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불안 발생과정에 자기효능감과 체험회피가 미치는 영향-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허재홍 한국상담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0 No.4

        When people with social anxiety enter social situations, they experience physical reactions, become self-conscious of them, and experience automatic negative thoughts. According to Heo's model of social anxiety, autonomous bodily responses predict social anxiety in the mediation of cognitive process (self attention (self-consciousness)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It was hypothesized that this model would fit the data from groups with low self efficacy, or with high experiential avoidance. This hypothesis was tested on 417 college students (192male, and 255female). Our results revealed that self efficacy and experiential avoidance respectively, played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anxiety. Experiential avoidance rather than self efficacy explained the experiences which people with social anxiety had in social situat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cceptance based strategies should be included in the treatment of social anxiety. 사회불안이 있는 사람들이 평가가 예상되는 사회상황에 처하게 되면 자율신경계 신체반응이 먼저 일어나고 뒤이어 인지과정(자기초점화주의와 부정적인 자동사고)이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이 두 과정으로 인하여 사회불안이 발생하게 된다. 사회불안이 발생하는 과정은 자기효능감(Leary & Atherton, 1986)과 체험회피(Hayes, Wilson, & Strosahl, 1996)로 설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변인이 사회불안 발생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어떤 변인이 더 설명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허재홍의 모형(2005)을 대학생 417명(남학생 192명, 여학생 255명)에서 얻은 자료로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이 낮을 때와 체험회피가 높을 때 사회불안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 변인 가운데 자기효능감보다는 체험회피가 사회불안 발생을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사회불안 치료에 체험을 강조하는 전략을 포함시킬 때 치료가 더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공감 (Empathy)이 자기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허재홍,이찬종,Heo, Jae-Hong,Lee, Chan-Jong 한국음향학회 2010 韓國音響學會誌 Vol.29 No.5

        그동안 공감이 대인관계에서 하는 역할은 꾸준히 밝혀져 왔다. 하지만 공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감이 자기존중감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모형을 가정하고 검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허재홍, 이찬종 (2010)은 공감지수 (Empathy Quotient: EQ) 척도의 심리측정 속성은 밝혔으나 확인요인분석은 하지 않아 본 연구에서 확인요인분석을 하였다. 대학생 421명 (남학생 192명, 여학생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과 경로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EQ는 기존 연구와 마찬가지로 세 요인 (인지공감, 정서공감, 사회기술공감)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였다. 또한 공감은 자기존중감을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에서 공감이 우리나라 문화에서 개인이 문화의 가치를 충족시킴으로써 자기존중감을 높이고 이는 다시 주관적 안녕감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공감에 우리나라 문화 특성도 반영해야 한다는 사실도 시사되었다. Previous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mpathy on relation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hat found the effect of empathy on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empathy and subjective well-being. It was hypothesized that empathy had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in the mediation of self-esteem. Heo, J.H. and Lee, C.J. (2010) investig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EQ. However they did not do confirmatory analysis. So confirmatory analysis needs to be done in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421 College student (male 192, female 225), and analyzed by SEM and path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3 factors model of EQ was proper, and EQ had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in the mediation of self-esteem. This suggested that empathy be a very important factor in our culture, and fulfillment of cultural task enhance self-esteem, which improve subjectve well-being. And cultural featur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tudy of empathy.

      • KCI등재

        정서억제가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중재효과-

        허재홍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2

        It has been known that emotional suppression affects subjective wellbeing(SWB) 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negatively. But recent research have begun to report that the effects of emotional suppression depend on cultu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experiential avoidance had moderate effects on SWB 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which was not examined in the previous studies. Data was collected from 387 college students(male : 186, female : 180). Results revealed that emotional suppression did not affect SWB 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However, experiential avoidance affected SWB 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negatively. The interactive effect of emotional suppress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was valid in SWB. The interaction analysis revealed that suppression did not affect SWB, leading to the loss of SWB in the group with low experiential avoidance. Finally results and implication of findings are discussed. 그동안 정서억제는 주관적 안녕감이나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연구들은 개인이 속한 문화에 따라 영향이 다르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이 연구들은 정서를 억제할 때 경험회피의 영향이 어떤지 규명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정서억제와 경험회피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8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정서억제와 경험회피가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정서억제는 이전 연구와 마찬가지로 주관적 안녕감이나 대인관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험회피는 주관적 안녕감이나 대인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주관적 안녕감에서만 정서억제와 경험회피가 상호작용이 있었고 대인관계에서는 상호작용이 없었다. 상호작용 분석결과 정서를 억제하는 것이 안녕감에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안녕감에는 손실이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부모양육태도, 완벽주의, 외상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허재홍 한국상담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8 No.3

