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을 위한 건축재료 웹 사이트 비교 분석

        하숙녕 ( Ha¸ Sookny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들어 뉴트로, 레트로와 같이 옛날의 과거를 그대로 재현하거나 새롭게 재해석하는 공간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공간을 디자인하는데 있어서 과거에 사용했던 재료를 재사용하면서 감성을 더해 새로운 가치를 부여한 공간으로 재탄생 시킴으로써 현 시대의 대표적인 디자인 트렌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을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재료를 재사용함에 있어서 체계적인 재료의 정보와 빠른 공수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오늘날, 4차 산업혁명시대에 직면하면서 모든 것이 연결되고 보다 지능적인 사회의 중심이 되면서 웹상의 참여와 공유, 개방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맞춤형 웹의 시대가 도래하면서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시스템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료 재사용에 대한 웹 정보는 아직 체계적으로 구축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축재료들 중 재사용을 취급하는 국내외 기업들의 웹 사이트의 현황을 비교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을 위한 재료 웹 사이트 관련 국내외 이론을 고찰하고 웹 동향 등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실행되고 있는 홈페이지들의 구체적인 항목들과 함께 특징을 파악하여 비교 분석해보고자 한다. 특히 국외의 경우, 재료 재사용에 있어서 앞장서고 있는 네덜란드 건축디자인회사인 슈퍼유즈(Superuse)에서 개발한 하비스트맵의 검색항목들을 중심으로 특징을 살펴보고 국내의 홈페이지와 비교분석한다. 분석방법은 각 가업별 웹상에서 확인가능한 콘텐츠의 유무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내용으로는 취급하는 폐자재 종류, 규격, 가격, 현장적용 사례이미지, 온라인주문 등이다. (결과) 국내외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재료확보 및 조달방법의 개선필요,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재료들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웹 개발필요, 유통과정의 시스템화 개선필요, 온·오프라인상의 재료 플랫폼 마련 등 개발이 필요하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재료를 조달하고 있는 국내기업의 웹사이트 9곳을 조사한 결과, 취급하고 있는 재료들이 다양하지 못하고 제한되어 있으며, 홈페이지 상 상세한 내용들은 찾기 어려웠다. 또한 주문방법이 대부분 전화주문이었으며, 공수방법은 직접수거 및 배송가눙으로 표기되어 있다. 반면, 선진사례의 경우, 온라인 상의 맵을 통해 다양한 재료들을 한눈에 볼 수 있었으며, 실제로 적용된 프로젝트들을 공유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이해를 높였다. 특히, 공수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필요한 재료를 가장 근접한 거리에서 주문하고 공급받을 수 있도록 알려줌으로써 운송시에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결론) 지속가능한 공간환경을 위한 재사용 재료의 지속적인 공급을 위해 온라인상의 정보모델 개발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체계적인 웹페이지 구성으로 인해 누구나 쉽게 주문하고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 시대가 요구하는 디자인을 더욱더 활성화시킬 수 있은 방안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recent years, there are an increasing number of spaces that reproduce the past as they were, or reinterpret it like Newtro or Retro. In designing a space, the reuse of materials used in the past has established itself as a representative design trend of contemporary times by adding sensitivity and recreating a space with new values. However, in order to design such a space, above all, systematic material information and fast transport methods are needed in reusing materials. (Metho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and compare specific items and characteristics of currently running material websites by reviewing domestic and overseas theories and examining web trends for sustainable spatial desig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overseas countr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rvest map developed by Superuse, a Dutch architecture studio leading the way in the reuse of materials, were examined and compared with the domestic website. In the analysis,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ntents that could be checked on the web by each company was investigated, and the contents included the types of waste materials handled, specifications, prices, images of field applications, and online orders.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trends, there was a need to improve material acquisition and procurement methods, to develop a web to see various types and sizes of materials at a glance, to improve a distribution process system, and to develop a material platform on- and off-line. As a result of a survey of nine websites of domestic companies that were procuring materials, the materials handled were limited and not diverse, and it was difficult to fin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website. In addition, most of the ordering methods were phone orders, and the transport was marked as direct collection and deliver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dvanced case, various materials could be seen at a glance through an online map, and the consumers' understanding was raised by sharing the projects that were actually applied. In particular, in transport, there was an advantage of saving energy during transportation by notifying users to order and receive the necessary materials from the nearest distance. (Conclusions) The development of an online information model is indispensable for the continuous supply of reused materials for a sustainable spatial environ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that can further activate the design required by the contemporary times that will allow anyone to easily order and receive supply through a systematic web page configuration.

