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CSR 프로그램의 소비자 효과 분석: CSR 대상, NGO 그리고 모국 이미지 요인 중심으로

        한충민 ( C. Min Han ),손성범 ( Sungbum Son ),김경애 ( Kyung Ae Kim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6 국제통상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소비자 관점에서 국내에 진출한 유럽과 일본 다국적기업을 대상으로 CSR 대상(국내 vs. 해외) 그리고 협력 NGO의 유형(국내 vs. 외국)에 따른 CSR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2개 국가 × 2개 CSR 대상 × 2개 NGO 기관의 모두 8개 유형의 CSR 활동에 대한 효과를 비교한다. 이를 위해서 서울 소재 25세 이상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실험 조사가 진행되었다. 검증 결과, 소비자들은 다국적기업의 CSR의 대상이 국내이든 해외이든 차별을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소비자들은 다국적기업의 CSR이 글로벌 NGO와 함께 수행되었을 때,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이와 함께, 비호의적 모국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다국적기업의 CSR은 호의적 국가이미지의 기업보다 소비자에게 주는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발견되었다. 동시에 모국 이미지는 CSR 대상과 NGO 유형에 따른 CSR 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비호의적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기업이 국내 CSR을 수행할 때, 그리고 국내 NGO와 연계할 때 소비자들이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how CSR targets, NGO affiliations, and home country image affect consumer responses towards CSR by multinational firms in Korea. The study employs a three-way 2-by-2-by-2 factorial design. Fiel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with adult consumers in Seoul aged over 25. Our findings, first, suggest that consumers perceive foreign CSR as important as domestic CSR. However, consumers responded more positively towards CSR carried out with international NGOs. In addition, consumers were found to react more positively CSR by Japanese firms with an unfavorable country image. This country effect was shown to be greater with domestic CSR targets and domestic NGOs.

      • KCI등재

        국제통상 : 글로벌 vs. 국내 지향적 R&D 외국인투자 결정요인: 입지 요인 중심으로

        한충민 ( C. Min Han ),원성빈 ( Sung Bin Won ) 국제지역학회 2012 국제지역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국내 진출 외국인투자기업의 연구소 설립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 요인을 실증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투자기업의 국내 연구소를 국내 지향적 연구소와 글로벌 지향적 연구소로 분류하고, 국내 연구소 설립시 고려하였던 입지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에 관하여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37개 글로벌 지향적 연구소와 39개 현지 지향적 연구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우선 글로벌 지향적 연구소의 설립에는 본사와의 커뮤니케이션 용이성, 연구 인력의 인건비 요인이 국내 지향적 연구소 설립에서 보다 중요한 입지요인으로 발견되었다. 이와 함께, 국내 공장/판매 조직 여부와 국내 시장의 규모도 글로벌 지향적 연구소에서 더 중요한 입지 요인으로 고려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선행 연구의 주장과 배치되는 결과이다. 이 결과는 우리나라에서는 다수의 글로벌 지향적 연구소 설립이 현지 지향적 연구소에서 진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을 시사해주는 결과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locational factors considered for Global R&D investment by foreign firms in Korea. Specifically, we classified foreign R&D investment into two groups - globally-oreinted vs. locally-oriented R&D investment, and compar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locational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We conducted surveys with 37 globally-oriented investments and 39 locally-oriented investments. Our findings indicate that ease of communications with the parent office and cost of local R&D personnel were more important factors for globally-oriented investments.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local production/sales subsidiaries and the size of the local market were also found to be more important for globally-oriented investments. This findings may suggest that globally-oriented R&D investments tend to evolve from locally-oriented investments. Finally,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as for attracting globally-oriented foreign investments.

      • KCI등재
      • KCI등재

        외국 브랜드에 대한 미국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 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충민(C . Min Han) 한국마케팅학회 1998 마케팅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외국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 모형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외국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택 과정에 관한 인과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국내 브랜드 선택 과정에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 품목은 소형승용차로서 미국, 독일과 일본산 브랜드가 검토되었다. 연구 결과, 외국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택은 주관적 규범과 구매 습관에 의해서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국 브랜드는 국내 브랜드에 비하여 인지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의 인과 과정이 다소 약하게 나타났다.

      • KCI등재

        해외 CSR을 수행하는 한국 기업의 특성에 관한 실증 연구: 중국 시장 중심으로

        한충민 ( C. Min Han ),이효연 ( Xiao Yan Li ),안현미 ( Hyoun Mi Ahn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8 國際經營硏究 Vol.29 No.2

        본 연구에서는 중국 시장에 진출한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현지에서 CSR을 수행하는 기업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내수 시장 진출 목적의 중국 투자 기업 153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검증 결과, 모기업의 규모, 고용 규모, 매출 규모 그리고 브랜드 명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CSR에 적극적인 기업은 모기업 규모가 크고, 고용 규모가 크고, 매출 규모가 크며, 브랜드 명성이 높은 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은 대기업의 현지 법인의 특성으로, 한국 기업의 중국에서의 CSR은 결국 대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을 본 연구 결과가 시사해주고 있다. 한편, 소유 형태, 투자 규모와 시장성과는 CSR 수행 정도는 CSR 수행 정도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론적 관점에서, 한국 기업의 해외 CSR은 선제적 관점의 CSR이론 보다는 방어적 관점의 CSR이론이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rms conducting CSR in China. Surveys were conducted with 153 firms doing local business in China. The study found that large firms were conducting greater CSR activities in China than small firms. Specifically, subsidiaries with large parent firms, a large number of local employees, large local sales, and strong brands were more likely to conduct CSR in Chin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SR in China is mainly carried out by local subsidiaries of large firms. On the other hand, the ownership pattern, size of investment, and market performance did not show meaningful relationships with CSR.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the findings imply that CSR theories suggesting defensive motives for foreign CSR are more relevant than those suggesting preemptive motives for CSR in explaining CSR activities by Korean firms in China.

