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OSC를 적용한 도심지 소규모 공공주택 공급 활성화를 위한 사업모델 - 다필지 분산형 소규모 공공주택 통합발주방안을 중심으로 -

        현호상(Hyun, Hosang),김형근(Kim, Hyung Geun),김진성(Kim, Jin Sung)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3

        Public housing providers are planning to supply using small-scale urban sites. However, the efficiency of the project is expected to decrease due to civil complaints during construction. In the OSC project, most of the construction work are conducted in a factory. Therefore, OSC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roject and also minimizes the impact on the environment. However, the supply method requires that the small construction company should hav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OSC. In this study, the business model based on the integrated implementation of dispersed small-scale public housing construction projects was suggested to assist the small construction companies in accumulating OSC experience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OSC project. Through applying the model, it is expected that the small construction company will be facilitated in accumulating the experience and knowledge of OSC and the small-scale OSC projects will be activated by the improved efficiency.

      • KCI등재

        국내 주택시장 참여자의 거래의사 결정과정 및 시장 파급효과의 동태적 분석 - 금융위기 이후의 주택시장 침체원인 및 주택정책을 중심으로 -

        현호상,이현수,박문서,황성주,Hyun, Hosang,Lee, Hyun-Soo,Park, Moonseo,Hwang, Sungj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4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5 No.5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내의 주택시장은 침체기를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주택가격의 하락, 임대주택가격의 상승등과 같은 주택시장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주택시장의 정상화를 위해 정부에서는 다양한 주택정책을 발표하였으나 주택시장은 아직 회복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택시장의 침체 원인 분석하기 위해 주택 시장의 주요 참여자인 주택공급자와 주택 수요자를 기존의 수요 공급 원리에 의해서 분석하며 이들의 거래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행동경제학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한다. 이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스템다이내믹스 시뮬레이션 방법론을 사용하여 발표된 정책의 실효성을 검증한 결과 정책의 입안 기간에 따라 주택 거래량과 주택담보대출 총액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fter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Korean housing market has experienced stagnation. So it caused housing market problems like housing price reduction, rising rent cost and so on. For housing market normalization government announced policies but Korean housing market didn't recover from stagnation. So, to understand why Korean housing market couldn't overcome the recession and why the policies didn't be effective, this research analyzed housing market participants (home owner, housing demand) based on the law of supply and demand and the psychological effect on their transaction intention based on behavioral economics(behavioral finance). Based on the analysis this research tested the effectiveness of announced policies using System Dynamics. The result showed that the amount of transaction and mortgage loan was influenced by the length of time to draft policies.

      • KCI등재

        중고층 모듈러 건축공사 타워크레인 위치 및 제원 선정 모델 개발

        이두완(Lee, Doowan),현호상(Hyun, Hosang),박문서(Park, Moonseo),이현수(Lee, Hyun-soo) 대한건축학회 2016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32 No.11

        Modular construction is a construction method with the production work in factory and the installation work in field. Especially the lifting work is a large part that requires for the installation of modular units in the field work. The exact lifting work forecast in the initial phase of the project lead to calculate the optimum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However, existing lifting equipment selection is performed on the intuition and the experience. So, there is a need for the objective and logical lifting equipment selection tool. In this study, proposed a model that can be the selection of the optimum of the tower crane through the relationship of three variables(tower crane, installation module unit, transport trailer) that affect the lifting work.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amount of appropriate levels of tower crane according to the optimum position selection of tower crane and transport trailer. In the future, used in a modular building project to sharing information between the designers and builders in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can help make the optimum lifting plan.

