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살취약계층의 심리, 보도의 왜곡성, 위험성이 보도규제에 미치는 영향: 제3자 효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택수 ( Han Taeksoo ),유현재 ( Yu Hyunja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4

        본고에서는 10대, 20대, 30대의 사망원인 1위인 자살이 언론 보도에서 다뤄지는 행태에 대한 규제가 필요함을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538명의 10대, 20대, 30대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그들의 자아존중감, 우울, 관여도 등의 심리적 변인과 자살보도의 왜곡성과 위험성 변인이 제3자 효과를 매개하여 자살관련보도의 규제까지 이어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과 사회적 거리가 먼 타인일수록 자살보도에 부정적 영향을 받는다는 제3자 효과를 측정한 결과, 사회적 거리감이 클수록 지각적 편향이 확대되었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수준 차이는 제3자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자아존중감, 우울, 관여도, 보도의 왜곡성과 위험성 변인과 자살보도규제 변인을 제3자 효과가 매개하는지 추정하고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언론의 왜곡된 자살보도와 그에 대한 자살보도규제 변인이 제3자 효과를 통해 매개되었다. 건강 관련 정책 형성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헬스커뮤니케이션학적 관점으로 본 연구를 진행한 결과, 자살보도의 10대, 20대, 30대 수용자는 왜곡된 자살보도에 자신보다 타인들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지각적 편향을 보인다. 그리하여 타인들이 자살보도로부터 받을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살보도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기에, 그에 따르는 실질적 보도규제 정책 수립으로 이어져야 한다. Suicide news report guidelines 2.0 that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hould regulate suicide news reports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third person effe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not only 538 respondents`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elf-esteem, depression, involvement (cognitive and emotional), the effect of distortion and riskiness suicide reports on the third-person effect but restricting suicide news report factor`s presuming and confirming processes as a dependent variable. Furthermore, self-esteem and depression factor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levels of high and low with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third-person effect, mediation factor itself was analyzed by paired t-test.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presume the mediation effect and Sobel-test examined the mediation effect eventually.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that the respondents showed perceived media bias toward distorted suicide news reports so that they thought the regulation of suicide news reports was necessary. Specifically, this research provides theoretical foundations on health related policy with sticking to the perspective of health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방송 뉴스 자살 보도 시 미화법 사용과 배경 설명이 대학생의 자살 관련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창현(Changhyun Han),유현재(Hyunjae Yu),정휘관(Hwikwan Jung),한택수(Taeksoo Han),서영지(Youngji Seo)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미디어가 자살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자살자의 행동을 미화하거나 자살 사건의 배경을 설명함으로써 대중의 자살 관련 인식(자살, 자살자, 자살 보도)의 변화가 일어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자살 보도 시 “미화법(사용 vs. 미사용: 동반 자살 vs. 살해 후 자살)”과 “배경 설명(유/무)”에 따라 4가지 조건을 다르게 조작하여 영상물을 제작하고, 서울 시내 대학생 120명을 각 조건에 무작위로 할당한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각 그룹은 영상 시청 전과 후에 설문에 응답하였고, 일부 피험자들은 실험과 관련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동반 자살’ 표현을 포함한 경우 자살 보도의 왜곡성과 위험성에 대한 인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배경 설명’을 추가한 경우 자살 보도의 왜곡성과 위험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자살과 자살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수준은 낮았다. 다음으로 ‘살해 후 자살’ 표현을 사용하고 ‘배경 설명’을 추가하지 않은 경우 자살 보도의 왜곡성과 위험성 인식 수준은 가장 낮으나, 자살자 행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동반 자살’ 표현을 사용하고, ‘배경 설명’을 추가 한 경우 영상 시청 전보다 자살에 대한 부정성 인식이 낮아졌다. 본 연구결과, 자살보도 권고기준의 핵심항목이자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자살에 대한 미화법 사용’과 ‘자살 사건에 대한 배경 설명 추가’ 여부가 자살 관련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은 향후 더욱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자살 관련 미디어 콘텐츠 권고방안 마련을 위한 소중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glamorous portrayal of suicide and explaining background of suicide on perception of suicide. The study was a 2 (glamorous portrayal: using vs. not using) x 2 (explaining background: using vs. not using)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online experiment. In addition, some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interviewed. The findings from an experimental study (N = 120) suggested that distortion and riskiness of suicide were greater in the condition of using glamorous expressions and explaining background of suicide compared to not using those expressions. In addition, participants who watched video included both independent variables had a lower negative perception on suicid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framed messages and realistic media contents and guidelin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