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교과서 표현활동 영역 체제 분석

        추나영(NayoungChoo) 한국체육학회 2015 한국체육학회지 Vol.54 No.4

        본 연구는 차기 체육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체육 교과서 표현활동 영역의 체제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중학교 체육교과서 5종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내용체제와 형식체제로 나누어 준거기준에 따른 수정된 비교분석방법을 이용하였고, 분석 근거 선정에 있어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형식체제에 있어서 지면비율은 14.1-17.3%로 나타났다. 단원전개 및 구성에 있어서는 모든 교과서가 개념의 이해를 바탕으로 활동의 실천이 이어졌으며, 동기유발과 심화학습을 위해 그림과 추가적 구성 형태를 이용하였다. 둘째, 내용체제에 있어서 학습목표는 각 교과서마다 4-6개로 제시되었으며, 표현활동의 개념의 이해, 표현방법의 이해, 창작활동을 통한 개인 역량 강화, 작품 감상 등을 제시하고 있다. 학습내용은 심미표현에서는 미적 요소에 대한 개념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현대표현에서는 창작적 요소를 강조하였고, 전통표현에서는 문화적 이해를 통한 활동의 특징을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학습평가는 중단원별로 살펴보면 이론적인 측면에 대한 이해를 강조하였고, 소단원별로는 창작활동을 통한 태도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content analysis on expression activity section in the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of 2009 curriculum revision and provide a basis for future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5 different kinds of physical education textbook. The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were examin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previous studies conducted for selections of the analysis ba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extbooks devoted the space from 14.1 to 17.3%. In deployment and configuration of the section, each textbooks were used variety of method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for motivations and advanced learning. Second,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were presented 4-6 each text book including expression activity concepts, understanding expression methods, personal competence reinforcement through creative activity, and watching performances. Learning contents were to focus on the concepts of aesthetic component in the esthetical expression, to highlight creative component in the modern expression, to express characteristic dances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in the traditional expression. lastly, the middle assessments hight the understanding of each contents but small assessments focus on attitudes of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장의 유아체육교육기관에 대한 선택속성 연구

        추나영(NayoungChoo) 한국체육학회 2016 한국체육학회지 Vol.55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장이 유아체육교육기관을 선택함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과 만족하고 있는 순위를 제시하고, 중요도와 만족도 사이의 차이와 각 항목간의 상대적 중요도 및 만족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유아체육교육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아체육교육기관의 직접 계약 대상자인 유아교육기관장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편의표집법을 이용하여 부산시와 경남도 소재의 유아교육기관장 253명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SPSS 23.0 이용하여 유아체육교육기관 선택과 관련된 항목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중요도 순위를 제시하고, 대응표본 t-test, IPA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유아체육교육기관에 대한 선택속성 중 지도자 자질과 프로그램 관련 항목이 중요도와 만족도 순위의 우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 자질과 프로그램 항목은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료 할인 혜택과 유아교육기관의 주위평판은 만족도가 중요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IPA 매트릭스 분석결과 Ⅰ사분면은 유아체육교사의 전문성 등 8개의 항목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Ⅱ사분면에는 유아체육교사의 지도능력과 프로그램 계획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Ⅲ사분면에는 수업료의 적정성 등 6개의 항목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Ⅳ분면에는 모든 항목이 해당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rating factors of the importance and the satisfaction for selecting physical education institutes for preschoolers and to provide an implication of vitalizing physical education class for preschooler wit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using IPA analysis. 253 directors of educational institutes for preschooler have chosen through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430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structor qualification items and the program items ranked highly positions in physical education institute for preschooler . Second, the instructor qualification items, the program items, tuition items of discount benefit and institution image items of rep tation ha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Lastly, The quadrant Ⅰ is “the keep up the good work” part and includes 8 items such as the expertise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for preschooler. The quadrant Ⅱ is “the concentrate here” part and includes 2 items such as teaching ability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for preschooler. The quadrant Ⅲ is “the low priority” part and includes 6 items such as reasonable prices of tuitions.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체육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중학생의 태도: Q방법론을 중심으로