      • KCI등재

        PBL 수업모델을 적용한 상업공간디자인 교육 사례 연구

        하숙녕 ( Ha Sookny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4차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고등교육기관의 교육정책은 창의·융복합적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시스템을 도입하는것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이러한 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방식 중 PBL(Project Based Learning) 수업모델은 다양한 경험과 실용적인 학문을 습득하게 하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함양시키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사회에서 실제로 경험하게 되는 문제(프로젝트)를 설정하여 프로젝트를 직접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현장(지역사회)에서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과정을 상업공간디자인 수업과 연계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적용된 PBL 수업모델은 학습자들이 충분히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맥락성, 개방성, 실제성을 가진 문제를 교수자가 직접 개발하여 제시하고 수업에서 현장에 있는 실무자들이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에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문제를 활용하는 유형으로 가장 현장과 긴밀하게 연계되는 형태의 문제유형1)을 적용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2020년 9월 23일부터 12월 20일 간 진행된 상업공간디자인 전공실습교과목에 PBL 수업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총 20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PBL 수업모델의 개념과 특징을 파악한다. 둘째, 주차별 수업의 세부내용과 단계별 진행방법을 제시한다. 셋째, 프로젝트 최종결과물의 발표를 통해 PBL 수업모델의 적용가능성과 시사점을 도출한다. (결과) PBL 수업모델을 적용한 상업공간디자인의 수업진행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감을 전혀 모르던 학생들은 주변 상인들과의 사전 인터뷰조사와 주변환경을 답사함으로써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사이트선정을 하는데 있어서 수월하게 진행되었다. 둘째, 개별프로젝트가 아닌 팀프로젝트로 진행했기 때문에 서로의 비전을 공유할 수 있었고, 상호작용하는 협업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셋째, 본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단계별로 도입된 SM-PBL수업모델은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찾아서 해결해나가는 과정을 통해 서로의 부족함을 보완하고, 서로 소통하는 자세를 보임으로써 학생들의 다양한 관점을 공유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결론) 본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은 각자의 아이디어를 서로 공유하면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었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비판적인 사고와 비전을 서로 공유하면서 완성도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단, 본 프로젝트는 현장(지역사회)에서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담은것으로 결과물에 대하여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할 수 있다면 그 효과는 배가될수 있을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체계적이고 구체화된 PBL 모형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education policies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been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systems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Among the educational methods for developing such an ability,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recognized as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cultivat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o acquire various experiences and do practical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apply the process of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discover and solve problems in the field in connection with a commercial space design class by setting up a problem that students will actually experience in society and giving them the opportunity to solve it on their own. The applied PBL utilizes the problem type most closely related to the field in which a teacher develops and presents problems with contextuality, openness, and authenticity to motivate learners. (Method) The PBL model was applied to a major subject practice of commercial space design which was held from September 23rd to December 20th, 2020 with a total of 20 student participant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PBL model, as well as the overall curriculum outline and progress of commercial space design are identified. Second, the weekly class details and step-by-step method of commercial space design applied with the PBL model are presented. Third, the applicability and implications of the PBL model are derived through the presentation of the final outcome of the project. (Results) The results of the class applied with the PBL model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had no field sense, were able to accurately identify the problem and select a site by conducting pre-interviews with neighboring merchants and explor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econd, as it was carried out as a team project rather than an individual project, they were able to share each other's vision and have an opportunity for interactive collaboration. Third, in the SM-PBL model that was introduced step by step in conducting this project class, students shared various viewpoints and tried to solve the problem with new ideas through the process of finding and solving problems on their own, thereby complementing each other's shortcomings, and showing an attitude of communication. (Conclusions) Through the project, students were able to show their creativity while sharing their ideas, critical thinking, and vision with each other to improve the degree of perfection to solve the problem. However, it is judged that the effect may be doubled if a plan that can actually be used for the result is formulated, as the project only contains the process of discovering and solving the problem in the field. This suggests the need to develop a systematic and detailed PBL model.

