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력손실과 보청기 조절 오류의 발견 지연 1례 보고

        허승덕(S. D. Heo)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7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1 No.3

        청각학적 재활은 청력손실 배경 정보 획득, 청각학적 평가, 보청기 전기음향특성 분석, 음향 이득 결정만으로도 충분히 만족스러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청력은 나빠질 수 있고, 보청기는 출력음압이 낮아지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청력손실의 조기 발견과 정기적인 추적 관찰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정상적인 추적에도 불구하고 보청기 조절 실수가 확인된 증례를 통해 효과적인 청각언어재활 방향을 고민하는데 목적이 있다. Audiological rehabilitation by itself can provide satisfactory services through acquisition of background information on hearing loss, audiological evaluation, analysis of electroacoustic characteristics of hearing aids, and determining acoustic gain. However, hearing can be exacerbated, and sound pressure level of hearing aids can be lowered. Moreover, breakdown of hearing aids can happen. Therefore, the early detection of hearing loss and regular follow-up observations are very important. The aim of this study concern the direction of effective audiological rehabilitation by checking the clinical cases where hearing aids fitting failures were found.

      • KCI등재

        전기 자극 청신경 복합활동전위: 변인 영향

        허승덕(S. D. Heo)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4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8 No.1

        전기 자극 청신경 복합활동전위(electrical compound action potential; ECAP)는 인공와우로 청신경을 자극하고 동시에 반응을 기록한다. 이 연구는 인공와우에서 ECAP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자극과 기록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대상은 문헌 또는 사례 연구를 제외한 연구 논문 34 편으로 하였다. 연구는 펄스 및 자극 조건, 잡파 억제 및 기록 조건 등을 분석하였다. 효과적인 신경 발화, 안정적인 역치 확인, 신경 퇴행 방지 등을 위해서는 펄스폭과 위상 간격이 가급적 짧고, (-)위상이 앞선 양위상 펄스를 사용하였다. 자극은 펄스 간격, 자극비율, 자극 방식 등을 정하여 와우의 첨부, 중간, 기저회전으로 C-level 정도로 하였다. 잡파는 전방차폐법, 거푸집소거법으로 제거하였고, 분명한 파형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전극 간격, 증폭 정도, 평균 가산 회수 등의 추가 조절이 필요하다. Electrical compound action potential (ECAP) can be recorded on cochlear implant. This study will investigate stimulation and recording to enhance the efficacy of ECAP. 34 articles was used. We analyzed pulse and stimulating condition, artifact suppression, recording condition. The cathod-leading biphasic pulse was used with as short as possible pulse width and inter phase gap for the efficacy of neural firing, stable threshold and preventing neural degeneration. Around C-level was stimulated to apical, middle and basal turn of cochlea. Artifact was eliminated by forward-masking, template-subtraction technique. For clearer waveform, we need to change distance between stimulating and recording electrode, the gain of amplification, number of average.

      • KCI등재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기반 청각선별과 설문 청각선별의 비교

        허승덕(S. D. Heo),박찬호(C. H. Park),송병섭(B. S. Song)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7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1 No.1

        언어 습득 이후 성인 난청은 진행 속도가 느려서 발견이 어렵다. 이들은 적절한 도구를 제공하면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스마트 폰도 도구들 중 하나이며, 설문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이 연구에서는 순음청각선별(pure tone screening, PTS)을 위한 스마트 폰 앱을 개발 후 이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난청자각 설문조사방법(hearing handciap inventory, HHI)을 동시에 진행한 후 결과를 비교하여 진행 속도가 느린 지연성 후천성 난청 발견을 위한 도구로서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은 10대부터 80대 사이 남녀 22명으로 하였다. 가청역치 평균(PTAs)은 두 귀 같은 주파수 가청역치 중 좋은 것을 선택(최량청력, best hearing)하였다 HHI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난청 자각 여부나 PTAs_4 ㎑를 기준으로 하였다. 두 검사 간 비교는 App_PTS의 PTAs와 HHI 점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단순회귀 분석하였다. 민감도와 특이도는 두 기준 모두에서 1.000으로 관찰되었다. 최량청력 PTAs_4 ㎑와 HHI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R-square= 0.951, p= .000). 설문을 이용한 청각선별은 정량적 계측을 통해 구현한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 기반 청각선별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app_PTS는 개인 친화적 도구로 생애 주기별 청각선별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adult hearing loss after the language acquisition because of its slow progression, which can be evaluated voluntarily and actively when the appropriate tools are provided. Smartphones are one of useful tools, and they can utilize surveys and/or applications for hearing screening.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possibility as a tool discovering delayed acquired hearing losses by comparing the pure tone screening application (app_PTS) which was recently developed by our research team and hearing handciap inventory (HHI). The subjects were 22 people whose age ranges from 10s to 80s. For pure tone averages (PTAs), hearing threshold level was selected the best one in same frequency, in both ear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HHI were confirmed based on self awareness of hearing loss and PTAs at 1, 2, 4 ㎑. Comparisons of two tests were measured by analyzing simple regression of correlation between PTAs of App_PTS and HHI scores.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1.000 in both criteria.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PTAs_4 kHz and HHI (R-square = .951, p = .000). Hearing screening by questionnaire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smart phones based on application. Therefore, it can be useful as a hearing screening tool for individual life cycle using an user-friendly tool.

