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뢰,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조직몰입의 매개적 역할 -

        최익봉(Ik-Bong Choi) 한국인사관리학회 2005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신뢰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신뢰의 조직몰입에 관한 효과, 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 조직시민행동에 대한 조직몰입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아울러 조직시민행동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간에 조직몰입의 매개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는 대전의 대덕연구단지에 위치한 정부출연 연구소의 561명의 직원들로부터 수집되었다. 실증연구의 결과, 조직신뢰, 상사신뢰 동료신뢰 순으로 조직몰입에 정(+)적으로 유의하였고 조직시민행동에 관한 신뢰의 효과에 있어서는 동료신뢰는 조직시민행동 전체에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상사신뢰는 이타성, 예의성, 양심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이 있었고 조직신뢰는 시민의식에만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인구통계적 변수와 독립변수들을 모두 통제한 상태에서, 조직몰입은 조직시민행동 전체에 여전히 유의한 정(+)적 영향력이 존재하였고 신뢰와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에 있어 조직몰입의 매개적 역할 검증에서는 동료신뢰->조직몰입->양심성과 상사신뢰->조직몰입->이타성, 양심성 그리고 조직신뢰-> 조직몰입-> 시민의식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조직몰입이 완전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맺는 글 부분에서는 본 연구의 토론, 한계점 및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ystematically existing research evidence about trust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among trus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random sample of 561 employees in research institutes located in Daejon City. It was revealed that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trust in organization, and then trust in supervisor and trust in coworkers followed in significance. With regard to the effects of trus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variables, trust in coworkers had a posi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conscientiousness, altruism, sportsmanship, civic virtue, courtesy) and trust in supervisor did positively on altruism, courtesy, conscientiousness and trust in organization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ivic virtue. Even with its antecedents controlled for, employee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lso found to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conscientiousness, altruism, sportsmanship, civic virtue, courtesy). Regarding mediating e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full mediating effects between trust in coworkers and conscientiousness and acted as fully mediating between trust in supervis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altruism, courtesy). In addi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ted as a fully mediating variable between trust in organization and civic virtue.

      • KCI등재

        조직공정성, 신뢰, 조직유효성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이재훈(Jaehoon Rhee),최익봉(Ik-bong Choi)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04 인사조직연구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신뢰의 선행변수와 결과변수 간의 관계를 실증연구하는 데 있다. 자료는 대전에 위치한 연구소의 526명의 종업원들로 부터 수집되었다. 실증연구의 결과, 절차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은 조직신뢰에 유의적이고 중요한 예측인자로 나타났고 절차공정성이 분배공정성보다 조직신뢰에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분배공정성과 상호작용공정성은 상사신뢰에 유의적이고 중요한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하지만, 절차공정성은 상사신뢰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상호작용공정성은 분배공정성보다 상사신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와 조직유효성간의 관련성 검증에서, 조직신뢰와 상사신뢰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유의적이고 정(+)적으로 관련되었다. 조직신뢰와 상사신뢰는 이직의도에 유의적이고 부(-)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신뢰는 조직몰입에 상사신뢰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으나 이직의도에는 상사신뢰보다는 적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공정성과 조직유효성간에 신뢰의 매개적 효과를 살펴보면, 상호작용공정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고 상호작용공정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는 조직신뢰가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상호작용공정성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서는 상사신뢰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지만 상호작용공정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는 상사신뢰가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existing research evidence about trust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justice, trus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random sample of 526 employees in research institutes located in Daejon City. Overall, results revealed that procedural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 were significant and important predictors of trust in organizations. Procedural justice was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trust in organizations than distributive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and interactional justic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predictors of trust in supervisor while procedural on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related to trust in supervisor. Also interactional justice was found to have a greater effect on trust in supervisor than distributive justice. The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howed that trust in organization and trust in supervisor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ignificantly negatively to turnover intention. Trust in organization was found to have a grater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had less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an trust in supervisor. The results revealed that trust in organiz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turnover intention. Also trust in supervisor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job satisfaction while trust in supervisor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Finally, further discussion,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 were suggested.

      • 직무특성과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종준,최익봉 啓明專門大學 産業開發硏究所 2000 啓明硏究論叢 Vol.18 No.1

        본 연구는 인구통계적 변수들(연령, 학력, 직위, 성별)을 통제한 상태에서 직무특성(기술다양성, 과업중요성, 과업정체성, 자율성)과 조직공정성(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조사의 자료 수집은 구미에 위치한 H반도체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된 결과들은 다음과 같았다. 인구통계적 변수들을 통제하고서도 본 연구의 주된 연구변수인 직무특성변수(기술다양성, 과업중요성, 자율성)와 조직공정성(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은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적이고 중요한 선행변수로 나타났다. 그리고 절차공정성이 분배공정성보다 직무만족에 관한 전반적 공정성 지각에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첫째, 인구통계적 변수들을 통제하고서도 직무특성과 조직공정성은 여전히 중요한 선행변수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직무만족을 위한 기업에서의 인적자원에 대한 효율적 활용을 제시해 주고 있다. 맺는 글 부분에서는 본 연구의 토론, 한계점 및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skill variety, task significance, task identity, and autonomy) and organiza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on job satisfaction with demographic variables controlled for.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justice were hypothesiz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even with age and education level controlled for. This study directly examined these hypotheses,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employees in an H semiconductor manufacturer. Overall, results revealed that job characteristics such as skill variety, task significance, and autonomy and organizational justice such as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were significant and important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Procedural justice was more powerful in explaining the perception of fairness about job satisfaction.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to confirm that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justice were significant and important predictors of job characteristics even with demographic variables controlled for. Secondarily, it also suggested the practical human resource management by improving job satisfaction. Further discussion,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