        The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on social anxiety suggests that parenting style, perfectionism and traumatic experience are important factors to explaining the causal mechanisms of adolescents' or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factors integrally. Based on previous studies a full mediation model was proposed. This model hypothesized that parenting style would predict social anxiety through full mediation of perfectionism and the traumatic experience moderated the prediction. This model was evaluated from a sample of 668 university students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SEM revealed that parenting style predicted social anxiety by the mediation of perfectionism and traumatic experience moderated the effect of the full mediation model.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의 취약성 요인들이 대학시기의 사회불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취약성 요인으로는 부모양육태도, 완벽주의, 외상경험을 상정하였고, 부모양육태도가 완벽주의를 매개로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고 외상경험은 중재역할을 할 것이라는 완전매개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지방소재 대학 재학생 668명(남학생 235명, 여학생 257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여기서 얻은 자료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모형검증하였다. 부모양육태도와 외상경험 척도에서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간에 차이가 나서 남학생 집단과 여학생 집단 각각에 대해 모형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남학생집단과 여학생 집단 모두 본 연구에서 상정한 완전매개 모형이 자료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상경험이 중재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각 집단별로 외상경험 점수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나눈 후 동일화 제약을 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여학생 집단에서 외상경험이 중재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 KCI등재

        요리대결만화의 서술전략 연구

        허재홍 대중서사학회 2013 대중서사연구 Vol.- No.30

        요리대결만화는 식욕이라는 삶의 일상성과 만화의 문화적 일상성이 대결이라는 드라마적 구도를 통해 만나는 장소다. 본 논문은 요리대결만화들이 ‘맛의 추구’라는 주제를 어떻게 재현하는지를 분석한다. 요약하자면, 맛의 재현과정에서 쓰이는 첫 번째 기법은 식재료의 뛰어남을 강조하는 것이다. 두 번째 기법은 조리 기술의 묘사다. 세 번째 기법은 평론가들의 품평이다. 이 세 가지 기법은 설득적으로 맛을 제시하는, 맛의 객관적 묘사다. 텍스트에서 가장 맛있는 요리는 주인공의 정성이 담긴 요리이다. 정성의 요리는 개인적인 추억과 느낌에 근거해 요리의 맛을 제시한다. 따라서 이는 맛의 주관적 묘사다. 맛의 객관적 묘사 기법은 연재 과정에 있는 만화의 분절된 텍스트 사이에 개연성을 불어넣으며 오락성을 획득하게 한다. 모든 연재분이 모인 전체 서사의 향방을 가늠하는 장치는 주관적 묘사 기법이다. 선한 주인공은 승리 후 악한을 조건 없이 용서한다. 따라서 텍스트의 세계는 이야기가 시작되는 지점으로 퇴보한다. 이 결말은 두 가지 해석을 낳는다. 하나는 요리대결만화를 음식이라는 기호를 통해 궁극적인 용서와 화해를 보여주는 것으로 읽는 것이다. 또 하나는 자본의 논리를 암암리에 유통시킬 불온한 가능성을 지닌 텍스트로 읽는 것이다.

      • KCI등재

        눈치척도 개발 및 타당화 -대학생집단을 대상으로-

        허재홍,박원주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6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of measuring nunchi and validating it. Choi and Choi(1990) developed nunchi sensitivity scale, however, it had limitations that did not measure nunchi. which called for a new scale for nunchi. 189 items were initially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s, and 14 items was finally selected by the rating of college students and licensed counselors. Exploratory analysis revealed that 12 items were proper, and confirmatory analysis confirmed that nunchi had 12 items and two factors. Nuchi scale was also validated by concurrent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group with high nunchi level have higher level of self-esteem, subjective wellbe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an the group with middle or low level of nunchi. Nunchi affected subjective wellbeing in the mediation of self esteem, which confirmed that Nunchi w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Korean culture. Results was discussed. 한국인의 특성으로 자주 거론되는 특성 가운데 하나인 눈치는 상담심리 분야에서 별로 관심을 받지도 못했고 많이 연구되지도 않았다. 최연희와 최상진(1990)이 눈치민감성 척도를 개발한 바 있으나 눈치특성을 측정하지 못한 한계가 있어 눈치특성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눈치를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개발한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문헌자료를 토대로 189개의 문항을 구성하였고 대학생과 전문가 평정을 통하여 14개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탐색요인분석 결과 12개 문항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 탐색요인분석과 확인요인분석 결과 눈치 척도의 요인은 2개로 구성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인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결과 개발된 눈치척도는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눈치를 수준별로 나누어 자기존중감, 주관적 안녕감, 그리고 대인관계를 비교한 결과 집단간 차이가 있었으며 눈치는 자기존중감을 통하여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눈치수준이 높은 것이 한국사회의 중요한 과제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문화성향에 따른 긍정정서 경험빈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허재홍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1