      • KCI등재

        청각선별을 통과한 주간 보호와 언어재활 서비스 수혜 소아의 가청역치

        허승덕(S. D. Heo)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6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0 No.4

        청각선별에서 반응 역치는 검사 환경 잡음, 청각기관 생리적 특성, 과도한 음원 노출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 연구 목적은 청각선별을 통과한 소아의 주파수별 가청역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언어치료센터와 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3.3세부터 16.3세(9.01±2.52) 사이의 110명으로 하였고, 이들의 소아 청각선별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청각선별은 고막운동성계측(Tympanometry), 등골근반사(acoustic reflex threshold), 자동화 이음향방사(automated otoacoustic emission), 순음청각선별(pure tone screening)을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은 모두 청각선별 정상 기준에 포함되었다. 주파수별 가청역치 차이는 반복측정 분산분석 하였다. 결과: 가청역치 평균은 500, 1,000, 2,000, 4,000 ㎐의 순서로 우측 귀 16±6.49, 11.5±4.79, 6.86±4.99, 5.95±6.65 ㏈ HL, 좌측 귀 15.68±6.01, 9.95±5.24, 5.72±5.21, 5.63±7.04 ㏈ HL로 각각 관찰되었다. 주파수 사이에는 500㎐와 1,000, 2,000, 4,000 ㎐(p=.000), 1,000과 2,000, 4,000 ㎐(p=.00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Responded threshold level in hearing screening depends on the noise level of test surrounding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earing organs, excessive sound source exposures, and so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f hearing threshold level at each frequencies in children with passed hearing screening. Subjects were 110 children, aged were from 3.3 to 16.3 (9.01±2.52), who were at private speech language pathological clinics and daycare centers. Methods of Hearing screening were tympanometry, acoustic reflex threshold, automated otoacoustic emission, and pure tone screening. The subjects were in normal criteria of hearing screening. The differences of hearing threshold among ages and frequencies were measured by means of repeated measures ANOVA. The mean of hearing thresholds level was observed 16±6.49, 11.5±4.79, 6.86±4.99, 5.95±6.65 ㏈ HL in the right ear and 15.68±6.01, 9.95±5.24, 5.72±5.21, 5.63±7.04 ㏈ HL in the left ear, in frequency of 500, 1,000, 2,000, 4,000 ㎐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500 and 1,000, 2,000, 4,000 ㎐ (p=.000), between 1,000 and 2,000, 4,000 ㎐ (p=.000).

      • KCI등재

        외이가 성대 진동 개시 시간에 미치는 변화

        허승덕(S. D. Heo),강희라(H. R. Kang),김도윤(D. Y. Ki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8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2 No.3

        이 연구는 외이 공명과 외이도 내부 매질 특성이 성대 진동 개시 시간(voice onset time; VOT)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는 조음기관과 음성 기능에 문제가 없는 여자 5명(speaker)과 외이, 중이를 포함한 청각기관과 청력에 문제가 없는 남자 1명(listener)이 참여하였다. 파열음은 양순음 /p/ /p*//pʰ/, 치경음 /t/ /t*/ /tʰ/, 연구개음 /k/ /k*/ /kʰ/를 사용하였고, 모음 /a/와 연결하여 발성하게 하였다. 연구는 여자 화자가 발화한 파열음을 음장과 외이도 내부에 각각 장착한 마이크로 녹음하여 VOT 변화를 확인하였다. 음장과 외이도 내부 VOT 차이는 대응표본 t-test로 검증하였다. 외이도 내부의 VOT는 모두 단축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두 음성의 VOT는 치경 격음의 연장(p=.008)과 연구개음 평음의 단축(p=.030)이 유의한 차이로 관찰되었다. 두 음성 사이의 변화는 매질 온도에 의한 전달 속도 변화와 외이공명으로 자음의 잡음 강도가 증강되어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onance in the external ear and transfer function by characteristics of medium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EAC) affecting the voice onset time (VOT). Five female speakers whose articulators and voice functions are normal, and one male listener with intact auditory system including external and middle ears, and normal hearing ability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We used bilabial consonants /p/, /p<SUP>*</SUP>/, /p<SUP>h</SUP>/, alveolar consonants /t/, /t<SUP>*</SUP>/, /th/, and velar consonants /k/, /k<SUP>*</SUP>/, /Kh/ as plosive sounds, and had participants make sound through vowel /a/. This study identified the VOT change by recording plosive sound with microphone equipped within sound field and inner part of the EAC, respectively. The difference between sound field and the EAC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Although the VOT in the EAC was shortened,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wo syllables; the VOT of the alveolar aspirated consonant was prolonged (p=.008) and the VOT of the velar plain consonants was shortened (p=.030) in EAC. Changes between the two voices are interpreted as a result of augmented intensity of consonants, which happened because of the change speed of the transmission caused by the temperature of medium, and resonance in the EAC.