        추나영(NaYoungChoo)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6

        본 연구는 체육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중학생들의 태도유형과 유형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고,차이점과 유사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방법은 Q방법론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시 소재 중학교의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Q방법론의 소표본 이론에 근거하여 50명의 중학생을 선정하였다. 조사도구인 Q표본은 선행연구 분석 및 심층면담을 통해 진술문을 작성하였으며, 최초 65개의 진술문 중 문항의 의미가 중복된다고 판단되는 문항을 통합하고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38개의 진술문이 선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QUANL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들이 중요하게 지각하는 체육교사의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태도 유형은 총 3개의 유형으로 나타났다. 첫째, 관심추구형은 자신의 관심사에 대해 교사가 관심을 갖는 자세를 추구하는 유형이다. 둘째, 능력추구형은 교사가 수업내용을 잘 전달함으로써 내용이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재미추구형은수업에서 재미를 느낄 수 있게 만들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반면 중요하지 않은 커뮤니케이션 요인들로는 모든 유형이 외모와 관련된 항목을 지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verbaland nonverbal communication. For the purpose, this study employed Q methodology. Subjects consisted of 50 students whoattended the middle schools in Busan. Based on the literature and in-depth interviews, 65 items were developed. With 65items, face validity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which resulted in 38 items, used for main analysis. QUANL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and this study found three types of teachers ‘communication approaches that studentsconsidered important. Firstly, students sought to have teachers’ attentions that th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named attentionseeking type. Next, students considered that the effectiveness of delivering class materials was an important asset for teachersto have, named teaching skill seeking type. Lastly, students thought that teachers needed to be capable of making fun-orientedclass atmosphere, named fun seeking type. Most students noted that appearance-related communication types wereunimportant and needed to be discouraged.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체육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중학생의 중요도 순위 및 인식 차이

        추나영(NaYoungChoo)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4

        본 연구는 체육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중학생들의 중요도 인식과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와 울산시 소재 중학교의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유의표본추출법(purposed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4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으로 판단되는47명의 응답은 분석에서 제외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53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Ver 20.0을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그리고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은 언어적커뮤니케이션의 중요도 점수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는’체육수업 시주의사항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라고 답하였다.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신체언어’에 대한 중요도 점수가 하위요인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가장 중요한 항목은 ‘존중해주는 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학생과남학생은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중 ‘시간 및 공간언어’와 ‘외모 및 개인특성’에 대한 중요도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perceived importance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middle school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importance of based on sample characteristics as students gender. Date were collected from 400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and Ulsan by using purposive sampling method. 47 incompletecases were eliminated and a total of 353 questionnaire were included analysis using SPSS 20.0. Frequency analysis and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conduct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mean of verbal communication washigher than the importance mean of nonverbal communication. The highest point item wa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notesat physical education class’. Second,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f verbal communication, ‘physical appearances’ and’proxemics & chronemic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감정반응,서비스가치, 고객만족의 관계

        손민혁(MinHyukSon),추나영(NaYoungChoo),조송현(SongHyunCho)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5

        이 연구는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감정반응, 서비스가치, 고객만족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 소재 스포츠센터 회원을 모집단으로 하여 300명을 편의표본추출방법에 의해 표집한 후 최종적으로 282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타당도 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이상의 연구방법을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가운데 시각적 행동과 개인적 특성은 서비스가치, 감정반응,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고객의 감정반응은 서비스가치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고객이 인지한 서비스가치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of sports centre instructor and service value, emotional reactions, customer satisfac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members who are registered in the sports center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Province, 340 samples were sele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the 340 responses, the study excluded 58 invalid responses due to the unfinished, the improperly marked, and the biased; and, finally selected 282 for the analysis. By using the SPSS version 21.0 for collected data were performed including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 Cronbach’s alpha, and a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at the level of .05.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visual behaviour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 of sports centre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had significant effected on emotional reaction, service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emotional reaction of sports center members had significant effected on service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Lastly, service value of sports center members had significant effected on customer satisfaction.