      • KCI등재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의 재사용 조명디자인 개발 연구

        하숙녕 ( Sooknyung H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본 연구는 사람들이 많이 왕래하는 재래시장과 상점이 만나는 먹자골목에 위치한 조명이라는 점에서 친숙하게 느껴져야 하는 가로등임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조명은 매우 현란한 조도와 산만한 조합으로 계획되어 있다. 따라서 현 조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함으로써 수년 간 이 지역, 이 시장을 방문해 온 사람들에게 보다 편안하고 친밀감 있는 골목이 될 수 있도록 재계획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설치된 낡은 조명환경을 개선하고 시장 활력을 제고하기 위해 조명의 조도를 정비하고, 재계획하여 새로운 디자인으로 개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한 디자인 방법으로는 우선 원재료를 다시 사용하여 개발된 국내·외 조명사례의 사례들을 조사, 분석함에 있어 디자인의 방향을 설정하고, 나아가 본 조명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정비 및 주변 환경 정비 현황을 통해 재사용 디자인 콘셉트를 설정하고 전개함으로써 새로운 연출보안등으로 거듭나고자 한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물인 LED 연출보안등은 기존 보안등의 별, 달 연출조명을 그대로 사용하되 콘트롤상에 문제가 있었던 부분을 보완하였고, 추가 제작 및 재조합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조명으로 재탄생되었다. 이를 위해 기존 19개 폴에 사용되었던 별, 달의 LED조명을 모두 수거하여 세척 후, 다시 조립하고 재배치하였으며, 기존의 폴은 주변의 색과 어울리는 색 계열로 다시 도장하고, 별, 달 조명을 지탱해주는 철재 프레임 구조물은 추가로 제작하여 연장하였다. 그 결과로써 현란했던 조명의 색은 속도조절과 시간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색상의 변화를 준 디밍효과로 인해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통일성 있게 변하였으며, 주변과 자연스럽고 조화롭게 연출되었다. (결론)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시대에 사용이 끝난 제품도 폐기가 아닌 귀중한 자원이 된다는 것을 바탕으로 자원순환시스템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버려진 재료들이 자원화로 다시 돌아가는 것이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매우 유리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페자원들의 해체, 수집, 운반 등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실천할 수 있는 재료들의 순환시스템 개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street lamps have been planned based on flashy lighting with extreme high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visual clutter causing the distraction even in the food alleys, the intersection of conventional marketplace and stores bustling overpopulating with people, although the lighting would need to be felt familiar to the passers-by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current problems of current lighting and revamp it so as to redesign the lighting in such a way that it can create the alleyways that the visitors, who had visited this marketplace in this region over the last few years, could find familiar and comfortable with. For that, it would be meaningful to improve currently old lighting environment, adjust the illumination and revitalize the market, thus re-planning them into novel designs. (Method) For the design methods necessary in this study, we will set the basic course of design fo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practical cases of lighting design refurbishment in Korea and abroad which involved the reuse of raw materials, and furthermore, set and apply the design concept of the reuse design by looking into current status of design revamp and environment refurbishment for this lighting design, pursuing the new lighting based on presentation and security lamps. (Results) The LED presentation and security lamps, the results of this study, used the presentation lighting that featured the shape of stars and moon on the existing security lamps, but made improvement by eliminating the control problem. They were transformed into new lighting through the process of recombination. For that, we collected all LED lamps creating the shape of stars and moon, which were used on existing 19 poles. After washing these those LED lamps, we reassembled and rearranged them, applied the paint to existing poles in colors blending harmoniously with those of the surrounding area, and additionally made the steel frame structures supporting the star and moon lighting, and then connected them together. It was achieved by the dimming effect causing natural variation of color in a way that suited the passage of time, along with the adjustment of speed (Conclusions) It would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create the resource recycling system constantly based on the realization that the products at the end of life can be also turned into valuable resources, rather than being discarded, even in this era of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Converting the discarded materials into resources would bring significant benefits to the society and economy. Thus,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is for exploring the measures necessary to develop the recycling system of materials which would enable constant management of waste resources through all process of dismantling, collection, transportation, etc.