      • KCI등재후보

        비대칭 음 강도 양이 동시 자극 청성뇌간유발반응의 양이간섭치

        허승덕(S. D. Heo)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4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8 No.2

        양이간섭은 청신경망에서 청각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의 하나로, 같은 크기의 소리를 두 귀로 번갈아 자극하여 기록한 청성뇌간유발반응(auditory brainstem responses; ABR)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소리는 두 귀가 동시에 청취하므로, 양이간섭도 서로 다른 강도의 자극을 두 귀에 동시 자극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 목적은 서로 다른 크기의 소리를 두 귀로 동시에 자극하여 기록한 ABR을 통해 양이간섭치(binaural interaction component; BIC)를 획득하는데 있다. 과거 병력이 없고 청력이 정상인 17.8-22.7세 사이 17명의 여자 대학생이 참여하였다. 소리는 한 귀를 90 ㏈ nHL로 고정하고 반대 쪽 귀를 0부터 80 ㏈ nHL까지 10 ㏈ 단위로 변경시킨 click을 동시에 자극하였다. BI 파형은 양이 동일 강도를 자극한 파형에서 비대칭 자극한 파형을 빼어 구하였다(BI = B - (L + R)). BIC는 BI 파형에서 Ⅳ-Ⅴ복합파 잠복시간과 진폭으로 하였다. BIC 역치(threshold of BIC; t-BIC)는 자극 강도에 따른 BIC 진폭 변화를 통해 구하였다(대응 표본 t-검정). BIC는 자극 음강도 0부터 90 ㏈ nHL까지 10 ㏈마다 정점 잠복시간 4.65, 4.63, 4.57, 4.58, 4.62, 4.6, 4.48, 4.36, 4.23 ㎳, 골 잠복시간 5.57, 5.51, 5.51, 5.59, 5.61, 5.55, 5.44, 5.28, 5.19 ㎳, 진폭 ?0.32, -0.3, -0.34, -0.32, -0.42, -0.53, -0.54, -0.61, -0.67 ㎶로, t-BIC는 40 ㏈ nHL(p=.001)로 각각 관찰되었다. Binaural interaction can recognize the same intensity sound by stimulating two ears alternatively, and it can be record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ABR). However, We needs to be researched about binaural interaction in asymmetric binaural acoustic stimulation. 17 normal young hearing university students were participated. Clicks were presented at the intensity of 90 dB nHL to one ear and the click intensity was increased from 0 to 90 dB nHL with a separation of 10 dB to another ear, simultaneous. BI waveform wa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um of the asymmetrically evoked potentials from the binaurally evoked potentials; i.e. BI = B - (L + R). Latency and amplitude was measured "peak to following trough" of Ⅳ-Ⅴ complex of BI waveform. Threshold of BIC (t-BIC) was obtained using amplitude depend on stimulus intensities (paired sample t-test). Latency shifted in 4.65, 4.63, 4.57, 4.58, 4.62, 4.6, 4.48, 4.36, 4.23 ㎳ for peak, 5.57, 5.51, 5.51, 5.59, 5.61, 5.55, 5.44, 5.28, 5.19 ㎳ for trough, and amplitude shifted in ?0.32, -0.3, -0.34, -0.32, -0.42, -0.53, -0.54, -0.61, -0.67 ㎶ from 0 to 90 dB nHL in every 10 dB, respectively. t-BIC was observed 40 ㏈ nHL(p=.001).

