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미 전기자동차 산업의 국제경쟁력 비교분석: 다이아몬드 모델을 중심으로

        권일숙,호강유아,양소희,진의현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22 국제경영리뷰 Vol.26 No.4

        To face with global warming,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converting electric vehicles at an accelerated rate. Among the automotive industry in the transition period of electric vehicles, China has emerged as a leader in electric vehicles, and its competitivenes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is study,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electric vehicle industry in China,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will be analyzed in comparison. For this purpose, the diamond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of Korea, China, and the United States from 2017 to 2021.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China has a hig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terms of factor conditions, demand conditions, and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This is due to China's absolute population size and the resulting market size and market growth potential, especially as a result of the Chinese government's early support of subsidies to strategically nurture the electric vehicle industry, build infrastructure, and popularize electric vehicles in the early stages. The U.S. has significantly higher advantages in firm strategy,structure and rivalry. Slightly lower factor conditions and demand conditions than China, and particularly lower competitiveness in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The U.S. has particularly low competitiveness in related and supporting industries because of the core strengths that have failed to respond pre-emptively to the changes following the switch to electric vehicles. Korea has low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all fields after converting to electric vehicles. This is mainly the result of limited resources and failure to achieve competitiveness of the industry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when the factor conditions and demand conditions are at absolute disadvantage. The example of electric vehicles in China shows that in a technology-intensive, highly connected industry, the innovative R&D capabilities of companies are important to ensur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government's strategic industrial fostering policies. 지구온난화에 직면한 전 세계는 전기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전기차의 전환기에 있는 자동차 산업에서 중국 전기차는 두각을 나타내며 높은 경쟁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중국, 미국 및 한국 전기차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이아몬드 모델을 이용하여 한중미의 2017년부터 2021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국은 요소조건, 수요조건, 관련 및 지원 산업에서 높은 국제경쟁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의 절대적인 인구수와 이로 인한 시장의 규모 및 성장가능성에 기인하며, 특히 중국정부가 초기에 전기차 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인프라를 구축하고, 전기차의 보급을 위하여 일찍이 보조금을 지원한 노력의 결과이다. 미국은 기업의 전략, 구조 및 경쟁력에서 월등히 높은 우위를 갖고 있으나 요소조건과 수요조건은 중국보다 다소 낮으며, 특히 관련 및 지원 산업에서 낮은 경쟁력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난다. 미국이 관련 및 지원 산업에서 유독 낮은 경쟁력을 보유한 이유는 전기차로 전환 후 변화한 핵심역량에 대한 대응을 선제적으로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국은 전기차로 전환한 후 모든 분야에서 국제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제한된 자원으로 요소조건과 수요조건이 절대적으로 열위인 상황에서 기술혁신을 통한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함에 기인한다. 중국 전기차의 사례는 기술집약적이고 산업연계성이 높은 산업에서 국제경쟁력을 확보하려면 기업의 기술혁신도 중요하지만 정부의 전략적인 산업 육성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