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성인학습자 인식 연구— 경기 A 지역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

        최현미 한국중국어교육학회 2023 중국어교육과연구 Vol.- No.41

        본고는 중국어 교육계가 직면하고 있는 학습자 감소의 문제의 해결 방안을 마련하고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며 교육계의 주요 학습자로 대두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중국어 평생교육으로 유인하고자 경기도 A 지역의 성인학습자 399명을 대상으로 희망하는 중국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비용, 시간 등의 개괄적 욕구와 중국어 평생교육 수업 선택 방해 요인, 대상자의 특성별로 도출된 중국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심층적 니즈 등을 욕구 조사의 주요 조사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설문조사(Survey) 방법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사회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탐색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결과로서 첫째,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학습 동기로 ‘미래 준비’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또한 향후 듣고 싶은 프로그램에서도 ‘취·창업’과 같은 ‘미래 준비’와 연관된 프로그램에 더 높은 선호도를 보인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둘째, ‘미래 준비’가 가장 높은 평생교육 학습 동기임에도 불구하고 조사 대상자들의 ‘취업 중국어’분야에 대한 선호도는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심층 분석을 통해 도출된 성별, 연령별로 타겟화된 수업 개설과 홍보 전략을 시행하는 방법을 고려하고 실전 취업을 목표로 하는 ‘면세점+의료코디네이터 중국어 수업’ 등의 패키지 수업 운영이나 수강자 혜택 등의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학습자 발굴의 전략 수립과 실행 등의 방법을 제안해 보았다. 셋째, 성인학습자층의 실제적인 욕구를 반영하여 평생교육 중국어 수업의 학습 내용을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국어 평생교육 수업 신청을 방해하는 요인 중 주요하게 제시된 ‘중국어 수업의 필요성 부족’, ‘시간 부족’ 그리고 ‘강사진의 신뢰 부족’이라는 세 가지 요인의 해결 방안은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written to provide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declining learners facing the Chinese language education world and to attract adult learners who are emerging as major learners in education as learners of new Chinese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we would like to first conduct a consumer-centered survey of adult learners' needs for lifelong Chinese education programs, and analyze the results of this in various ways.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399 adult learners in area A of Gyeonggi-do. The general needs of the type, cost, and time of the desired Chinese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e factors that hinder the selection of Chinese lifelong education classes, and the in-depth needs of Chinese lifelong education programs deriv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survey method and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ocial statistics program were us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s. Final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would like to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lifelong Chinese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양(讓)구문의 화용의미 고찰 및 한국학생들의 양(讓)구문 화용 의미 인식 조사 연구

        최현미 한국중국언어학회 2014 중국언어연구 Vol.0 No.52

        對漢語母語者來說,用“讓”來表示致使意義倂不覺得困難,不過, 對學習漢語的韓國學生來說,“讓字句”的掌握需要較長時間。然而,我們詳細觀察漢語母語者的言語行爲習慣會發現“讓字句”的使用頻率確實흔高,倂且我們從査看對外漢語敎材裏出現的課文過程中可以看出“讓字句”屬於核心句式。因此本文基於槪念語義學的理論,首先分析出漢語“讓字句”所投射的語義槪念對此進行分類,再次,針對韓國留學生講述了對這些各個“讓字句”所投射的語義槪念的認識程度以及其難點何在,爲此進行了問卷調査。最後基於上述結果,提出了使得韓國學生對“讓字句”正確使用的敎學重點以及行之有效的敎學建議。

