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서 단기간의 Fenofibrate 투여가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에 미치는 영향

        현철원 ( Cheol Won Hyeon ),최영환 ( Young Hwan Choi ),현성협 ( Seonghyup Hyun ),권지은 ( Jee Eun Kwon ),김은영 ( Eun Young Kim ),신승용 ( Seung Yong Shin ),이왕수 ( Wang Soo Lee ),이광제 ( Kwang Je Lee ),김상욱 ( Sang Wook Kim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지 Vol.86 No.6

        목적: 고중성지방혈증 환자에서 단기간 fenofibrate를 투여하였을 때에 혈중 크레아티닌 농도의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관찰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혈중 중성지방 농도가 200 mg/dL 이상인 86명의 고중성지방혈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micronized fenofibrate 160 mg을 투여한 Fenofibrate 투여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혈중 지질농도와 신기능을 나타내는 인자들을 치료 전과 치료 후 2개월에 측정하였다. 결과: 추정 사구체여과율은 Fenofibrate군에서 감소한 반면에(p < 0.001), 대조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p = 0.80). 이것의 백분율 변화는 각각 -18.6 ± 8.6%와 0.9 ± 9.6%로 두 군사이에 차이가 있었다(p < 0.001). 크레아티닌 농도는 Fenofibrate군에서 증가한 반면에(p < 0.001), 대조군은 변화가 없었다(p = 0.37). 크레아티닌 농도의 백분율 변화는 Fenofibrate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더 많이 증가하였다(p < 0.001). 전체 환자(n = 86)에서 크레아티닌 농도의 백분율 증가는 fenofibrate 투여(r = 0.71, p < 0.001)와 고령(r = 0.27, p < 0.05) 과 독립적 연관이 있었다. Fenofibrate군에서 크레아티닌 농도의 백분율 증가는 고령(r = 0.51, p < 0.001), 비흡연(r = 0.42, p < 0.005)과 독립적 연관이 있었다. 전체 환자에서 크레아티닌 농도의 증가가 20% 이상인 군(n = 21)과 20% 미만인 군(n =65)으로 나누었을 때에, 20% 이상의 증가는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fenofibrate 투여(p < 0.001)와 고령(p < 0.005)과 연관이 있었다. Fenofibrate군에서는 단지 고령(p < 0.001)과 연관이 있었다. 결론: 고중성지방을 가진 한국인 환자에서 단기간의 fenofibrate의 투여는 크레아티닌 농도를 의미 있게 증가시키며 이러한 증가는 고령에서 더 뚜렷하였다. 따라서 fenofibrate를 투여할 때에는 신기능의 추적관찰이 특히 고령에서 투약 초기에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fenofibrate therapy increases blood creatinine leve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fenofibrate therapy on the renal function in patients with hypertriglyceridemia and to determine the parameters associated with changes in renal functions.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enrolled 86 hypertriglyceridemic patients (triglycerides ≥ 200 mg/dL) who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enofibrate group (n = 43), who received 160 mg of fenofibrate, and the control group (n = 43). Lipid profiles and renal function were measured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and after 2 months. Results: The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decreased in the fenofibrate group (p < 0.001), but did not change in the control group (p = 0.80). Accordingly, the decrease was more pronounced in the fenofibrate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18.6 ± 8.6 vs. 0.9 ± 9.6%, respectively; p < 0.001). Changes in serum creatinine (p < 0.001) and blood urea nitrogen (p < 0.005) levels were similar to those of eGFR. In a step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percent change in creatinine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fenofibrate therapy (r = 0.71; p < 0.001) and old age (r = 0.27; p < 0.05) in all patients. In the fenofibrate group, percent change in creatinine was associated with age (r = -0.51; p < 0.001) and smoking (r = 0.42; p < 0.005), while percent change was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r = 0.31; p < 0.05) in the control group. Elevation of creatinine by 20% or more was associated with fenofibrate therapy (p < 0.001) and old age (p < 0.005) in all patients, and with old age (p < 0.001) in the fenofibrate group. Conclusions: Short-term fenofibrate therapy significantly impaired the renal function of hypertriglyceridemic patients, and this effect was more pronounced in elderly patients. This finding suggests that creatinine levels should be followed in patients receiving fenofibrate therapy. (Korean J Med 2014;86:702-70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