      • KCI등재

        국제경영 : 글로벌마케팅의 표준화-현지화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상황적응론 vs. 자원기반 관점 중신으로

        한충민 ( C. Min Han ) 국제지역학회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한국 기업의 글로벌마케팅 프로그램의 표준화-현지화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이다 특히 본 연구는 2가지 관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하고자 하였다. 첫째는 모국-현지국의 환경 차이에 초점을 두는 기존 실증연구와는 달리 글로벌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두 번째는 본 연구는 상황접근론 관점과 자원기반 관점에서 결정요인을 설정하고 이들 요인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결정요인으로 상황적응론적 관점에서 외부환경 요인인 글로벌 시장의 역동성과 복잡성을, 그리고 자원기반 관점에서 글로벌 마케팅자산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마케팅을 수행하는 국내 기업 128개 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의 글로벌 마케팅자산은 글로벌마케팅 프로그램 표준화 정도와의 정(正)의 관계를 나타난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글로벌 시장환경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의 글로벌마케팅 프로그램은 상황적응론적 관점보다는 자원기반 관점에서 결정되는 경향이 있음을 사사하는 결과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determinants of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vs. adaptation in global marketing programs for Korea firms. Our study has two main focuses. First, our study takes a global perspective instead of a binational, i. e., home vs. foreign perspective. Second, we accommodated two conflicting veiws-contingency and resource-based views in explaining determinants of global marketing strategy. As such determinants, we considered global market dynamism and complexity from a contingency view and global marketing assets from a resource-based view. Surveys were conducted with 128 Korean firms engaged in global marketing. Our study found that Korean firms with global assets tend to engage in highly standardized global marketing programs. On the other hand, global market dynamism and complexit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vs. adapt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a resource-based view may be more powerful than a contingency view in explaining global marketing strategies of Korean firms.

      • KCI우수등재

        한국기업의 브랜드 국제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충민(C . Min Han) 한국경영학회 1996 經營學硏究 Vol.25 No.2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brand marketing vs. OEM arrangements in export marketing strateg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Korean exporters and several interesting characteristic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the exporters employing brand marketing strategy were found to engage in independent market research. Second, they also tend to export products whose levels of quality are as competitive as to those of competing products from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whose level of price shows a similar characteristic. Finally, the exporters employing brand marketing were found to believe that brand marketing would contribute to their competitiveness in export markets.

      • KCI우수등재

        중국진출 한국 기업의 마케팅 성공 사례 연구

        한충민(C . Min Han) 한국경영학회 1999 經營學硏究 Vol.28 No.3

        The paper examines Korean marketing practices in China. Specially, six success cases are analyzed with focus on marketing strategies and their impact on performance of Korean firms in China. Our analysis indicates that successful Korean firms possess competitive advantages in product value for money and medium to advanced technologies. In addition, they are very active in transferring such advantages to Chin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Korean firms tend to adopt marketing standardization strategy rather than adaptation. Our analysis also indicates that they have a tendency to enter north-east regional markets which are geographically and culturally close to Korea, and that their internationalization appears to show a gradual pattern starting with exporting and then increasing their commitment to local production.

      • KCI등재

        국내 vs 외국 스마트폰 브랜드 선택에 관한 실증 연구: 초기 수용자의 특성 요인 중심으로

        한충민 ( C. Min Han ),김상묵 ( Sang Mook Kim ),황지은 ( Ji Eun Hwang ),원성빈 ( Sung Bin Won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2 국제통상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스마트폰 초기 수용자의 국내 vs. 외국 브랜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특성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신토불이적 자민족주의, 소비자 애국심, 소비자 세계주의, 혁신성, 과시적 소비 성향과 같은 소비자 특성 변수와 지각된 품질 수준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25세~40세 직장인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출시 초기인 2010년 12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우리나라 제품이 우수하거나 우리에게 더 적합하다고 인식하는 신 토불이적 자민족주의와 지각된 품질 수준이 초기 수용자의 국내 vs. 외국 브랜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애국적 자민족주의, 세계주의, 혁신성 그리고 과시적 소비 성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결과가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초기 수용자들이 감성적이나 상징적 가치보다는 기능적 가치에 크게 영향을 받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consumer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early adopters for Samsung Galaxy vs. Apple iPhone. It is hypothesized that consumer ethnocentrism, cosmopolitanism, innovativenes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erceived quality will affect early adopters` choice of Samsung vs. Apple. Data were collected with surveys with 136 early adopters of smart phones in December, 2010. The findings indicate that ethnocentric early adopters, who believe that local products are of better quality or more suitable for local consumers, tend to choose Samsung over Apple, but other consumer characteristics showed no relationship with the choice. On the other hand, perceived quality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These finding may suggest that early adopters, in the choice of domestic vs. foreign smart phones, tend to consider functional values rather than emotional or symbolic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