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GLT2 저해제/metformin 고정용량복합제의 국내 사용 현황

        최하은,이지원,제남경,정경혜,Choi, Ha Eun,Lee, Ji Won,Je, Nam Kyung,Jeong, Kyeong Hye 한국임상약학회 2022 한국임상약학회지 Vol.32 No.1

        Background: The use of combination therapy and fixed-dose combination therapy is increasing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Sodium glucose cotransporter-2 inhibitor (SGLT2i) is a drug class used in combination with metformin. Methods: Type 2 diabetes patients on SGLT2i/metformin combination therapy were extracted from the 2019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National Patients Sample. On July 1, 2019, SGLT2i and metformin fixed-dose combination (SGLT2i/metformin FDC) and two-pill combination (TPC) groups were identified, and a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Results: Of total 2,992 patients, 1,077 (36%) were prescribed SGLT2i/metformin FDC and 1,915 (64%) were prescribed TPC. We found that the most common comorbidities were in the order of dyslipidemia, gastrointestinal disease, and hypertensi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use of SGLT2i/metformin FDC was lower than TPC in patients with diabetic neuropathy (OR=0.76, p=0.008). Clinic (OR=2.09, p<0.001) and general hospital (OR=1.40, p=0.019) showed higher tendency to prescribe SGLT2i/metformin FDC compared to tertiary hospital. The tendency of prescribing SGLT2i/metformin FDC was lower in Kyeonggi (OR=0.79, p=0.037), Gyeongsang (OR=0.77, p=0.025) and Chungcheong (OR=0.68, p=0.007) than Seoul. Conclusion: Factors related to the use of SGLT2i/metformin FDC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ere complication, medical institution and region. The tendency to prescribe SGLT2i/metformin FDC was relatively higher in clinics than in tertiary general hospitals and in Seoul than in other regions.

      • KCI등재

        일제의 판소리 권력화 과정과 그 영향에 대한 연구

        최하은(Ha eun Choi)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6 No.-

        이 논문은 구한말부터 일제강점기가 끝나는 시점까지 판소리 권력화를 통한 일제의 조선인 식민화 시도를 살펴본 것이다. 당시 일제는 조선인들에게 본인들의 권력이 빠르게 투영되길 원했으나 쉽지 않았었다. 이에 조선인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문화를 택했었고 문화 중에서도 많은 사람이 모여 즐길 수 있는 판소리를 택하였다. 일제의 권력이 투영된 판소리는 그 자체가 권력을 지니고 있었다고 느껴질 정도로 막강한 힘과 영향력을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이는 판소리 자체가 권력을 지닌 것이 아닌 일제의 권력 단체에 의해 판소리가 권력화의 형태로 변화한 것이다. 기존 학계에서는 일제강점기 판소리의 중요성을 다룬 연구 결과를 찾아 볼 수는 있으나, 이를 당시의 시대상 즉 권력과 엮지 않았으므로 그 중요성을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판소리 권력화 시도의 결과는 구한말의 권번(券番) 공연문화와 일제강점기 후기 기예증 제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논문에서는 당시 권번의 공연문화와 기예증에서 어떤 식으로 권력화를 도출하고자 하였는지, 이는 어떤 식으로 소리꾼과 청자에게 영향을 끼치게 되었는지 논하고자 한다. 일제가 판소리에 권력을 투영하여 식민화시키고자 했던 것은 조선인이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일제의 판소리 권력화를 통한 조선인 식민화 시도는 성공할 수 없었다. 이는 본문에서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으며, 판소리를 통한 조선인 식민화 시도가 아닌 판소리라는 공연문화 자체에 식민화를 시도한 것에 그쳤다고 논했다. This paper delves into Japan’s colonization of Joseon through the strategic use of Pansori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apan sought to assert power over the Joseon people swiftly, a task met with challenges. As a solution, Japan used Pansori, an accessible cultural art form that could be enjoyed by broad audiences. The Pansori performances that reflected Japanese authority wielded immense influence, almost embodying that authority. However, this influence wasn’t inherent to Pansori but a result of manipulation by the Japanese authorities into a tool of empowerment. While previous research has explored the significance of Pansori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often overlooked its historical connection to power dynamics. Consequently, understanding its significance within this context proves challenging. This paper explores the efforts to empower Pansori through the performance cul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s Gwonbeon and the post-Japanese colonial period’s Giyejeung system. It investigates the methods employed to achieve empowerment in these contexts and assesses their impact on both performers and audiences. Japan’s attempt to assert control over Pansori in order to colonize the Joseon people proved unsuccessful. This paper delves into this topic, revealing that the colonization effort was confined to the performance culture of Pansori rather than being an effective means of subjugation.

