communication spaces can be divided into four: Interaction Property, Regional Culture, Openness, and Sensibility. First, in terms of interaction property, the space layout and furniture arrangement enabled the visitors to meet and interact, but because the space tended to be small and guests’ stay time, not long, they could not engage in meaningful communication. Second, from perspective of regional culture, there were cases that provided experiential cultural projects. In contrast, there were also cases that did not take regional culture into account, such as in the performance of projects and the elements of regional representative design. Third, regarding openness, to make it easier for visitors to move freely, guesthouses offered effective activity routes and open spaces, but they did not consider privacy aspects, resulting in feelings of inconvenience among tourists. Fourth, on sensibility, most guesthouses configured the colors, topping materials, and decorative elements in every corner of the spaces to provide visual enjoyment to visitors. (Conclusions) The guesthouse is not only an accommodation for tourists also a space for information exchange and cultural experience. Therefore, to ensure adequate space for natural communication among traveler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provide a differentiating identity. Moreover, although the structure of spaces for tourists may allow for free movement, privacy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and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image of South Korea during their sta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ccording to the design policy of guesthouse communication space,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specific planning direction that can be used in future.

      • KCI등재
      • 전시공간에 나타난 인터랙티브 전시 연출방법에 관한 연구

        이준석(Lee, Joonseok),서진아(Seo, Jinah),황연숙(Hwang, Yeon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05

        The trend of cultural art spaces is changing due to the rapid advance in technology. Along with the phenomenon, modern people prefer to see exhibitions in the present 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ich kind of interactive exhibition technology is being used in exhibition space and to gain a foothold for applying technologies in exhibition spaces effectively. The rang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exhibition spaces which are focused on interactive exhibitions. 4 cases are chosen in Seoul for the target exhibition space. The method of the research is mention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went along on understanding interactive exhibition and present conditions of exhibition environment. Second, the study was to know the types and functions of interactive exhibi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interactive exhibition method. The third way is to analyze and synthesize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s through the case investigation. In conclusion, interactive exhibition spaces were displayed in various ways. The results of the case investigation varied and had some limits. However, more items of interactive exhibititon should be developed to stimulate more senses and to make exhibitions more effective in spaces in the future.

      • KCI등재

        미술관 전시공간 내 뉴 미디어의 체험적 특성에 관한 연구

        유단경 ( Danqiong Liu ),유정 ( Ting Liu ),황연숙 ( Yeonsook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여러 미디어들이 서로 통합되는‘미디어 컨버전스'의 시대로 빠르게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미디어들이 서로 통합되어 나타나는 이른바 뉴 미디어가 등장하면서 전시공간에서도 융합형태의 미디어들을 활용한 공간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전시공간은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여러 가지 미디어들이 융합된 뉴 미디어를 통해 관람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불러일으키고, 상호교류환경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뉴 미디어는 사람들의 호기심과 흥미를 끌어들여 공간의 현장감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체험을 유도하면서 사람들에게 적극적으로 공간과 교류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전시공간에 있어 뉴 미디어 활용에 따른 체험적 특성을 분석하고, 뉴 미디어 활용 전시공간의 발전 추세를 파악하여 향후 새롭게 출현할 전시공간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및 범위) 본 연구의 범위는 서울에 위치한 2010년 이후에 개관된 뉴 미디어 미술관 5곳을 대상으로 현장조사 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뉴 미디어의 개념 및 유형, 전시공간의 체험적 특성에 대해 정리하고, 그 후 전시 공간의 체험 특성에 대한 분석의 틀을 마련하기 위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사례조사 대상에 대해 분석 요소로 도출된 감각자극성, 상호작용성, 다양성, 복합성의 표현특성에 따라 뉴 미디어를 활용한 전시공간의 체험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전시공간을 적용한 뉴 미디어기술의 체험은 감각자극성, 상호작용성, 다양성, 복합성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그 중 가장 많이 적용된 표현 특성은 감각자극성과 상호작용성 이었다. 대부분의 사례에서 조명, 색채, 그래픽, 사운드, 3D 투영, 비디오 영상, LED 디스플레이, 2차원 그래픽과 문자 등을 3차원 4차원의 입체적인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 사람들의 시각과 청각, 촉각을 자극하고 있었다. 뉴 미디어를 활용한 전시공간 체험적 특성 중에서 다양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모든 사례에서 색채, 조명, 그래픽, 애니메이션, 소리 등 다양한 뉴 미디어 기술을 사용 하였으나, 대부분의 전시관에서는 관람자에게 풍부한 체험 동선과 다양한 주제의 전시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관람자는 자신의 취향대로 체험동선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다. (결론) 대부분의 미술관 전시공간에서 뉴 미디어의 활용은 아직 완벽한 구현의 단계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보다는 단순한 일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미술관의 발전 방향에 있어 공간과 관람자 간의 쌍방향 인터랙션을 강화하는 방안이 더 확대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대 전시공간은 작품과 기술의 결합을 통해 보다 공간의 형식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전시 공간 속에서 더욱 다양한 체험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뉴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융합을 통한 새로운 미래 전시 공간을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with the emergence of new media in which various media are fused, the space utilizing fusion media emerging in the exhibition spac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exhibition space creates a new environment through integration and exchange with various media. New media, in particular, encourage people’s curiosity and interest, maximize their sense of space, and encourage them to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new media in exhibition space, understand the development trend of new media using exhibition space, and provide basic data about future exhibition space. (Method)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five media museums newly opened in Seoul since 2010. First, the concept and type of new media and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were summarized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a precedent study was then conducted to provide an analytic framework for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Finally,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pace using new medi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xpressiveness of sensory stimuli, interactivity, diversity, and complexity derived from the analytic elements.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eum exhibition space were classified according into four: sensory stimulation, interaction, diversity, and complexity. The most frequently used expressive traits were sensory stimulation with interactions. In most cases, 3D stereoscopic animations stimulate people’s sight, hearing, and tactile sense of light, color, graphics, sound, 3D projection, video images, LED displays, 2D graphics, and text. Diversity is the lowest among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space using new media. In all cases, a variety of new media technologies were used, such as color, lighting, graphics, animation, and sound. However, most exhibitions do not provide visitors with a variety of experience circles and exhibitions on a variety of topics, so they cannot help. (Conclusions) The use of new media in most museum exhibits has not yet reached completion, and there is a much simpler one-sided approach than interactive methods. Therefore, in the future, we will find a way to strengthen the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spectators in museums development. . The modern exhibition space will be able to host more diverse experiences in the exhibition space by diversifying the forms of space available through a combination of art and technology. It is anticipated that this will be combined with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echnology, leading to a new exhibition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