      • KCI등재

        인지문법의 관점으로 살펴본 한국학생양태동사 누락 오류 양상과 교육적 제언

        최현미 한국중국언어학회 2015 중국언어연구 Vol.0 No.60

        我們据悉,在句子中借助"情態動詞(能愿動詞)"可以表達出說話者的主觀意義,猜測以及道義等的意義。而且,漢語學習者處在初級水平的時候,已經開始學習這些情態動詞的各種用法。不過,我們根英語的情態動詞的用法比較可以看出他的用法更加複雜。因此,雖然學生在初級階段時已經學過情態動詞的用法,但對這些用法掌握得不是痕理想。其實,對外漢語敎學界早就意識到了學生痕難掌握情態動詞的用法,于是已經做過痕多相關硏究。其硏究類型不外乎"情態動詞的偏誤分析","情態動詞敎學法硏究"以及"情態動詞的類型學硏究"等,本文也從情態動詞的偏誤分析的角度入手,爲了更加創新硏究結果,本文專注韓國學生情態動詞的"疑漏"偏誤現象,對此做了詳細的分析。本文所用的分析方法是語料庫分析。而且,本文爲了使得本硏究結果更容易接受韓國學生,借助認知語法理論,對韓國學生情態動詞疑漏偏誤現象做了認知上的解釋。通過分析過程,本文得出了韓國學生會點漏的情態動詞一共有7個,他們依次爲``能``, ``要``, ``會``, ``想``, ``可以``, ``應該`` 和希望(愿意)。本文對這些7個情態動詞的疑漏現象做了認知上的解釋。最后從對外漢語敎學的角度出發,提出了減少情態動詞疑漏現象的敎學建議。 As we know, through a modality verb we can express the subjective intention of the speaker such as, will; guessing; obligation duty and so on. In Chinese, modality verb``s usage is more complicate than English. But Chinese learner when they in beginning stage already start to study modality verb``s usage. Even though they reach to Advanced Level ,they can``t an exact Chinese modality verb``s usage. This paper for helping students`` Chinese modality verb``s usage, only focus on Korean students`` missing phenomenon of Chinese modality verb, and based on cognitive grammar found cause of the missing phenomenon of Chinese modality verbs. Also, this paper made a corpus analysis about Korean students`` missing phenomenon of Chinese modality verb. Through these analysis, we can get a Chinese modality verb which Korean students more easy to miss, is, ``要(yao)``, ``會(hui)``, ``想(xiang)``, ``可以(keyi)``, ``應該(yinggai)`` and ``希望(xiwang)``. In conclusion part of this paper, based on analysis result suggest educational tip which can decrease Korean students`` missing phenomenon of Chinese modality verb.

      • KCI등재

        중국어 고급 수준 한국 학생들의 “구호(句號)”,“두호(逗號)” 문장 부호 사용 실험 연구 -“두호(逗號)”의 문장 간 연결 기능 중심으로-

        최현미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중국언어연구 Vol.0 No.48

        目前對外漢語學界對于標点符號的銜接小句用法沒有充分認識到其敎學的重要性。因此, 本文首先以“句號”和“逗號”爲主要硏究范圍,針對韓國高級學生,通過小實驗,조出他們誤記兩種標点符號的難点何在,對此做出深層的分析,幷探討其原因,最后,基于實驗結果提出了行之有效的敎學建議。結果顯示,被試者對“句號”用法掌握得比較好,但,對于“逗號”用法,被試者對“偏正”語義類型的“無標記”用法最難掌握。對此,本文從外部因素以及內部因素的層面詳細探討了其原因,也提出了閱讀和協作相結合的敎學模式。

      • KCI등재

        從(종)“結構(결구)-功能(공능)-文化編寫原則(문화편사원칙)”看對外漢語敎材編寫的發展趨勢(간대외한어교재편사적발전추세)

        최현미 한국중국언어학회 2012 중국언어연구 Vol.0 No.43

        This paper is based on basic principles of publishing chinese textbook: “structure”, “function” and “culture”: and evaluated for the process of development about publishing chinese textbook in China. At the conclusion, suggested advanced principles of publishing chinese textbook especially to be suitable to korea student`s particular requirements.

      • KCI등재후보

        재한 중국 유학생의 전문대학 실용 기술 전공에 대한 수요조사 - 인문계열 및 스타일리스트 전공 중심으로 -

        최현미 중한연구학회 2023 중한연구학간 Vol.0 No.31

        본고는 2023년 현재 전체 외국인 유학생 가운데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중국 유학생에 특화된 전문대학의 관리 체계와 교육과정을 설계하여 중국 유학생 의 취업 목적을 실현하고 중국 유학생 교육 체계의 질적 제고를 위한 기초적 연구 토대 마련 을 위해 서베이(survey)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목적은 중국 유학생들이 전문대학에서 배 우고 싶은 실용 기술 전공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전문대학 진학을 고려하게 되는 주요 영 향 요인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중국 유학생들의 실제 수요를 반영한 구체적인 실용 기술 전공의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설계하고자 ‘스타일리스트 전공’을 선정하여 중국 유학 생의 수요를 반영한 전문대학 스타일리스트과 교육과정에 대해 논의해 보았다. 끝으로 전문 대학의 중국 유학생 입학 자원 유치를 위한 구체적 방안도 함께 제안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