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 동기의 요인 구조 및 성별과 선호 계열별 과학 동기 차이 분석

        하민수 ( Min Su Ha ),이준기 ( Jun Ki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2 중등교육연구 Vol.60 No.1

        효과적인 과학 수업 전략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과학 동기의 구조와 성차 에 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근거하여, 이 연구는 과학 동 기 요소 간의 구조를 확인하고 성별과 선호 계열 별로 과학 동기를 조사할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Glynn et al. (2011)이 제안한 직업 동기, 과학 점수 동 기, 자기 의지, 자아 효능감, 과학에 대한 내재 동기의 5가지 동기 요소를 10 학년 과정을 마친 학생 29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통계 분석에는 구 조방정식을 활용한 경로 분석, 이원 변량 분석, 상관관계, 단계입력 방식의 중 다 회귀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직업 동기와 과학 점수 동기와 같은 외부 동기 요소는 과학 학습에 대한 자기 의지, 자아 효능감을 경로하여 과 학에 대한 본질적인 흥미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직업 동기는 다른 과학 동 기 요소들에 직·간접적인 큰 영향을 주고 있었다. 직업 동기와 과학의 본질 적 동기에서 성별과 선호 계열별에 따른 복합 효과가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 우 계열에 구분 없이 직업 동기와 자아 효능감이 과학의 본질적 동기에 가장 높은 영향력을 주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동기의 형성을 위한 수업 전략에서 과학 관련 직업에 대한 소개에 관한 부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또 한 과학 동기 연구에서 성차를 논의하기 위해서는 성별과 함께 선호 계열을 조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science motivation components and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motivation in order to develop an effective science teaching strategy. For this necessi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science motivation components and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motivation. Two hundred ninety-seven tenth grade students in a coeducational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e employed the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Ⅱ developed by Glynn et al. (2011). This questionnaire consists of five science motivation components: Intrinsic motivation, career motivation, self-determination, self-efficacy, and grade motivation. We also employed path analysis, two-way ANOVA, bivariate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regression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Our findings illustrate that students` career motivation influences grade motivation, self-determination, self-efficacy, and intrinsic motivat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In addition,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have mediating or moderating effects between extrinsic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results illustrate that there are interaction effects of gender and students` preferred track on career motiv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the level of career motivation and self-efficacy strongly predicts female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cience teaching should emphasize science-related jobs in order for students to develop career motivation. Moreover, science teaching should introduce female-friendly jobs in science in order to narrow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motiv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종교성, 진화 흥미, 진화 개념, 진화 수용의 수준과 구조 비교

        하민수 ( Min Su Ha ),차희영 ( Hee Young Cha ),구슬애 ( Seu Lae Ku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10

        이 연구 목적은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화 개념과 관련된 변인-종교성, 진화 흥미, 진화 개 념, 진화 수용-에 관한 수준과 구조적 차이를 비교 분 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 대학생 1,015 학생이 참여하였으며 그 중 무작위로 추출된 516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한국 의 대학생들은 미국의 대학생들에 비하여 낮은 종교 성을 보이는 반면 진화 흥미 역시 낮았다. 경로 분석 결과 종교성이 진화 수용에 미치는 인과관계에서 진화 개념과 진화 흥미가 매개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 대학생들은 미국 대학생들에 비하여 진화 흥미가 종 교성, 진화 수용, 진화 개념과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 의 관련성을 보였다. 한국의 생물 전공자들의 진화 수 용은 미국 생물 전공자들의 비하여 진화 개념에 대한 영향력이 적었고, 한국 생물 비전공자들의 진화 수용 은 미국 생물 비전공자들에 비하여 종교성에 더 큰 영 향을 받았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 학생들을 위한 진 화 교육이 진화론에 대한 흥미를 더 높이며, 진화론을 수용함에 있어 개인의 종교적 신념에 근거하지 않고 과학적 이론으로 수용할 수 있어야 함을 보여준다. 또 한 우리나라 대학생들이 과학적 판단에 의하여 과학 이론을 수용하는 태도를 함양시킬 수 있는 과학교육 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United States college students regarding their degree of religiosity, interest in,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evolution, and the effects of their interaction on these variables. A total of one thousand and fifteen Korean and US biology majors and non-majors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 sub sample of 516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for statistical tests. The results illustrated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harbored significantly lower degrees of religiosity and interest in evolution but significantly higher degrees of knowledge and acceptance of evolution than US college students. The path analysis uncovered that the knowledge of and interest in evolution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religiosity and acceptance of evolution. Korean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evolution was less correlated to other variables than US college students` interest. The acceptance of evolution was less predicted by knowledge of evolution in the Korean biology major sample than in the US biology major sample. The acceptance of evolution was predicted more by religiosity in the Korean non-major sample than in US non-major sample.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Korean science curriculum for evolution needs to enhance the degree of students` interest in evolution. In addition, future Korean science curriculum needs an instructional strategy in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make scientific decisions, such as the acceptance of evolution, without interference from their personal religious belief.