      • 전시 북한주민의 지위와 보호방안에 대한 고찰 -한반도 전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례를 중심으로 -

        손영현 ( Young Hyun Son ),최하은 ( Ha Eun Choi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4 국제법무 Vol.6 No.2

        북한이탈주민이 우리나라로 들어올 경우 우리나라 국적을 바로 취득한다. 이는 북한지역이 우리나라의 미 수복영토에 거주하고 있는 우리국민이기 때 문이다. 그와 함께 북한주민은 반국가적 불법단체의 구성원이다. 이러한 북한 주민의 이중적 지위는 북한주민 지원에 관한 여러 정책에서 찾아볼 수 었다. 이러한 북한주민의 이중적 지위에 관한 문제는 한반도에서 전시 상황이 발생 할 경우도 똑같이 생긴다. 한반도 전시 상황에서 북한지역 중 우리의 영향력 아래 놓인 지역의 주민은 수복된 우리 영토 내 국민으로서의 지위와 점령지 의 주민으로서 지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중적 지위는 북한주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북한지역에 대한 국제적 처리방향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북한주민이 점령지 주민으로서의 지위가 강조되게 되면, 한반도 무력충돌이 국제적 무력충돌로 간주되어 국제인도볍 전체의 적용을 받게 된다. 그와 함께 북한지역에서 대한민국 정부의 주권을 국제적으로 인정받기는 어려워진다. 즉, 북한지역을 별도 국가의 주권영역으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로 한반도 전 시 상황이 진행되면, 북한주민이 국제적 표준에 준하는 인권적 대우를 받게는 되겠지만 한반도의 통일과 같은 항구적 평화구축은 더욱 요원해질 수 있다. 반면 북한주민이 수복된 우리 영토 내 국민으로서의 지위가 강조되게 되면, 한반도 무력충돌은 비국제적 무력충돌로 간주되어 국제인도법 중 일부 조항 만 적용되게 된다. 그와 함께 북한지역에서 대한민국 정부의 주권을 국제적으 로 인정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진다. 북한주민이 국제인도법의 완전한 적용 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인해 한반도 전시상황에 제대로 된 인권보호를 받지 못할 수도 었다는 우려가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지위가 인정됨 에 따라 대한민국 법령에 따른 보호가 수반되므로 국제인도법보다 강화된 인 권보호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북한지역에 대한 대한민국의 주권을 인정받 음으로서 한반도 내 분쟁적 요소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반도의 전시 상황이 좀 더 평화적으로 종결되 기 위해서는 한반도 무력충돌이 비국제적 무력충돌로 간주되어야 한다. 그러 기 위해서는 대한민국 정부가 한반도 전시 상황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가 지고, 남북한 특수 관계를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대 한민국 정부는 대내·외적 준비가 선행하여야 한다. 그리고 북한지역의 안정화 과정에서 북한 내 세력과 주변국들의 동의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대한민국 정부와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A North Korean defector, upon entering South Korean territory, acquires South Korean citizenship. That is because the territory of North Korea is considered an unoccupied territory of the South by the Southern regime. At the same time, however, North Koreans residing in their homeland are regarded as members of anti-government organization. Such dual status of North Koreans can also be found in various South Korean policies aimed at resettlement of North Koreans. The abovementioned dual status can be problematic when war occurs in Korean Peninsula. Hypothetically at wartime, residents of the occupied Northern territory are regarded as South Korean citizens,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residents of the occupied territory, The ambivalence not only affects the North Koreans but also influences the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law. If one puts emphasis on North Koreans as residents of occupied territory, then the treatment of North Koreans will be determined according to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as the war will be regarded as an international armed conflict. At the same time, the exercise of South Korean government`s sovereign power in the Northern territory will be deemed groundless. In other words, territory of the North will be viewed as part of a sovereign state, separate from the South. If such is how the Korean War-more precisely, the Second Korean War-proceeds, North Korean residents can receive humane treatment of international standard; but. the establishment of perpetual peace, i.e. the unification, will yet again be postponed. On the other hand, if an emphasis is put on North Koreans as South Korean citizens, only parts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can be applied i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military conflict will be regarded as a non international one. Along with that comes a higher probability of international community recognizing South Korean sovereignty in the Northern territory. Concern with this scenario is a possibility that North Korean human rights might not be fully protected due to limited application of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However, as the residents will be recognized as South Korean citizens, they will be subject to the South Korean law, under which the scope of protection is broader. At the same time, the assimilation process may reduce further conflicts from arising. analyzed above, more peaceful resolution to a war in Korean Peninsula can be drawn if the conflict is recognized as a non-international clash of arms. In order for that to happe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to have capacity to autonomously carry out military operations, while getting recognition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f the special relation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For such optimum to be drawn, South Korean government`s preparation is essential. Also, in order to draw consent from neighboring countries for stabilization of the North, a method of multinational participation is called f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