      • KCI등재

        지속가능한 공간을 위한 재사용 디자인 현황 분석

        하숙녕 ( Sooknyung H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2

        (연구배경 및 목적)지속가능한 개발 개념을 바탕으로 한‘제로 웨이스트’제도 도입과 높은 관심과 달리 현재 우리나라는 산업화에 따른 오랫동안 버려진 공간을 그대로 방치하고 그 속에서 폐기 처리되는 재료들이 산재하고 있다. 재사용 디자인은 재료들을 두 번 이상 그대로 활용하거나 다른 용도에 맞게 재가공하여 새롭게 재탄생시키는 디자인으로 오래되고 버려진 유용한 요소들을 재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는데 기여 한다. 즉, 재사용 재료는 원재료에 대하여 간단한 물리적 가공을 통해 재료를 다시 사용하는 것, 원재료에 대하여 조립, 해체함으로써 재료를 다시 사용하는 것, 원재료 자체가 훼손이 되지 않고 썩지 않은 재료로 세대를 교체하여 영구히 사용하는 것 그리고 원재료의 부품이나 일부분 또는 제품 전체를 제품의 수명이 다한 후에서도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개발될 재사용 콘텐츠들의 보급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조사 단계로써 재사용을 활용한 국내.외 공간사례들의 현황 조사를 통해 재료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여 필요한 카테고리의 항목들을 추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는‘재사용적’개념의 재료와 공간으로 그 범위를 한정한다. 조사대상은 국내·외 재사용 사례 20곳이며, 조사대상 별 공간의 유형 및 디자인 특성을 파악하고 어떠한 재사용재료를 활용하였는지 파악한다. 자료는 2015년 5월 1일부터 12월 31일 동안 현장답사, 문헌, 웹사이트를 통해 발췌하였다. (결과)국내·외 재사용 재료가 활용된 공간유형 분석결과, 국내의 경우, 복합문화공간, 카페, 휴식공간, 공원 등에서 재사용 재료를 활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카페가 다른 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사용 재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국외의 경우, 주거공간, 문화예술공간, 놀이공간, 공원, 상업공간 등에서 재사용 재료를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 공간에 사용된 재사용 재료는 폐건물, 폐콘테이너, 폐금속재, 폐목재, 폐플라스틱 파렛트, 폐목재 파렛트, 폐금속소품 등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국내의경우, 대부분 카페를 중심으로 재사용 재료를 적용하고 있었고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국외의 경우, 폐쇄된 공장, 역사적 가치가 남아있는 건물을 그대로 재사용하는 사례가 많이 있으며 일시적인 재사용 공간이 아닌 지속가능한공간으로 개발함으로써 경제적 가치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경우, 일시적으로 특정 지역에서만 일어나는 사회적 현상으로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다른 지역 또는 다른 공간 유형으로도 발전 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분석한 재사용 재료현 황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재사용 재료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그리고 요구사항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and Purpose)Korea is confronted with problem of waste materials being discarded in the idled space that is left unattended for a prolonged period in the wake of industrialization of nation despite introduction of‘Zero Waste’ system and heightened interest in the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underlying no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Reuse design is a concept of using materials more than twice for their original purpose in the original form or reprocessing them for other purposes so as to re-create them, and contributes to conservation of energy and resources because useful elements can be recovered from old and discarded materials for use in their original form without need for reprocessing. In other words, utilization of reused materials means reuse of materials through simple physical processing of raw materials; reuse of materials through assembly and dismantling of raw materials; use of materials permanently through generation exchange of undamaged and undecomposed raw materials; and auxiliary use of parts of raw materials or entire or products in whole or in part even after the end of life.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lassified materials systematically and identified the items of necessary categories through investigation into domestic and overseas cases involving utilization of reused materials as a basic investigation aiming to spur supply and promotion of reused contents to be developed in the period ahead. (Method)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materials and space corresponding to the concept of‘reuse’. In this study, 20 domestic and overseas cases involving utilization of reused materials were investigated. We examined the type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each space being investigated and looked into the type of reused materials that were utilized. The data were obtained from field trip, literatures, and websites from May 1, 2015 to December 31 of same year. (Results)The study analyzed the type of space where reused materials were utilized i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reused materials were utilized in complex cultural space, cafe, leisure space, park, etc., in Korea. Particularly, reused materials were utilized in cafe relatively more commonly than other space. In overseas cases, reused materials were utilized in residential space, Culture and art complex, amusement space, park, commercial space, etc. In addition, waste space, waste container, waste mwtal, waste wood, waste plastic pallet, waste articles were utilized for floor, wall, and ceiling among waste materials reused for interior components. Among others, waste container and waste wood were used commonly for floor, wall, and ceiling altogether. (Conclusions)In Korea, reused materials were found to be used primarily in cafe and their utilization increased in specific regions. In overseas countries, shutdown factories and historically significant buildings were often reused in their original form and were developed into sustainable space, rather than being reused temporarily, thereby acquiring economic value. In Korea, it would be therefore necessary to expand the reuse into other regions or other spatial types, so that the reuse does not remain a social phenomenon limited to specific regions and occurring only temporarily. For that, succeeding studies would need to investigate into perception of users towards reused materials, extent of their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based on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on current utilization of reused materials.