      • KCI등재

        생태개념과 유전개념에 따른 예비과학교사의 진화개념 발달 탐색

        하민수 ( Min Su Ha ) 韓國生物敎育學會 2016 생물교육 Vol.44 No.2

        Natural selection is the central principle of evolution and composed of many different biological concepts such as genetics and ecology. This study explored pre-service biology and non-biology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ecological and genetic components of natural selection. This study used the Conceptual Inventory of Natural Selection (CINS) that has been widely used in evolution education research and recruited more than 700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cluding biology majors and non-biology majors. The two dimensional-dichotomous Rasch analysis to evaluate the dimensionality and the validity of items. The finding illustrated that both biology and non-biology pre-service teachers developed the understanding of natural selection significantly across academic year but its effect size was smaller in ecology than genetics. Our participants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conceptual development in ecological concepts. The natural selection concept is multi-dimensional concepts including ecology and genetics. The special teacher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signed for the balanced understanding of natural selection concept.

      • KCI등재

        예비생물교사와 현직생물교사의 진화 개념 비교 분석

        하민수 ( Min Su Ha ) 韓國生物敎育學會 2016 생물교육 Vol.44 No.2

        Evolution theory has played a crucial role in unifying biological concepts and leading to reach in biological disciplines as a fundamental principle. The teaching of evolution, hence, should be emphasized so biology teachers should have the scientific and sound understanding of evolution. This study focuses on two research questions: (1) if pre- and in-service biology teachers maintain their evolution conceptions in accordance with items and (2) if they accept both scientific concept (natural selection) and misconceptions (teleology and use/disuse). Participants included 46 preservice and 32 in-service biology teachers. A questionnaire includes six items (cheetah, mole, polar fox, rice insect, human brain, and rose) in which three explanations for evolutionary phenomena (teleology, use/disuse, and natural selection) are. Each option utilizes six steps Thurstone scale regarding intelligibility and plausibility of the explan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both pre- and in-service biology teachers showed different level of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three explanations according to six items. Pre-biology teachers accepted all three explanations as a scientific explanation in 1.83 items(out of 6 items) and in-service biology teachers accepted all three explanation as a scientific explanations in 1.97.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e need for improvement of biology teachers’ expertise. This study suggests a teaching evolution program for biology teachers which could be designed to utilize various evolutionary examples and treat not only scientific knowledge but also teachers’ misconceptions.

      • KCI등재

        중학생 대상의 광합성에 관한 선택형 평가 방식과 개방형 평가 방식에서 나타난 자아 효능감, 확신성, 지식의 관련성 분석

        하민수 ( Min Su Ha ),이준기 ( Jun Ki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3

