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산 연어의 미토콘드리아 NADH Dehydrogenase Subunit 3 영역의 클로닝 및 DNA 염기서열 분석

        최윤실 ( Yoon Sil Choi ),이윤호 ( Youn Ho Lee ),진덕희 ( Deuk Hee Jin ) 한국수산과학회 2003 한국수산과학회지 Vol.36 No.2

        N/A Mitochondrial DNAs has been used frequently as genetic markers for the population genetic studies of salmonid fishes. Sample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chum salmons (Oncorhynchus keta) from Korea. We analyzed variation of mitochondrial NADH dehydrogenase subunit 3 gene (ND3) among 4 individuals of the Korea population.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the liver of the chum salmon samples. Then, the ND3 gene was amplifi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including the 3`region of cytochrome oxidase III gene (COIII) and the 5`region of NADH dehydrogenase subunit 4L gene (ND4L). The size of the PCR product was 752 bp and the sequences showed some genetic variation among those four individuals. Genetic variations were observed in 7 sites as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Within the open reading frame of ND3 gene which encodes 116 amino acids, 5 nucleotide substitutions were found. Both transitional and the others of a Japanese chum salmon in Genbank showed 5 sites of SNPs. This study provided the basic information of SNP in ND3 gene among Korean chum salmons and demonstrated the possible use of the SNP data as a genetic marker.

      • 무용 전문 소극장의 현재적 기능 분석 - <창무 포스트극장>을 중심으로 -

        최윤실 ( Choi Yun-sil ),윤수미 ( Yoon Su-mi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최초의 무용 전문 소극장인 <창무춤터>의 맥을 이어나가고 있는 <창무 포스트극장>의 대표 기획 프로그램 고찰을 통해 현재적 기능을 분석하고 그 가치에 대해 논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창무 포스트극장>은 소극장만이 담아 낼 수 있는 정체성 뚜렷한 기획프로그램을 장기화 시키고 새로운 장르를 개척해가며 소극장 문화의 저변을 확대하고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등 무용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창무 포스트극장>은 한국춤의 발전과 현대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역할을 해나가고 있으며 앞으로의 잠재적 가능성이 더욱 기대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nifest function of < Changmu Post Theater > that has kept itself in existence of < Changmuchumteo >, the first little theater specializing in dance in Korea and discuss its value by considering its representative planning programs. < Changmu Post Theater > has had a great effect on the dancing world by making the planning programs with clear identity that little theaters can show, finding new genres, expanding the base of little theater culture, and promoting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More anticipation rises because < Changmu Post Theater > has potential for doing something more in the future as it has played the role of space that the development and modern flow of Korean dance can be understood.

      • KCI등재

        황무봉류 산조춤의 예술적 가치에 대한 조명 - 작품 <잔영>을 중심으로 -

        최윤실 ( Choi Yun-sil ),윤수미 ( Yoon Su-mi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7 한국무용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황무봉류 산조춤의 춤사위와 전승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통해 황무봉류 산조춤의 예술적 가치를 탐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자가 도출해낸 황무봉류 산조춤의 미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대 공간 활용에서 탁월함을 보인다. 둘째, 움직임에 있어 예측 불가능한 면모를 보인다. 셋째, 호흡을 짧게 끊어 연결하는 춤 기법을 통해 조형미를 강조한다. 이 같은 미적 가치는 교육적 가치로까지 확대되어 가는데, 미적 가치와 더불어 전승양상 연구를 통해 살펴본 황무봉류 산조춤의 교육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하체의 조화로운 춤사위를 사용한다. 둘째, 몸의 구조적 원리를 터득하게 한다. 셋째, 한국춤의 전통적 호흡법 및 창작적 기법의 동시 습득이 가능하다. 본 연구자의 이러한 시도는 황무봉류 산조춤 춤사위의 예술적 분석은 물론 현재의 전승양상을 판가름 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더 나아가 향후 황무봉 춤에 대한 더욱 폭넓고 심도 있는 연구를 해나가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value of the genealogy Hwang Moo-Bong "Sanjo-chum" by analyzing the tradition aspect and dance movement by each rhythm mainly with "Janyoung" Hwang Moo-Bong`s choreography. The aesthetic value of the genealogy Hwang Moo-Bong "Sanjo-chum" derived from this researcher is as follows. First, the excellence of stage space utilization. Second, unpredictable movements. Third, emphasized aesthetic quality through the dance technique which connects the breath shortly. This value sphere of aesthetic is extended even to educational value,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genealogy Hwang Moo-Bong "Sanjo-chum" suggested by the researcher through an analysis of tradition aspect as well as aesthetic sphere quality is as follows. First, the dance movement which uses the upper and lower body harmoniously. Second, mastering the structural principle of the body. Third, it was possible to learn traditional breathing and creative techniques of Korean dance at the same time. This research is considered to provide a clue with which can judge the current tradition aspect as well as the artistic analysis of the dance. In addition, I expect that will be utilized as for more extensive and depth study on the genealogy Hwang Moo-Bong " Sanjo-chum"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춤소극장운동에 대한 고찰 - 창무춤터, 창무 포스트극장을 중심으로 -

