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치료에서 생산된 내담자 작품관리에 관한 연구

        최윤희 ( Choi Yunhea ),김양자 ( Kim Yangja ),김태완 ( Kim Taewan ),권젬마 ( Kwon Gemma ),김광웅 ( Kim Kwangwoo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3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생산되는 내담자의 미술작품을 미술치료자가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조사하여, 작품관리 형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작품관리 형태에 관한 20문항의 설문지를 실시하여, 2017년 6월 22일부터 9월 21일까지 미술치료자 116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들 중 73%는 내담자의 의사를 반영하여 작품관리 방법을 결정하였다. 내담자의 의사를 반영하는 이유로는, 내담자의 마음을 존중하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45.2%로 가장 많았다. 개인치료실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치료적 요인을 고려하여 치료자가 작품관리를 하는 경향이 있었고, 고용된 치료자는 내담자의 의사를 반영하여 작품관리를 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작품관리 방법에 따른 치료의 의미를 고찰해보고, 작품관리의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art therapist deals with the client’s artwork produced in the field of art therapy, to examine the form of the artwork. 20 questions questionnaires about the form of art work management were conducted from Jun. 22 to Sep. 21, 2017, and data of one 116 art therapists were analyzed. About seventy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determined the way of keeping artwork of client, reflecting the client’s opinion. The most common reason for reflecting the client’s opinion was that forty five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their respect for the client’s mind. In the case of operating the personal clinic, the therapist tended to manage client’s artwork considering the therapeutic factors rather than the client’s opinion, and the employed therapist tended to manage the artwork mainly reflecting the client’s opin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therapeutic significance of the management of the client’s artwork.

      • KCI등재

        미술치료자의 전문적 역량 강화 요인에 관한 인식분석

        최윤희 ( Yunhea Choi ),김태완 ( Taewa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미술치료자의 전문적 역량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서 미술치료 임상을 진행하는 108명의 미술치료자로 2020년 12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온라인을 통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된 자료 108부를 스프레드시트로 응답내용을 필터링하여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미술치료자는 수퍼바이저의 전문적 역량에 대한 기대가 크다. 둘째, 교육분석을 받지 않은 미술치료자는 수퍼바이저에게 이해받고 싶은 기대가 크다. 셋째, 미술치료자의 임상사례수와 수퍼비전 횟수가 많을수록 전문적 역량 욕구가 크다. 넷째, 미술치료 수퍼바이지가 받고 싶은 교육은 임상실제이며 경력이 많을수록 교육분석 요구가 증가한다. 따라서, 미술치료자는 전문적 역량 강화를 위해 관련교육기관에서 발달 단계적 교육과 교육분석 경험을 지속해나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art therapis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8 art therapists who conducted art therapy clinical trial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distribu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s online from Dec. 1, 2020 to Dec. 31, 2020, and filtered 108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into spreadsheet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art therapists have high expectations for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the supervisor. Second, art therapists who have not received an education analysis have high expectations to be understood by the supervisor. Third, the higher the number of clinical cases and supervision of art therapists, the greater the desire for professional competence. Fourth, the education that art therapy supervisor wants to receive is clinical practice, and the more experience he has, the more education analysis needs increase. Therefore, art therapists need to continue their developmental step-by-step education and education analysis experience at relate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strengthen their professional capabilitie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 스트레스와 빗속의 사람 그림 반응에 관한 정신분석적 연구

        최윤희 ( Yunhea Choi ),전정안 ( Jungan Jun ),조선경 ( Seonkyung Cho ) 인문사회 21 2023 인문사회 21 Vol.1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 스트레스를 정신분석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수도권 소재 대학생에게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를 집단으로 실시하여 최종 71명의 통계자료 결과를 정신분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 1학년 과반수 이상이 진로 스트레스를 보고하였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아졌으나,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보호하지 못하고 방어적이며 잠재적인 스트레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 스트레스 대학생의 질적 에너지 수준은 높으나 대처 능력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진로 스트레스가 있는 대학생은 코로나-19 이후 불확실한 현실에서 초기 성인기 분리-개별화 과정에서 심리적 혼란과 불안을 경험하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건강한 성인기를 위하여 정신 내적 수준에 따른 개별적 발달 단계 이해와 진로와 취업의 숙달감을 위한 사회적 관심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areer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from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A PITR (person in the rain test) was administered to them in the metropolitan area as a group, and the statistical data of the final 71 people were analyzed psychoanalytically. More than half of the first graders reported career stress and it increased as the grade went up, but it was found that they were not properly protected from stress and had defensive and potential stres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university students with career stress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confusion and anxiety in the early adult separation-individualization process after COVID-19, and social interest is needed for understanding individual development stages according to mental level and mastery for healthy adulth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