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전통 주거 내 창호에 관한 비교연구: 조선시대 반가와 명,청시대 북경 사합원을 중심으로

        허윤실 ( Yoon Sil Heo ),김명 ( Myong Kim ),최경란 ( Kyung Ran Choi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0 기초조형학연구 Vol.11 No.6

        한국과 중국의 전통 주거문화와 창호의 비교특성을 밝히기 위한 기준들로 각각의 개념적 요소, 공간적 요소, 형상적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역사적 기록이 남아있는 문헌적 자료 및 창호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각 국가의 특정 시대에 존재했던 전통주거 사례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을 자료로 하였다. 창호 체계 형성에 영향을 끼친 윤리와 사상, 상징과 의미, 심미와 미학은 개념적 요소로서 국가와 지역의 인문적 특색, 민족 신앙과 정신 철학 및 심미 취향을 내포한다. 특히 유가의 윤리사상 영향으로 한국은 남녀 구분이 명확하며, 중국은 상하위계 구분이 엄격해서 주거 내 공간과 창호 형태에 직접적 영향을 끼쳐 장식의 상징이나 기술에 있어 광범위한 연계성을 보인다. 비교분석을 통해 본 한국과 중국의 주거공간과 창호는 특히 시대와 국가를 불문하고 생활공간에서 사용상 특징이 가장 큰 상관적 요소로 작용하는데, 이는 문화권마다의 일정한 습관적 방식을 지니고 있어, 인간의 사상 의식과 마찬가지로 당시 일상 속에 깊게 스며들어 있기 때문에 단시간에 변화될 수 없으며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는 곧 차별된 고유 문화를 가지는 것을 뜻하여, 이러한 문화적 특성은 우리 삶을 더욱 다양하고 풍요롭게 해주는 바탕이 되어준다 과거로부터 오늘날까지 생활의 변화과정을 거치면서도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문화적 특징이나 그 속에 내포되어 나타나는 의미에 중점을 두고 관련 분야의 다각적 조사와 분석이 뒷받침 된다면, 현재는 물론 미래의 주거공간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기술 및 기능적인 발전과 함께 일률적이지 않은 각 집단별 고유 문화를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raditional living windows and doors systems of Korea and China, this paper adopted three elements for comparison - the conceptual element, the spatial element, and the formal element. This paper then investigated theoretical grounds for historical documents about housing and windows and doors systems and did fieldwork based on traditional housing examples selected for each historical period. Ethics and thoughts, symbols and meanings, aesthetics and beauty influencing windows and doors systems are conceptual elements. They imply each culture`s humanistic characteristics, national religions, ideology, and aesthetics. Especially the Confucius ethics of gender-separation in Korea and hierarchical order in China had direct influence on spaces and windows and doors systems and showed broad connections in symbolism of decorations and techniques. The living spaces and windows and doors systems of Korea and China both showed the strongest correlations with the usage characteristics. Since each culture had a certain customs that was deeply entrenched in their everyday lives like thoughts and consciousness of humans, it could not be changed in a short time. It would constantly reappear. This means that each would have developed differentiated unique culture. In turn, these cultural characteristics are what make our lives richer and diverse. If we focus on consistent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maintained throughout the life changes from the past till today and if we ground our thoughts on multifaceted investigation and analysis in related fields, we could devise techniques and functional developments applicable not only to the present but to the future living spaces. It would also allow cultural diversity to flourish.

      • KCI등재

        한(韓),중(中) 왕가 주거 내(內) 창호의 형상적 특성에 관한 비교연구: 윤현궁과 공왕부의 사례를 중심으로

        허윤실 ( Yoon Sil Heo ),최경란 ( Kyung Ran Choi ),임선우 ( Sun U L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4

        한국과 중국의 창호 형태, 창살 패턴과 문양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장식적인 목적 외에도 사상과 감정을 전달하는 상징적인 의미 해석으로, 궁궐양식과 민가양식과는 차별된 왕가 주거에서 나타나는 미의식과 중요하게 다루는 가치, 그리고 조형적 특성을 각 국에서 동시에 존재하는 특수한 양식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왕가주거에서 나타나는 창호의 형상을 대상으로 비교하였지만, 결국 이는 양국의 자연환경, 인문사회, 문화적 사상체계, 생활방식, 주거형태 등 창호의 체계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 수많은 요소를 바탕으로 전통 왕가 주거공간과 창호의 특성에 대한 분석·논증이 포함되는 것이다. 한국과 중국 왕가주거 내 창호의 배치적 관계, 그리고 형태와 창살, 문양의 상징을 비교하여, 자세하고 사실적 답사 자료를 토대로 진행하였다. 한국의 창호는 가공되지 않은 소재와 색채 사용으로 최저 장식 수준의 창살 패턴에 그쳐 화려함 보다는 소박하고 자연친화적인 형태를 선호하였다. 중국은 창호의 형태, 창살의 다양한 종류뿐만 아니라 난간, 벽 등에 각종 패턴의 사실적 묘사와 풍부한 양감의 문양으로 변화를 주어 사람들로 하여금 포만감을 느끼게 한다. 즉, 자연친화적인 성향의 인간중심 형태가 보여지는 한국 창호 체계와 중화사상이 바탕이 된 화려하고 장식적이며 규모적으로 웅장한 느낌의 중국 창호 체계가 형성되기까지 표면적으로는 형태적인 측면과 함께 그 속에 내재된 수많은 문화적 상관 요소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With preceding study on windows & doors of houses of nobility in Joseon Dynasty Period and Ming·Qing Dynasty Period, it was planned to compare special windows & doors of dwellings of royal families in Joseon Dynasty Period and in Ming·Qing Dynasty Period, as a part of analysis of cultural factors between countries. This research compared shapes of windows & doors found in dwellings of royal families in Joseon Dynasty Period and Ming·Qing Dynasty Period, and it is not just comparison between windows & doors but analysis & demonstration of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wellings of royal families and windows & doors based on plenty of factors to have influence on windows & doors such as natural environment, human society, cultural thought system, lifestyle, and dwelling patterns. Windows & doors of Joseon Dynasty and Ming·Qing Dynasty were compared in terms of arrangement in building, shape, bars, and symbols of patterns, on the basis of detailed and realistic data. Minimal decoration was applied for windows & doors of Joseon with unprocessed materials and colors. They preferred simple and nature-friendly shape to fancy patters. Windows & doors of Ming·Qing make people feel satiety with changes using various types of bars, realistic portrayal of patterns on railing and walls, and abundantly massive patters. In the other words, external factors and internally cultural factors formed window & door system of Joseon showing natural-friendly tendency and anthropocentricism and the one of Ming·Qing based on Sinocentrism, which is fancy and decorative and looks splend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