        윤수미 ( Yoon Su-mi ),최윤실 ( Choi Yun-sil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6 한국무용연구 Vol.34 No.4

        본 논문은 춤소극장운동의 전개과정을 살펴보며 무용 전문 소극장의 역사와 기능적인 면에 대해 분석하고 소극장이 우리 한국창작춤 발전에 미친 기여도와 소극장 공간의 가치 및 중요성에 대해 되짚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창무춤터와 창무 포스트극장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기획공연 및 주요 활동들을 시대 순으로 고찰하여 분석을 시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주요 업적들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발표의 기회가 부족했던 무용인들에게 지속적인 창작활동을 지원하며 무대 제공. 둘째, 외국무용단체를 정기적으로 초청하여 소개하고 한국춤과의 교류 및 접목 시도. 셋째, 이색적인 기획을 통해 무용의 표현영역을 확충시키며 실험의 장·연구의 장 마련. 넷째, 전통춤의 현대적 재창조를 시도하며 진정한 의미에서의 전통 계승과 한국창작춤의 발전방향 제시. 다섯째, 중견·신인·대학생에 이르기까지 단계적 접근을 통해 다양한 세대를 아우르는 기획공연 마련. 현재 창무 포스트극장 이외에도 많은 소극장들이 그들만의 기획공연을 진행하며 한국춤 발전을 위해 힘쓰고 있다. 이제 소극장은 무용인들이 성장해 나감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무대가 되었고, 한국춤의 현대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상징적 공간으로 그 역할을 해나가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history and functions of dance speciality little theatre by searching the process of the dance little theatre movement. The researcher tried to examine Changmuchumteo and Changmu Post Theatre representative planned performance and major activity in chronological order, and based on these, the followings are summarized major achievements. First, constantly support the creative activities, and provide stages to the dancers who lack the opportunity of announcement of work. Second, invite and introduce foreign dancing organization regularly and try to exchange and engraft with Korean dance. Third, expand expression realm of dancing through unique planning and arrange a place for experiment and research. Fourth, try creative dance choreography through traditional dance and attempt to combine past and present. Fifth, arrange planning performance that is suitable for each age by staged approach from rookie to junior. Nowadays, not only Changmu Post Theatre, but also many little theatres strive hard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dance through their own planning performance. Now the little theatre becomes the essential stage to the dancers for the development, and it also has role as symbolic space that is prehensible for modern flow of Korean dance.

      • KCI등재

        고추의 무경운 재배에 따른 탄소저감효과 분석

        이길재,최윤실,양승구,이진홍,윤성이,Lee, Gil-Zae,Choi, Yoon-Sil,Yang, Seung-Koo,Lee, Jin-Hong,Yoon, Sung-Yee 한국유기농업학회 2012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0 No.4

        본 연구에 적용된 한국형 무경운(no-tillage)농법은 한국의 기상특성 및 농업현실에 맞도록 초기 두둑을 형성한 후 이를 지속적으로 재활용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한국형 무경운 농법은 생산량 저하 등 부정적인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경운작업 등 농자재사용은 크게 절감되는 효과로 인하여 에너지 및 농자재 비용의 절감과 노동시간 단축 등 긍정적인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Yang et al., 2012). 무경운농법에 의한 고추재배는 일반적인 고추재배 방식과(국가평균) 비교하여 10a ($1,000m^2$)당 $344.7kgCO_2$(58%)의 온실가스저감 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 비료절감에 의한 직-간접효과가 92%, 에너지사용 절감에 의한 효과는 44%로 높은 탄소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무경운농법의 직접적인 효과에 부가하여 무경운방식의 토양관리는 일반적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토양의 탄소격리 효과가(carbon sequestration effect) 높아지는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무경운농법을 수행할 경우 연구대상지의 지속적인 탄소저감 효과가 기대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형 무경운농법은 농업부문 국가온실가스 저감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한 녹색농업기술(agro-green technologies)로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며, 관련기술의 보급 및 확대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Korean type of no-tillage cultivation method which was applied on this study used the ridge and the furrow and constantly recycling them as it was suitable for Korea's weather and farming conditions. This no-tillage cultivation was reported to have little negative impact such as reduction of production (Kwon et al., 1997). In addition, it was found to have a lot of benefits as it requires less agro-materials and energy costs as well as shortened working hours because tillage operation is not needed. (Yang et al., 2012). According to an analysis, no-tillage cultivation can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by $344.7kgCO^2$ (58%) in every 10a ($1,000m^2$) compared to ordinary pepper farming technique (Korea averages). Direct-indirect reduction effects from using fertilizer and using less amount of energy were 92% and 44% respectively both of which can be considered very high. Besides the direct effects of no-tillage cultivation, soil management using no-tillage technique raises carbon sequestration effect on soil as time goes on (West & Marland, 2002), that is why the technique is expected to have constant carbon emission reduction effect. For theses reasons, distribution and expansion of Korean type no-tillage cultivation are expected to play a role as major agro-green technologies for achieving our goal of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in agricultural se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