      • KCI등재

        고등학생 청각선별 결과

        오승하(S. H. Oh),허승덕(S. D. Heo)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6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는 경산지역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재검대상자 비율을 통해 청각 선별의 필요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여자 고등학생 359명, 남자 고등학생 205명 등 모두 564명으로 하였다. 청각선별은 고막운동성계측(tympanometry)과 자동화 이음향방사(automated otoacoustic emission; AOAE)를 이용하였다. 재검대상자 중 위양성 소견을 보인 여학생 8명(2.228%) 11귀와 남학생 9명(4.39%) 10귀를 제외하면 최종 재검대상자는 여학생이 9명(2.5%), 남학생이 19명(9.268%)으로 각각 관찰되었다. 고막운동도와 AOAE는 남녀 사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청소년 청각선별은 이관 성장 발달에도 불구하고 순음청각선별로 확인하기 어려운 난청을 선별하기 위하여 고막운동성계측을 시행할 필요가 있고, 위양성 결과를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aimed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ferral rate of hearing screening for girls and boys senior high school in Gyeongsan and to consider the need for hearing screening. 359-girl and 205-boy were participated. Hearing screening was conducted tympanogram, automated otoacoustic emission(AOAE). Final referral rate was observed 9 girl (2.5%) and 19 boy(9.268%),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ympanogram and AOAE. In conclusion, hearing screening for senior high school students needs to conduct tympanometry in order to screen hearing loss which is difficult to check through pure tone screening regardless of development of the Eustachian tube, and we need to make an effort the false positive results.

      • KCI등재후보

        음절 간 쉼 간격이 인공와우 아동의 어음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박정인(J. I. Park),허승덕(S. D. Heo)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4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8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음절 간 쉼 간격이 인공와우 이식(cochlear implantation; CI) 아동의 어음이해도(speech discrimination score; SD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는 CI 아동 12명이 참여하였다. 어음이해도 평가는 자체 제작한 무의미 3음절을 사용하였고, 음절 간 쉼 간격은 250, 500, 1,000㎳로 조절하였다. 어음 강도는 대상자들이 가장 편하기 느끼는 강도(most comfortable loudness; MCL)로 하였다. 평가는 4지 선다형 보기에서 대상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방법(closed-set)으로 실시하였다. 어음이해도는 250, 500, 1,000 ㎳ 순서로 62.08, 63.75, 69.58 %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지만, 개선되는 경향이 나타났다(p = .4635). 이를 통해 음절 간 쉼 간격은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어음이해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speech discrimination score(SDS) depending on inter-syllable pause duration in participant with child of cochlear implantation(CI). 12 child of CI-user participated. The word for SDS was used self-made meaningless three-syllable. The pause duration of inter-syllable was adjusted to 250, 500, 1,000 millisecond(㎳). Discrimination score of closed-set speech was obtained at most comfortable loudness(MCL). SDS were improved in CI group for 62.08, 63.75, 69.58 %,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child of CI group(p = .4635). SDS was improved depending on inter-syllable pause duration in child of CI.

      • KCI등재후보

        언어습득 이후 난청 성인 인공와우이식자의 음소 지각과 오류

        최아현(A. H. Choi),허승덕(S. D. Heo)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14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8 No.3

        이 연구는 언어습득 이후 난청 성인의 인공와우 이식 후 음소 지각과 음소 지각에 오류 양상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일측 인공와우를 1년 이상 사용한 23세부터 79(49±14)세 사이의 21명(m:f=13:8)의 자음 지각 검사를 이용하였다. 자음 지각 성적은 11~86(60±17)%로 관찰되었고, 인공와우 교정청력(p< .046)을 제외한 술 전 청력, 난청 기간, 인공와우 이식 연령, 술 후 사용기간 등은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언어발달이 정상적인 경우 다른 요인들 보다는 청력의 개선을 통한 청각적 자극이 자음지각에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음소 정답률은 마찰음(/ㅅ, ㅆ, ㅎ/)과 파찰음(/ㅈ, ㅉ, ㅊ/)이 71~92 (79±7)%로 파열음(/ㅂ, ㅃ, ㅍ, ㄷ, ㄸ, ㅌ, ㄱ, ㄲ, ㅋ/)과 유음(/ㄹ/) 및 비음(/ㅁ, ㄴ/)의 33~80 (50±13)%보다 높게 관찰되었다. 오류 양상은 조음 방법이 같은 음소들을 서로 혼동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주파수의 미세한 변화나 강도의 시간적 변화를 변별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honeme recognition in postlingually deafened adults with cochlear implantation. 21-cochlear implantee were participated. They was used cochlear implants more than 1 year. In order to measure consonant performance abilities, subjects were asked for 18 items of Korean consonants in a ″aCa″ condition with audition alone. The scores ranged from 11 to 86 (60±17)%. The consonant performance abilities correlated with implanted hearing threshold level, significantly(p<.046). This results suggest that consonant performance abilities of postlingual deafened adults cochlear implantee be important for implanted hearing. They had higher correct rates for fricatives and affricatives with distinctive frequency bands than for plosives, liquids & nasals with the same or adjacent frequency bands. All subjects had confusion patterns among the consonants of the same manner of articulation. The reason of consonant confusions was caused that they couldn’t recognize different intensities and durations of consonants with the same or adjacent frequency b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