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집단 활동 중심 융복합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의 스캐폴딩 양상

        유금복(Km-Bog Ryu),황세영(Se-Yeoung Huwang),이현주(Hyun-Joo Lee),이선경(Sun-Ky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3

        본 연구의 목적은 융복합교육 프로그램에서의 교사가 학생의 학습을 지원하는 양상, 즉, 교사의 스캐폴딩 양상을 분석하는데 있다. 융복합교육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특별한 전략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학습자를 다양한 삶의 맥락에서 능동적이고 창의적 지식을 생산하는 주체로 상정하기 때문이다. 교사의 스캐폴딩은 수업 활동이 전개되는 동안 학습자와 상호작용하며 사회적 협의를 통해 공동의 목표를 수행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는 2016년 1월 이루어진 소집단 활동 중심 융복합교육 캠프 과정을 녹화, 전사하여,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교사의 스캐폴딩 양상을 일자별, 소집단별로 살펴보고, 융복합교육의 자율성, 가교성, 맥락성, 다양 성의 원리에 입각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됨에 따라 스캐폴딩의 빈도는 감소하였다.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동안 가장 많이 나타난 교사의 스캐폴딩의 유형은 활동지식 제공과 정서적 지원이었으며, 주로 학습자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전략으로 사용되었다. 소집단에 따라 특이적인 스캐폴딩 양상이 나타나기도 하였으며, 이는 소집단 구성원의 특성과 더불어 교수자의 특성이 반영된 것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추후 융복합교육의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해 필요한 스캐폴딩 전략이 논의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ers’ scaffolding patterns in the Yungbokhap education program. Yungbokhap education requires a distinct teacher strategy in that it supposes learners as the knowledge producers in their own diverse life contexts. Teacher scaffolding is critical means for learners to achieve the common goal through interactions and social negotiations rather than to acquire knowledge from the teacher.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eachers’ scaffolding patterns in terms of the four principles of Yungbokhap education such as Autonomy, Bridgeability, Contextuality, and Diversity by analyzing the data from a program case which focused on small group work with a focus on the variance that occurred by time span and group dynamics. As a result, the frequency of teacher scaffolding decreased by time, and this could be interpreted that teachers tried to encourage students to understand the aims of the activities and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activities by presenting the method of activities. The most frequent scaffolding patterns were providing activity knowledge and emotional support, which were strategically used in order to encourage students’ participation. Overall, teachers’ scaffolding patterns were similar whereas difference occurred depending on learners’ and teachers’ own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result, the study discussed teacher scaffolding strategy which is necessary to ensure teacher professionalism on Yungbokhap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