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키 기반 블렌디드 협력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황경양(Hwang, Kyungyang),김회수(Kim, Hoisoo)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1 창의력교육연구 Vol.2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위키 기반 블렌디드 협력학습을 기반으로 스캐폴딩 유형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메타인지수준과 실험 처치에 따른 창의성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고, 다층성장모형을 활용하여 세가지 실험 처치(내용지원 스캐폴딩, 자기점검 스캐폴딩, 스캐폴딩 무제공)에 따른 종단적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업 종료 후와 무처치 한 달 후 실험 처치에 따른 통계분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메타인지가 상 수준인 집단의 창의성 추후 사후점수가 높았고, 실험집단 2(자기점검)의 창의성 추후 사후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처치 한 달 후 메타인지 수준과 실험 처치 간 상호작용효과에서는 메타인지 수준에 상관없이 실험집단 2(자기점검)의 창의성 추후 사후점수가 가장 높았다. 둘째, 실험 처치에 따른 창의성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 1(내용지원)의 창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실험집단 2(자기점검))의 창의성에 대한 변화율은 정적(+)으로 평균 13점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스캐폴딩 무제공)의 창의성 변화율은 평균 -8.671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sed on prior research results that blended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wikis could enhance learners’ creativity,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experimenting with some scaffolding strategies (content-supported scaffolding, self-check scaffolding and none-scaffolding) involving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Specifically,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me scaffolding types on learners’ creativity and longitudinal changes. To this end, a teaching experiment was designed for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 multilayered growth model.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initial value of the total creativity score in the basic model was different for each student, but generally it increased by .462 over time. The creativity of group 2 (self-check scaffolding) showed a negative (-) pattern as -4.328 in the mean linear rate of chang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hange rate of group 1 (content support scaffolding) was 13.000, showing a positive (+) pattern, which was found to increase by an average of 13 points as time passed. The change rate of creativity of group 3 (none scaffolding) was -8.671. That is, their creativity score decreased by an average of 8.671 after the experiment as time passed.

      • KCI등재

        위키 기반 블렌디드 협력학습에서 스캐폴딩 유형이 과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황경양 ( Kyungyang Hwang ),김회수 ( Hoisoo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위키 기반 블렌디드 협력학습에서 교수자가 제공하는 스캐폴딩 유형에 따라 초등학교 고학년의 과학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실험 처치에 따른 파지효과와 변화추이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실험 처치에 따른 과학성취도 사후 점수는 집단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사후 과학성취도 점수는 자기점검 스캐폴딩으로 처치한 실험집단 2가 가장 높았고 실험집단 1(내용점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고,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 처치에 따른 세 집단간 추후 사후 과학성취도 점수의 파지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점검 스캐폴딩을 실시한 실험집단 2의 파지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다층성장모형을 활용하여 과학성취도 점수의 종단적 변화량을 살펴본 결과, 내용지원 스캐폴딩을 처치한 실험집단 1의 선형변화율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수업이 완료된 후 자연스럽게 과학성취도 점수가 -4.276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점검 스캐폴딩을 제공한 실험집단 2의 과학성취도 점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평균 11점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업이 완료된 후에도 과학성취도 점수는 감소하지 않고 높은 수준에서 유지 혹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통제집단은 과학성취도 점수가 시간이 지날수록 평균 -6.723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점에 따른 과학성취도 점수의 변화에서 수업이 완료된 한 달 후에 실험집단 1과 통제집단은 자연스러운 감소현상을 보였으나, 자기점검 스캐폴딩을 제공한 집단은 유지 혹은 상승 현상을 보인 점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scaffolding types in the wiki based blended collaborative learning affect the science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and thus it investigates the retention and the changes in the science achievement of 57 5<sup>th</sup> graders who were divided into the three groups: self-checking, content supportive, and control groups. The analysis of the data indicates, first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immediate posttest scores of science achievement: the group treated with self-checking scaffolding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test. Their scor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experimental group with the content supportive scaffolding and the control group. Secondly, as for the retention, the self-checking scaffolding group were found to show the highest retention scores among three groups. As for the longitudinal changes in the science achievement using the multi-level growth model, the delayed science achievement test scores of the self-checking scaffolding group were found to increase by an average of 11 points over time. Their test score did not decrease after the class was completed, but rather maintained or increased at a high level. In contrast, the content supportive scaffolding group’s scores decreased by -4.276 and the control group’s scores also decreased by an average of -6.723 over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