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파수 이동 필터링을 적용한 지면 투과 레이더 기반 휴대용 지뢰 탐지 시스템

        함종헌(Jong-Hun Hahm),김민주(Min Ju Kim),허은두(Eun Doo Heo),김성대(Seong-Dae Kim),김동현(Dong Hyun Kim),최순호(Soon-Ho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17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4 No.5

        휴대용 지뢰 탐지기의 특성상 병사가 직접 손에 들고 운용하기 때문에 빠르고 정확하게 표적 탐지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개발해야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군에서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지뢰 탐지기는 금속 성분의 지뢰만 탐지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우리나라 환경에 알맞은 휴대용 지뢰 탐지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면 투과 레이더를 이용하여 지뢰를 탐지 하고, 우리나라 환경에 알맞은 휴대용 지뢰 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전처리 단계로 깊이 보상, 정합 필터링, 주파수 이동 필터링을 이용하고, 탐지 단계에서 에지 비율을 통해 최종적으로 표적을 탐지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토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양토를 이용하였고, 탐지해야하는 지뢰를 매설한 후 휴대용 지뢰 탐지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획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패치의 크기 및 위치와 이동 주파수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여 최적의 성능을 나타내는 값을 찾아내고, 해당 값을 이용하여 탐지 성능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전처리 알고리즘이 낮은 오경보율에서 모든 지뢰를 탐지하는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기존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제안하는 시스템의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Since a soldier manages a hand-held landmine detector by han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detect the target quickly and accurately. However, the hand-held landmine detector used in Korea has a problem that it can only detect the metal min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olve the problem and to develop a hand-held landmine detection system suitable for the Korean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hand-held landmine detection system suitable for the Korean environment using ground penetrating radar. The proposed system uses depth compensation, matched filtering, and frequency shifting filtering for preprocessing. Then, in the detection step, the system detects the target using the edge ratio. In order to evaluate the proposed system, we buried landmines in sandy loam which is most of the soil in Korea and obtained a set of ground penetrating radar data by using a hand-held landmine detector. By using the obtained data, we carried out some experiments on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patch and the shifting frequency to find the optimal parameter values and measured the detection performance using the optimized valu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preprocessing algorithms are suitable for detecting all landmines at low false alarm rate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ystem is superior to that of previous works.

      • KCI등재

        생물학적 칼슘화에 의해 생성된 CaCO<sub>3</sub> 광물의 정량분석 방법 비교 평가

        안창민,배영신,함종헌,천승규,김창균,Ahn, Chang-Min,Bae, Young-Shin,Ham, Jong-Heon,Cheon, Seung-Kyu,Kim, Chang-Gyu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13 지하수토양환경 Vol.18 No.5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btaining the amount of calcium carbonate minerals formed when Ca salts biomimetically reacted with carbon dioxide. There were two methods compared; 1) volumetric calcimeter method that determining the amount of released carbon dioxide after calcium carbonate minerals were acidified by 4N HCl and 2) Thermogravimetry-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TG-DTA) adopting differential decomposition temperature breaking-up the structural link within calcium carbonate minerals. The comparisons were made by batch experiment (i.e., biocalcification process) along with control (i.e., nominal concentration of $CaCO_3$ prepared). For the control, TG-DTA took a minor root mean square deviation (RMSD) of 1.1~5.9 mg, whereas volumetric calcimeter exposed a greater RMSD of 28.3 mg. For the biocalcification, the amount of $CaCO_3$ was more precisely obtained for TG-DTA rather than that of volumetric calcimeter. It was decided that TG-DTA was more successfully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to observe the amount of calcium carbonate minerals derived from biocalcification.

      • 휴대용 지뢰탐지 시스템을 위한 블록 선형 예측 기법

        허은두(Eun-doo Heo),함종헌(Jong-Hun Hahm),김성대(Seong Dae Kim),이승의(Seung-Eui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6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6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linear prediction method that suppresses reflected signal from the ground and estimates depth information of landmine. Previous linear prediction method has high false alarm rate because of reflected signal from the ground and it provides no information about the depth of the landmine. Therefore, we apply block-wise linear prediction with estimated ground signal location. It improves the performance of landmine detection system and estimates the location of the landmine along the depth.