      • KCI등재

        활동기준원가계산법(Actvitiy-Based Costing)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 공장제작단계 간접비 산정 방안

        이정훈,박문서,이현수,이광표,현호상,Lee, JeongHoon,Park, Moonseo,Lee, Hyun-Soo,Lee, Kwang-Pyo,Hyun, Hosa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5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6 No.4

        최근 건설 기업들은 노동력 부족, 원자재값 상승, 건설경기 위축 등으로 인해 새로운 건설시장 개척 및 자동화 기술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제조업의 생산프로세스와 건설생산프로세스가 결합된 모듈러 건축공법이 부각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모듈러 건축프로세스에서 공장제작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기존 건축프로세스에서 사용하기 어려웠던 제조업의 생산설비시스템을 활용한 생산원가(공사원감)절감이 가능하다는 것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대다수의 건축공종이 집중되어있는 공장제작단계에서의 원가산정이 정확해야 하며 특히 직접적인 계산이 어려운 간접비에 대한 구체적인 산정방인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 모듈러 건축산업이 시장도입단계로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모듈러 건축물의 원가왜곡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듈러 건축물의 공장제작단계에서 국내계약법상에서 명시된 제조업과 건설업에서의 간접비 정의를 고찰하고 활동기준원가계산법을 통해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듈러 유닛별 간접비 산정방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공장제작단계에서의 전 과정 뿐만 아니라 모듈러 건축물의 설계, 제작, 운송, 시공의 간접비 배분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모듈러 건축물의 공장제작단계에서의 원가산정 정확도 향상 및 모듈러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에 따른 원가산정방안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Modular construction is combined with manufacturing production process and conventional construction industry technique.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modular construction production process, manufacturing facilities require indirect costs for utilities, equipment, and overall maintenance, which can affect modular units pricing. However, current modular construction cost classification is inadvertent to reflect the manufacturing overhead costs, because it is generally added as a percentage to sum of labor, material and equipment as it called in single cost pool used. This process is easy to estimate the total construction cost at the project starting points, but it brings on misunderstanding of project profit estimations by "cross subsidization phenomenon". To prevent this situation, in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modular construction overhead cost handling process at the detailed indirect cost calculation for manufacturing stage using Activity-Based Costing as one of the powerful method for overhead costs estimation and allocation. Using this research results, modular construction cost estimators have more detailed cost information of modular units and prevent to misallocate indirect costs. Also, it can be utilized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company's profit structure.

      • KCI등재

        모듈러 건축 타워크레인 운용 계획의 대안 평가 모델 - 유닛 설치 및 마감공사를 중심으로 -

        김주호,박문서,이현수,현호상,Kim, Joo Ho,Park, Moonseo,Lee, Hyun-Soo,Hyun, Hosa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8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9 No.2

        최근 인력자원 투입량 감소 및 공기단축이 가능한 모듈러 건축공법은 반복 공정이 많은 기숙사, 주거시설, 호텔 공사 등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모듈러 건축공법은 유닛 설치비용을 제외한 현장 공사비에서 외장 마감공사 비용의 비중은 약 40%를 차지하며, 마감공사는 목표공기와 비용을 유지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한다. 모듈러 현장에서 유닛 설치 및 마감공사 수행을 위해 한정된 장비가 후속 액티비티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공유되어야 하며 현장 마감 비중이 커지는 모듈러 프로젝트일수록 공정관리에서 양중 계획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T/C 운용 계획은 단일 사이클 또는 다중 사이클의 형태를 가지게 되며 사이클 주기 조율은 장비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유닛 설치 및 마감공사를 지원하기 위한 T/C 운용 계획의 대안을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듈러 건축 현장에서 T/C 운용의 사이클 주기 설정에 따른 운용방식의 대안을 평가하기 위해 유닛 양중 시간 및 주기, 외장재 양중 시간, 마감 작업 소요시간을 변수화하여 T/C 가동시간과 공정에 주는 영향을 파악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 프로세스 분석을 바탕으로 작업 속도를 조절하여 T/C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한다. 본 연구는 양중 사이클 개념을 적용한 자원 평준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학술적 기여가 있으며 실무적으로 현장관리자에게 장비 계획의 대안 선택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modular construction method has been widely applied to projects with repetitive processes including dormitory, the residential facility, and the hotel construction due to reduced labor input and shortened construction schedule. Generally, about 40% of total on-site construction cost excluding unit installation cost, is put on exterior finishing work, and thus management of finishing work is deemed important in maintaining the targeted schedule and cost. Since limited equipment is shared so that subsequent activities are not affected while carrying out on-site installation and finishing work, lifting plan becomes more important for modular projects with greater portion of finishing work load. In this regard, tower crane operation plan may take the form of a single cycle or multiple cycles in which equipment efficiency can be affected. However, difficulties exist in evaluating alternatives to tower crane operation plans supporting unit installation and finishing work.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alternative of tower crane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cyclic period setting in modular building site to determine the effect on T/C uptime and process by parameterizing lifting time for unit and exterior finishing material, lift cycle for unit and exterior finishing material and time required for finishing work. Accordingly, this study develops a simulation model that can increase the tower crane efficiency by controlling the work speed. An academic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resource leveling method applying the concept of lifting cycle, and further is expected to be managerially used as a basis for an alternative evaluation of equipment plan.