      • KCI등재

        스키학교 강사의 역할모호성 및 역할갈등이 직무성과, 직무만족,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조송현(SongHyeonCho),추나영(NaYoungChoo),배지수(JiSuBae) 한국체육학회 2010 한국체육학회지 Vol.49 No.5

        본 연구는 스키리조트에서 운영하고 있는 스키학교 강사가 역할모호성과 역할갈등을 인지하는 경우 직무성과, 직무만족 그리고 고객지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스키리조트 중 스키학교를 직접 운영하면서 리프트가 5기 이상인 리조트의 스키학교 강사를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단순무선표집을 이용하여 6개의 리조트를 선정하였고, 편의표집을 이용하여 292명의 스키강사를 선정하였다. SPSS 12.0과 AMOS 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그리고 가설을 검증을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키학교 강사의 역할모호성은 직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스키학교 강사의 역할모호성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스키학교 강사의 역할갈등은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스키학교 강사의 역할갈등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스키학교 강사의 직무성과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여섯째, 스키학교 강사의 직무성과는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곱째, 스키학교 강사의 직무만족은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job perfomance, job satisfac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to ski-school instructors' role ambiguity and role conflict and offered a efficient management and a development plan of ski-school.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ski-school instructors who work in a resort had more than 5 ski lift and managed directly. 6 ski resorts were selected by simple random sampling, then 292 ski-school instructor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Data analysis were used by SPSS 12.0 and AMOS 5.0 programs and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ki-school instructor's role ambiguity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Second, ski-school instructor's role ambiguity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ski-school instructor's role conflict had not a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Forth, ski-school instructor's role conflict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Fifth, ski-school instructor's job perform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ixth, ski-school instructor's job performance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Lastly, ski-school instructor's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 KCI등재

        참여스포츠에서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척도의 개발

        조송현(SongHyunCho),추나영(NaYoungChoo),김선희(SunHeeKim) 한국체육학회 2013 한국체육학회지 Vol.52 No.6

        본 연구는 다양한 서비스산업에서 연구되어 온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척도를 분석하여 참여스포츠에서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척도를 새로이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김상희(2007), 김우룡, 장소원(2004), 홍기선(1995), 추나영, 조송현(2013), Crane & Crane(2010), Gabbott & Hogg(2001), Richmond et al. (2003)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분류 및 척도를 이용하여, 총 146문항을 수집하였다. 이를 전문가집단의 안면타당도 검토,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정,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참여스포츠에서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크게 시각적 행동, 비시각적 행동, 개인특성의 3개의 하위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시각적 행동은 신체언어 중 얼굴표정, 응시, 몸의 방향, 공손한 자세와 공간언어 요인 중 개인 간 적절한 공간확보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시각적 행동은 의사언어 중 다양한 톤의 사용, 절적한 말의 속도, 적절한 대회속도와 공간언어의 접촉, 그리고 시간언어 중 개인에 대한 할애시간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개인특성은 운동종목에 적합한 신체, 헤어스타일, 의상착용, 얼굴, 전반적 매력도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상과 같이 참여스포츠에서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척도는 3요인 각 6문항으로 분류되어, 최종적으로 1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andardize a synthetic scale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to a participant sports and its valid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nonverbal communication scale examined by Choo & Cho(2013), Hong(1995), KIm(2007), Kim & Jang(2004), Crane & Crane(2010), Gabbott & Hogg(2001), Richmond et al.(2003) were used. Throughout the research procedures including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multiple group factor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onverbal communication scale was consisted with three factor such as visual behavior, invisible behavior,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visual behavior was consisted with six item such as smiling face, proper eye contact, polite attitude, gaze, hand and arm movement, proper distance. Third, invisible behavior was consisted with six item such as intimate touch, contact frequency, devoting time, varied tone, speech speed, speech controling. For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was consisted with six item such as body, hair style, dress color, chic clothes, tidy face, attractive appearance. Finally,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hecked to confirm the adaptability and nonverbal communication scale was consisted with 3 factor, 18 i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