      • KCI등재

        표적 적응형 윈도우 기법을 적용한 지뢰 탐지 시스템

        김민주(Min Ju Kim),김성대(Seong-Dae Kim),팽경현(Kyunghyun Paeng),함종헌(Jong-Hun Hahm),한승훈(Seung-hoon Han),이승의(Seung-Eui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4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1 No.7

        지뢰 탐지 시스템의 성능은 지뢰의 특징을 일관성 있게 추출하는 것에 달려 있다. 그러나 지뢰는 다양한 크기를 가지므로, 지뢰영역을 일관성 있게 표현하기 위한 적절한 윈도우의 크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시스템들은 고정된 크기의 윈도우로 특징을 추출하기 때문에, 일관성 있는 지뢰의 특징을 획득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지뢰의 크기에 따라 윈도우를 선택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시스템에서 획득된 응답신호를 통해 지뢰의 종류를 추정한 후, 이에 따른 윈도우 크기를 선택한다. 제안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토양과 지뢰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실험 결과 고정 크기의 윈도우를 이용한 시스템의 성능에 비해 제안한 기법을 이용한 시스템의 성능이 2%높은 탐지율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erformance of a landmine detection system depends on consistent extractions of the features of landmines. Since landmines have diverse sizes, it is critical to select an appropriate window size to represent the landmine region consistently. Conventional detection systems are incapable of extracting consistent landmine features because they employ fixed window sizes. This paper proposes a window size sel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size of a landmine. The proposed method selects an appropriate window size based on the type of a landmine estimated from the response signal of the system. Data on various types of soils and landmines were generated from a simulation program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The results verified that the proposed method, which employs an adaptive window size, yields a better landmine detection rate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which employ fixed window sizes.

      • KCI등재

        매립지 복토용 슬러지 고화물내 이산화탄소 생광물화 고정균 분석 및 생광물화능 평가

        안창민(Chang Min Ahn),배영신(Young Shin Bae),함종헌(Jong Heon Ham),천승규(Seung Kyu Chun),김창균(Chang Gyun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3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5 No.8

        본 연구에서는 실제 매립장에 매립되어 있는 슬러지 고화물을 대상으로 생광물화 미생물 종분석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 하였고, 또한 분석된 미생물을 배양하여 일반적으로 알려진 생광물화균과의 대조 실험을 통해 토착 미생물의 carbonate 생성능을 기기분석을 통해 비교 평가하였다. 시료내 미생물 종분석을 16S rDNA 시퀀스 분석을 통해 수행해본 결과, 다양한 미생물종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생광물화 기작에 관여한다고 알려진 호기성 토양 미생물의 한종인 Bacillus megaterium과 금속을 환원시켜 미네랄염 상태로 전환시키는 Alkaliphilus metalliredigens의 근연종을 확인 하였다. 복토재에서 분리 배양한 균주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생광물화 균주가 주입된 실험군에서 미생물이 주입되지 않은 대조군보다 이산화탄소의 감소량이 더 컸다. 이와 연계하여 반응후 열중량분석기(TG-DTA)를 이용하여 탄산염(carbonate minerals)을 정량한 결과, 미생물이 주입된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약 30% 정도 더 생성된 것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로 비춰 볼 때 열중량분석법(TG-DTA)은 이산화탄소의 생물학적 전환에 의해 생성된 탄산염물의 정략적 분석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종합해 보면 복토재로 현장 매립된 슬러지 고화물은 매립장에서 표면 발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자연적인 탄산염 전환 매체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biomineralization microbes were actively present underneath landfill cover soil producing biocalcification. From this, various types of microbes were observed. Among them, two species were dominantly found; Bacillus megaterium and Alkaliphilus metalliredigens that were known as biominerlization bacteria. With those microbes, CO₂ was more highly consumed than without bacteria. In response, the calcium carbonate mineral was produced at 30% (wt)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At the same time, TG-DTA was successfully used for quantification of CO₂ consumed forming calcium carbonate minerals resulting from biocalcification. It was decided that the presence of solidified sewage sludge cake utilized as a cover soil in the landfill could efficiently contribute to possible media adaptably and naturally sequestering CO₂ producing from the landf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