      • KCI등재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을 위한 재사용 재료 활용에 대한 사용자 인식 및 선호 조사 연구

        하숙녕 ( Sooknyung Ha ),이준민 ( Joonmin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지속가능한 공간 디자인을 위해 기존에 사용했던 재료들을 공간에 다시 적용하는 개념의 Reuse는 두 번이상 같은 소재를 다시 사용한다는 환경용어로써 기존의 요소가 같은 기능을 위해 그대로 다시 사용되는 개념과 다른 기능에 사용되기 위해 새롭게 재탄생되는 요소의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 디자인을 전략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미흡한 현 시점에서 지속가능한 공간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사용 재료에 대한 인식을 제고함으로써 재사용 재료가 지속적이고 동조 범위가 넓은 파급력 있는 디자인 전략으로 충분하다는 장점을 부각시켜 공간 디자인 활용에 지속가능성의 충분요소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조사를 위해서 문헌분석을 통해 추출한 재사용재료 사용에 대한 내용을 참고하여 조사 및 분석항목을 크게 4부분으로 분류하였으며, 예비조사를 거쳐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300명을 대상으로 모바일과 웹을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조사대상의 일반사항에 대한 기술통계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재사용재료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선호도, 경험도에 대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교차분석, 분산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조사결과. 조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인천에 거주하는 40대가 많았으며 응답자의 48%가 재사용 재료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었고, 재사용 재료에 대한 정보 수집 방법으로는 응답자의 72.3%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간 디자인을 계획할때 재사용 재료 사용 여부에 대하여 70.3%의 응답자가 사용할 의사가 있음을 적극적으로 나타냈으며, 재사용 재료에 대한 선호도 역시 응답자의 56.0%가 응답함으로써 재사용 재료에 대한 긍정적인 관심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자는 재사용재료를 적용한 공간을 경험해 본 경우는 약 60%가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이 경험한 공간 유형으로는 상업공간, 문화/전시공간, 실외공간, 주거공간, 기타 순이었으며 이는 대체로 카페, 레스토랑과 같은 상업공간에 주로 재사용 재료가 활용 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재사용 재료가 활용된 공간에 대한 만족도에 대하여 응답자의 73.0%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95.3%의 응답자는 다시 방문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을 위해서는 재사용 재료의 정보 제공 방법 및 재사용 재료를 활용할 수 있는 공간 디자인의 다양성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특히 재사용 재료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가 높아지고 이에 따른 필요도 및 실제 활용 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며 향후 지속가능한 공간디자인을 위해서는 재사용 재료의 체계적인 공급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재사용 재료 콘텐츠를 개발하고 실현할 수 있는 방법과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cept of “reuse,” which means reapplying to a space materials used already for the same or some other purpose and thus rendering the space design sustainable is an environmental term implying that same material is used more than once. It encompasses the concept that existing elements are used in their original forms for the same functions and the concept that the materials are re-created for use in other function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focused on the inclusion of reused materials and applying them in design strategically. Thus, there is a need to highlight the advantages of reused materials that can serve an adequate design strategy characterized by high constancy and ripple effect with wide-ranging synchronicity based on improvement of perception towards reused materials to promote sustainable space. That is, an approach needs to be taken to highlight reused materials as a sufficient element of sustainability for utilization of spatial design. (Method) For the investigation, the study classified the items of investigation and analyses into four categories, referring to the details related to utilization of reused materials based on literature study. Th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an online survey was completed by 300 ordinary people residing in Seoul and the capital region via mobile phones and websit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respondents were in their 40s, residing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and that 48% of respondents were aware of reusable materials. For the method of collecting the information on reused materials, 72.3%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resorted to the Internet to gather the information. For the question about whether they utilized reused materials when planning their spatial design, 70.3% of respondents indicated actively that they were willing to utilize the reused materials. For the preference of reused materials, 56.0% of respondents gave their answers, suggesting that there was a positive interest in reused materials. About 60% of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have experienced a space where reused materials were applied. The types of space that they experienced most often were (in order of frequency) commercial space, culture/exhibition space, outdoor space, residential space, and others, which showed that reused materials were adopted mainly in commercial space such as caf?s and restaurants. Regarding the extent of satisfaction with the space applying the reused materials, 73.0% of the respondents indicated that they were satisfied while 95.3% of the respondents showed the willingness to visit such space again. (Conclusions) For sustainable spatial areas, it would be necessary to explore not only the method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reused materials but also the diversity of spatial design, which enables utilization of reused materials. Methods and strategies can be presented for development and realization of contents created with reused materials as a measure for access from the angle of systematic supply of reused materials to render sustainable spatial design in the period amid heightened perception and preference towards reused materials and resultant prospect for a growing need for and utilization of reused materials.

