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교수법연구 : 록버그의 <나흐 바하>와 <파르티타 변주곡> 연구: 바로크 어법의 차용과 재창조

        최재원 ( Jaiwon Choi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5 음악교수법연구 Vol.16 No.-

        본 논문은 20세기 후반에 록버그(G. Rochberg)가 작곡한 피아노 음악에서 나타나는 전통적인 어법의 수용과 이를 재창조하는 전개 방식에 대하여 바로크 어법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록버그는 1960년대에 직접 인용을 통해서 다원주의와 함께 조성으로 회귀하는 경향을 선두 하였다. 록버그의 음악적인 특징을 알아보고 이전 시대의 음악적 스타일을 따르는데 쓰인 음악적 차용(Borrowing)의 구체적인 예를 증명하기 위해 록버그의 대표적인 작품 <나흐 바하>와 <파르티타 변주곡>을 선곡하였다. 두 작품을 통해서 현대 음악의 바탕 위에 전통적인 음악어법을 기반으로 새롭게 재구성하고 재창조한 방식을 연구하였다. <나흐 바하>는 바하 <파르트타 제6번>을 토대로 현대적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파르티타 변주곡>은 <나흐 바하>의 일부를 인용한 곡을 포함하고 넓은 의미의 음악적 차용 통해서 다양한 스타일을 융합한 작품이다. 본 연구는 <파르티타 변주곡> 중 프렐류드, 캐논, 푸가의 악곡을 중심으로 바로크적인 어법을 수용하여 발전시킨 측면을 알아보았다. 더 나아가서 다른 피아노 문헌과 비교하면서 다방면으로 모색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작품의 특징을 이해하여 연주하고,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기여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wo piano works by American neo-romantic composer, George Rochberg. Rochberg established and developed the new way of compositions which were based on traditional idiom. He reworked earlier music and recreated it through various borrowing techniques such as quotation and musical borrowing. Discussions follow as to how Rochberg reinterpreted the previous style and achieved his own style. Rochberg``s piano pieces, Nach Bach and Partita Variations are commonly rooted in Baroque musical idiom. Main chapter examines the works comparing the previous piano literature and focuses on how Baroque ideas are transformed into a new creation.

      • KCI등재

        터널 굴착 및 가물막이 시공에 따른 주변 지하수계 유동분석

        유영권(Youngkwon You),임희대(Heuidae Lim),최재원(Jaiwon Choi),엄성일(Sungill Eom)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4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5 No.6

        본 연구는 A호와 B호를 연결하는 도수로터널 굴착 및 가물막이 공사가 주변 지하수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근 지하수 환경 변화 예측 및 터널의 라이닝 타설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터널 굴착 및 가물막이 공사기간 동안 터널 갱구부에서 최대 3.58 m의 지하수위 강하가 나타났으며, 터널 완공 및 라이닝 타설 시공 후 약 2년 경과 시점에서 자연상태 지하수위의 최대 90 %까지 회복하는 것으로 모사되었다. 터널 굴착에 따른 터널 내 지하수 유입량은 주향이동단층과 접하는 구간에서 터널의 배수설계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터널의 라이닝 타설이 완료된 후 지하수 유입량은 최대 0.006 ㎥/min/km로 감소하여, 라이닝 타설에 의한 효과는 93 %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공사로 인한 인근 지역의 지하수 환경에 대한 분석 결과 민가, 사찰 및 견사 등에서 약 0.04∼0.31 m의 수위강하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연구지역 인근에 위치한 국가지하수관측소의 연간 수위 변동량(1.3 m)의 24 %에 해당하는 수치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impact on surrounding groundwater of waterway tunnel excavation and cofferdam construction in which A-dam and B-dam, so prediction of groundwater fluctuation and tunnel lining installation was studied. As a result, drawdown of groundwater level during tunnel excavation and cofferdam construction occurred about 3.58 m in the tunnel shaft. The initial condition of groundwater level recovered by up to 90 % was simulated after the completed the construction of the tunnel and lining installation. Groundwater inflow in the tunnel evaluated was analyzed to have exceeding water design criteria of the tunnel. The groundwater inflow is reduced to maximum 0.006 ㎥/min/km after lining installation done in the tunnel, so effect of lining installation was evaluated as 93 % or more. Drawdown of about 0.04~0.31 m occurs in the houses and temples analysis of groundwater system of the surrounding area from construction. Drawdown has occurred nearly by considering annual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of National Groundwater Observation Net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