        선택형 방식과 개방형 방식의 평가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문제 해결에 대한 자아 효능감, 지식에 대한 확신성의 심리적 요인은 차이는 평가 방법을 선택하는데 있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과학 지식의 평가 방법 중 선택형 방식과 개방형 방식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자아 효능감, 확신성, 지식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경기 소재 여자 중학교 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절반의 집단은 선택형을 나머지는 개방형 평가를 시행하고 각 문항별로 제시된 자아 효능감과 확신성 척도에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자아 효능감과 확신성은 선택형에 비하여 개방형이 더 낮았다. 선택형 평가에서 광합성 지식과 자아 효능감, 확신성의 상관관계는 개방형에 비하여 낮았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제언하면, 학생들의 과학 문제 해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개방형에 노출되는 횟수를 증가시켜 심리적 장벽을 낮추는 방법이 요구된다. Exploring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factors relating to the photosynthesis knowledge such as self-efficacy and the degree of certainty provides with important information on selecting an assessment forma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the degree of certainty, and knowledge of photosynthesis in multiple-choice and open-response assessments. Two-hundred-ninety-one students in women middle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split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given multiple-choice assessment and another group was given open-responses assessment. Both groups responded 5-point Likert scale for self-efficacy and the degree of certainty of each ques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had lower self-efficacy and the degree of certainty of knowledge in open-response format than in multiple-choice format. The correlations among the knowledge of photosynthesis, self-efficacy, and the degree of certainty were lower in multiple-choice format than in open-responses format. This study suggested that students be exposed to open-responses format and have opportunities to reduce the psychological pressure of open-responses assessments.

      • KCI등재

        생물 예비교사들의 진화 이론의 실용성에 관한 인식

        하민수 ( Min Su Ha ),이준기 ( Jun Ki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1 No.8

        The understanding of real-world applic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such as the evolutionary theory has been emphasized in science curriculum. Despite this, many students and biology educators misunderstand the use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evolution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ables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f practical application of evolution. Methodologically, we employed large-scale survey that examined three independent variables (major, academic year, and religion) and five dependent variables (understanding of practical application of evolution, knowledge of, interest in, and acceptance of evolution, and religiosity). Two hundred and thirty three biology pre-service teachers and 405 non-biology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biology teacher education program does not help in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evolution. Rather, the understanding of practical application of evolution was associated with their religion. In addi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evolution was associated with the acceptance of and interest in evol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form the development of new biology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evolution theory. We also suggest further areas of research for other scientific concepts that could be used to gaug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scientific knowledge.

      • KCI등재

        일반고 학생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한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과학 동기 수준 및 구조 분석

        하민수 ( Min Su Ha ),김미영 ( Mi Young Kim ),박경화 ( Kyung Hwa Park ),이준기 ( Jun Ki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5

        자연과학고는 자연과학과 관련된 직업 교육을 특성화한 고등학교이며 자연과학고 학생들은 높은 수준의 과학 동기가 요구된다. 이 연구는 자연과학고 학생들과 일반 고등학교의 학생들의 과학 동기의 수준과 구조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자연과학고 학생 193명, 일반고 학생들은 208명이 참여하였다.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직업적 관심, 학습 내용의 관련성 인식, 과학 점수 동기, 과학 수업의 필요성, 과학 수업에 대한 자기 의지, 자아 효능감, 과학 수업의 즐거움의 7개 변인의 수준과 구조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자연과학고 학생들은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하여 7개 동기 요소 모두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과학 점수 동기와 과학 수업의 즐거움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다. 7개 변인간 경로 분석의 결과는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하여 직업에 대한 관심이 수업에 대한 자기 의지에 대한 영향력이 더 높았으며, 과학 점수에 대한 동기가 수업의 대한 의지와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높았다.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자기 의지와 자아 효능감에 관련된 변인의 설명력은 일반 고등학교에 비하여 약 30%가 높았다. 이 결과는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과학 동기 구조는 일반 학생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명확하며, 직업에 대한 관심과 과학 점수 동기와 같은 외적 동기 요소에 큰 영향력이 있었다. The Natural Science High School is specialized in vocational education or training related to natural sciences such as biology or chemistry. Therefore,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re expected to possess a high level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level and structure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by comparing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One hundred ninety three students from a natural science high school and 208 from a general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of seven science motivation components: 1) career motivation; 2) science grade motivation; 3) understanding the relevance of scientific knowledge; 4) need for learning science; 5) self-determination; 6) self-efficacy; and 7) attitudes toward science class. We employed independent t-test, path analysis, bivariate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regression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Our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levels on all seven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 path analysis illustrated that career motivation and science grade motivation had relatively stronger influence on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in the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 sample than in the general high student sample. The explanatory powers of four independent variables (career motivation, science grade motivation, understanding the relevanc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need for learning science) predicting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were 30% higher in the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 sample than in the general science high student sampl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may be easier to change by extrinsic motivations such as career and science grade motiv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