      • KCI등재

        전통시장의 공간계획 및 연출에 관한 현황 연구

        하숙녕 ( Sooknyung H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5

        (연구배경 및 목적)지난 100여 년간에 걸친 근대화의 결과로 국내 전통시장은 디자인이 갖는 일상적인 문화적 가치가 심하게 훼손되었고, 부조화로 인해 주변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공간으로 표출되었다. 일상의 문화가 그대로 표현되고 드러나는 것이 디자인인데, 국내 전통시장의 경우 낙후된 시설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시장 환경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에게 외면을 당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가지원 육성사업으로 전통시장이 탈바꿈을 하고 있으며, 나아가 새로운 산업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방법으로 문화·디자인 분야에 대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마련, 대형마트 와의 경쟁력 강화, 지속적인 발전과 개선을 위한 전통시장 프로그램의 보완 및 평가, 시장 환경 개선을 위한 시설물 확충 등을 통 해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 항목 중 시장 환경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시설물들의 연출과 공간계획을 중심으로 국내외 사례 6곳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다양한 생활양식과 문화를 전달하는 전통 시장을 중심으로 공간의 구성과 연출방법을 통해 디자인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국내·외 전통시장들의 공간계획, 천장디자인, 점포 및 시장입구 간판, 판매대, 상품진열방법, 조명 등을 중심으로 디자인적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디자인 현황과 문제점, 나아가 개선점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분석대상은 국내·외 전통시장 6곳이며, 국외사례는 문헌이나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자료를 중심으로, 국내사례는 2015년 4 월부터 8월 기간 동안 직접 방문과 온라인상의 검색을 통해 발췌하였다. 특히, 조사된 국내사례들 대부분은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살린 대표적인 시장들로써 국내의 경우 국가로부터 사업이 선정되어 일부 사업이 진행되었거나, 앞으로 진행계획 중에 있는 시장들로 선발하였다. (결과)분석결과, 국내사례 경우 모두 기하학적인 공간의 구조로 계획되었으며, 단조로운 색채계획과 개방되어 있지 않은 부스들이 많았다. 또한 한 곳에 많은 종류의 품목 전시로 인해 통일감을 주지 못했다. 또한 높은 천정이면서 대부분 돔 형식의 천창으로 계획되었다. 해외의 경우는 역사와 전통, 과거의 향수를 담아내는 디자인으로 차별화를 시도하였다. 도시 의 역사와 오랜 시장의 역사를 알리기 위한 디자인적 요소로는 오래된 건물과 간판, 물품 판매대. 지역색을 표현한 목재와 철재의 사용 등이 있었다. 공간의 계획에서는 기하학적인 구성의 수직적 그리드와 수평적 그리드, 원형, 그리고 구심형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공간을 계획하였다. 또한 제품보관방식, 제품판매대에 대한 정비와 청결한 실내 환경의 유지가 잘되고 있었다. (결론)시설 현대화 지원 사업을 실시한 시장들의 대부분이 전년대비 하루 평균 매출액은 상승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국, 다양한 생활양식과 문화를 전달하는 전통 시장 역시, 디자인과 문화적 측면을 충분히 살린 시설의 현대화에 의한 개선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Research Background & Purpose)Korea``s traditional markets seriously have lost their own everyday cultural values and not in harmony with surrounding spaces, due to modernization for the past 100 years. Everyday culture can be expressed in form of design as it is. However, people have turned away from Korea``s traditional markets due to their facilities that fall behind and market environments not in harmony. More recently, our traditional markets are much changing, being spurred by national nurturing projects, improving to cope up with new industrial