        기존 연구들은 긍정정서가 개인의 행복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개인이 속한 문화의 가치에 따라 경험하는 긍정정서의 종류나 빈도, 그리고 행복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집단주의 문화로 알려져 있는 우리나라에서 분화정서와 관계정서의 경험빈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503명(남 220명, 43.7%, 여 279명 55.5%)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리문화에서는 분화정서보다는 관계정서를 더 자주 경험하고 있었고 개인의 문화성향과는 상관없이 분화정서보다는 관계정서가 주관적 안녕감에 더 큰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의 인지 측면에서 보면 주관적 안녕감은 개인주의와 상관이 없고 집단주의와만 상관이 있었고, 주관적 안녕감의 정서 측면에서는 수직차원과 상관이 없고 수평차원과만 상관이 있었다. 이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that types, frequencies, and effects of positive emotions on happiness are different from cultur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engaging/disengaging emotions and their effects on happiness in our culture. Data was collected from 503 college students(male 220 female 279). Results revealed that the frequency of engaging emotions was higher than the frequency of disengaging emotions. Engaging emotions more affected subjective well-being than disengaging emotions in both individualistic group and collectivistic one. The emotional components of SWB were correlated with collectivism, and the cognitive components of SWB were correlated with the horizontal dimension of cultur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눈치가 안녕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허재홍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3

        Several counseling models, based on Korean culture,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se models have limitations because of the lack of the research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nunchi differently affected subjective wellbeing(SWB)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IR), depending on cultural orientations. Data was collected from 367 college students(male 186, female 180). Results revealed that nunchi had effects on SWB and IR significantly. Perception, one of the subscales of nunchi,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IR in groups except the group with low collectivism and high individualism. Perception, one of the subscales of nunchi, affected cognitive SWB significantly, however, perception and identification, the subscale of nunchi, had effects on emotional SWB.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nunchi was one of the important factor in IR, being worthy of being utilized in counseling. Results were discussed. 그동안 한국문화를 바탕으로 한 상담모형이 제안되었으나 한국인의 특성에 대한 실증연구가 부족하여 한계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특성 가운데 하나인 눈치가 대인관계와 안녕감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367명(남학생 186명, 여학생 180명)에게서 얻은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눈치는 대인관계와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주의 성향이 낮고 개인주의 성향이 높은 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집단에서는 파악요인이 높을수록 대인관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측면의 안녕감에서는 눈치의 하위요인 가운데 파악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정서측면의 안녕감에서는 파악요인과 행동요인이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결과는 눈치가 한국사회에서 대인관계에 매우 중요한 특성이고 상담에 적극 활용할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눈치와 개인의 문화성향,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과 대인관계의 관계

        허재홍,오충광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Nunchi, known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 and individual‘s cultural orientation(ICO), and other variables(interpersonal relationship(IR), and subjective wellbeing(SWB). Data was collected from 359 college students(male 183, female 176),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unch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R and SWB. In ICO, individualism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wellbeing and IR, but it did not with cognitive wellbeing, and collectivism was positively with SWB and IR. Second, nunchi meaningfully explained SWB and IR, but ICO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R, but was not with SWB. Third, Nunchi and ICO had an interactive effects on IR, but did not on SWB. This suggested that in Korean culture, Nunchi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collectivistic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 of Nunchi may get along with others better than individualistic ones.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together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한국인의 특성 가운데 하나인 눈치와 개인의 문화성향이 대인관계 및 심리적 안녕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59명(남 183명, 여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눈치는 인지적 안녕감, 정서적 안녕감, 대인관계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개인의 문화성향 중 개인주의는 정서적 안녕감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인지적 안녕감과는 유의미한 상관이 없었고, 대인관계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개인의 문화성향 중 집단주의는 인지적 안녕감, 정서적 안녕감, 대인관계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인지적 안녕감과 정서적 안녕감은 대인관계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눈치는 대인관계 및 안녕감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의 문화성향은 대인관계는 유의하게 설명한 반면 안녕감은 유의하게 설명하지 못했다. 눈치와 개인의 문화성향이 대인관계 및 안녕감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대인관계에서만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고, 안녕감에서는 상호작용 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눈치가 한국사회의 대인관계에서 중요한 기제이며, 특히 집단주의 성향이 강하면서 눈치수준이 높으면 더 효과적인 대인관계를 수행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