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로장애와 진로포부가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귀녀 ( Gui Nyeo Han ),유순화 ( Soon Hwa Yoo ),송현아 ( Huyn Ah So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9 중등교육연구 Vol.5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애와 진로포부가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부산시에 소재한 3개 중학교(남중, 여중, 공학)에서 2학년, 609명의 학생들(남학생 305명, 여학생 30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중학생들의 성별 및 학교 특성(남중, 여중, 공학 남자, 공학 여자)에 따라 진로장애, 진로포부, 진로태도성숙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 특히 진로장애와 진로태도성숙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두드러져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진로장애를 높게 지각하였고, 진로태도성숙 수준은 여학생들이 높았다. 학교특성별로는 여중, 공학여학생들이 진로태도성숙을 높게 지각하고 남중, 공학남학생들은 진로장애를 높게 인식하고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를 반영하고 있었다. 둘째, 부적인 상관관계에 있는 진로장애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진로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중재변인이 될 수 있음이 밝혀졌고, 이러한 관계는 여학생 집단보다 남학생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더 뚜렷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이 지각하고 있는 진로장애, 진로포부, 진로성숙도에 관한 논의가 제시되어 있다.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09 middle school students (305 boys and 304 girls) in Busan. They were the se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aspiration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sex and a school variable(single-sex or coeducational school). ond graders from 3 different schools-a boys` school, a girls` school and a coeducational school. Their response to questionnaires was analyzed by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ree variables(career barriers, career aspiration, career attitude maturity) by gender and school variable (single-sex or coeducational school). Due to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ata of each group divided by gender and school variable as well as all subject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career aspiration can play a role of moderating variable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negative relations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moderator role of career aspiration was more prominent in the boys` data than girls`. Discussion regar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provided.

      • KCI등재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학생의 교사태도에 대한 지각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영숙 ( Young Sug Park ),유순화 ( Soon Hwa Yoo ),한귀녀 ( Gui Nyeo Han ),정애리 ( Ae Ree Ch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7 초등교육연구 Vol.20 No.3

        교사태도에 대한 아동의 지각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는 많이 보고되었으나,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직무만족 여부가 아동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어떤 교육효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따라 교사가 아동을 대하는 태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고, 교사가 아동을 대하는 태도에 차이가 있으면 아동의 담임교사에 대한 지각 또한 달라져서 결과적으로 아동의 학교적응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담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아동의 담임교사에 대한 지각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S, G, W 초등학교 4~6학년 담임교사 50명과 담당 학급의 아동 1082명이 참여하여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학생의 교사에 대한 지각을 1단계로,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2단계로 회귀방정식에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보통``보다 다소 높았으며, 아동들은 대체로 담임교사가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지각하고 있고, 학교생활에도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학생의 교사에 대한 지각 및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사태도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 간의 상관이 높았다. 셋째,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학생의 교사에 대한 지각은 모두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예측변인임이 밝혀졌다. 특히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아동의 교사에 대한 지각이 투입된 후에도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밝힌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임으로써 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아동교육의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도 모색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Study results have frequently reported that children`s perceptions of teachers` attitudes have an influence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However, these studies do not examine how teachers` job satisfaction affects teachers` attitudes, and how it is thereby a factor having an influence on children and educational outcomes. This study examines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hildren`s perception of teachers affect children`s school adjustment.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 50 homeroom teachers in charge of 4~6 graders from 3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their 1,082 children.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reveal the effect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hildren`s perception of teachers o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oth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hildren`s perception of teacher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predi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teachers` job satisfaction appeared as a significant variable after controlling a common part with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increas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ensure teachers` job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