environment. In order to revitalize our traditional markets, many ways are tried through effective culture/design programs, enhanced competitiveness over hypermarket, supplementation/evaluation of traditional market programs for ongoing development/improvement and extended facilities for better market environment. In this regard, the analysis was made in this study, on six domestic/overseas cases, especially in terms of display and spatial planning of facilities through which market environment can be seen at a glance.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spatial planning, ceiling design, store and market opening sign, display method and lighting were examined in domestic/overseas traditional markets from design perspectives, to further draw the current status of our designs, problems and ways for improvement, in order to look into design trends in terms of spatial structure and display method especially in traditional markets delivering various lifestyles and cultures, For the analysis, 6 domestic/overseas traditional markets were chosen, to extract data provided by literatures and web sites and through visits in February 2014 for domestic case studies, and to extract data through search and visit during from April through to August in 2015 for domestic case studies. In particular, most of domestic cases included representative markets known as local culture and history, of which national projects have been planned or completed. (Result)In the results of analysis, it was planned as geometric space structure in all domestic cases, and monotone colour planning and unopen booths found in many of them. They failed to give unified feelings due to the display of many items in one spot. In addition, most of them were structured with high and domed ceilings. From overseas cases, they contained designs with their history, tradition and nostalgia from the past, for differentiation. Such design elements include old buildings, signs, stands and wood/steel with local color expressed, in order to inform history of a city and that of a market. From the spatial planning, they planned various forms using geometric vertical/horizontal grid and circular/centripetal figure. In such spaces, the repair and the clean indoor environment of storage methods and selling stands were well maintained. (Conclusion)It was found that there was higher daily average sales amount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in most of markets with facilities modernization support project applied. In conclusion, it was also critical element to improve traditional market where various lifestyles and cultures are delivered by making good use of designs and cultural aspects through facilities moder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