      • KCI등재

        모듈러 건축의 타워크레인 배치계획 수립을 위한 다중 최적화 모델 개발

        윤성부,박문서,정민혁,현호상,안수호,Yoon, Sungboo,Park, Moonseo,Jung, Minhyuk,Hyun, Hosang,Ahn, Suho 한국건설관리학회 202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2 No.1

        최근 모듈러 건축의 고층화와 함께 현장에서의 T/C 사용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T/C의 대수, 제원 및 위치를 결정하는 TCLP는 프로젝트의 공사비용, 공사기간, 안전,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에서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TCLP는 추가 장비 투입, 재설계 등의 작업으로 이어져 공사기간과 공사비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관리자는 현장조건, 양중대상, T/C 제원 등 수많은 제약을 고려하여 프로젝트에 적합한 TCLP를 수립해야 한다. 하지만 다중 T/C를 사용하는 건설현장의 경우 추가적인 고려사항과 변수들로 인해 경험과 직관을 통해 TCLP를 수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용과 간섭면적의 최소화를 목적으로 하는 다중 최적화(multi-objective optimization)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T/C 대수, 제원 및 위치를 선정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단일 최적화 방식과 달리 다중 최적화를 통한 TCLP 수립 프로세스를 제안함으로써, 비용과 간섭면적의 trade-off를 고려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프로젝트 완료를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With an increasing trend toward high-rise modular construction, the simultaneous use of tower cranes at a modular construction site has recently been observed. Tower crane layout planning (TCLP)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ost, duration, safety and productivity of a project. In a modular construction project, particularly, poor decision about the layout of tower cranes is likely to have negative effects like additional employment of cranes and redesign, which will lead to additional costs and possible delays. It is, therefore, crucial to conduct thorough inspection of field conditions, lifting materials, tower crane capacity to make decisions on the layout of tower cranes. However, several challenges exist in planning for a multi-crane construction site in terms of safety and collaboration, which makes planning with experience and intuition complicated. This paper suggests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model for selection of the number of tower cranes, their models and locations, which minimizes cost and conflict. The proposed model contributes to the body of knowledge by showing the feasibility of using multi-objective optimization for TCLP decision-making process with consideration of trade-offs between cost and conflict.

      • KCI우수등재

        모듈러 건축에서의 안전사고 원인 분석 및 저감방안 - 제작 및 시공단계 작업을 중심으로 -

        정길수(Jeong, Gilsu),이현수(Lee, Hyunsoo),박문서(Park, Moonseo),현호상(Hyun, Hosang),김현수(Kim, Hyunsoo) 대한건축학회 2019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35 No.8

        Modular Construction is regarded as having enhanced safety compared to traditional construction since most of modular manufacturing process in plants. Unlike general consideration for safety in modular construction, several industrial accident data and studies have pointed out that the accident rate of modular construction is not enough less as much as the practitioners have expected. It means that there is a clear need for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 in modular construction. To enhance safet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type and cause of accident through accident cases in order to prevent safety accident in advance. In this consider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and causes of accidents through root cause analysis procedure with accident cases of U.S. OSHA. The classification was carried out in the order of process type, accident type and cause of accident. By following the classification criteria in this study, the causal factor was derived and the root cause map was crea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cross-analysis was conducted and it is shown that activity characteristics of modular construction are related to safety accidents. In addition, prevention methods to reduce safety accident by major activity are presented in terms of organizational, educational and technical aspects. This study contributes that the result can be used as the basic safety management in the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process of modular co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