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능형 방범 실증지구 경제적 가치평가

        최우철,나준엽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1

        This study quantitatively evaluates the economic value of an intelligent crime-zero testbed by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which is the most effective for non-market valuations in fields like crime prevention. To minimize hypothetical convenience and increase respondents' awareness regarding the actual situation, an analysis was conducted for Indukwon District, Anyang City, Gyeonggi-do, by using the intelligent crime prevention technologies and solutions being developed by the KICT Research Center. This analysis was aimed at providing a systematic basis for determining the feasibility of crime prevention-related public projects. As a result, the WTP of Anyang citizens in the intelligent crime prevention demonstration district was estimated to be 7,160 won. The analysis shows that the area of Gwanyang 2, where the test bed belongs, has a high economic value of KRW 660 million per year, and KRW 51.4 billion per year when expanded to Anyang C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 first domestic evaluation of the crime-zero testbed. In addition, it has academic and practical value for a future-oriented service model by using intelligent crime prevention technologies and solutions that can be applied in real life and to the crime-zero testbed. 본 연구는 방범분야와 같은 비시장재에 대한 가상시장을 구축하여 사람들의 만족감 및 선호의 정도를 계량화 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가상평가법(CVM: Contingent Valuation Method, 이하 CVM)을 이용하여 지능형 방범 실증지구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계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가설적 편의를 최소화하고 실제적 상황을 피설문자에게 인지시키기 위해, 연구단에서 진행 중인 지능형 방범 기술 및 솔루션을 활용하여 실제 지역인 안양시 인덕원지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방범관련 공공사업에 대한 타당성을 분석할 수 있는 체계적인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능형 방범 실증지구의 안양시민 1인당 지불의사금액(WTP: Willingness To Pay, 이하 WTP)는 7,160원으로 추정되었다. WTP를 가구 수에 적용하여 경제가치를 추정한 결과, 테스트베드가 속한 관양2동 지역은 연 6.6억원, 안양시 전역으로 확대하면 연 514억원의 높은 경제적 가치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방범 분야 실증지구를 대상으로 경제적 가치를 분석하였으며, 실제 적용이 가능한 지능형 방범 기술 및 솔루션, 실증지구를 활용하여 미래지향적 서비스모델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향후 지능형 방범 실증지구의 경제적 가치분석이 심층 연구되어 지능형 방범 사업의 지자체 확산 및 정책적 지원이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미래 교통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도로표지 기능 다변화 전략: 시민의 도로표지 활용성을 중심으로

        최우철,정규수,나준엽 한국ITS학회 2022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1 No.3

        With the advent of autonomous driving, personal mobility, drones, and smart roads, it is necessary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road traffic environment in the road guidance system. However, the use of road signs to guide the road is decreasing compared to the past due to the advent of devices such as navigation and smartphones. Therefore, in this study, a large-scale survey was conducted to derive road sign issues and usage plans to respond to future changes. Based on this, this study presented a strategy to diversify road sign functions b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road signs by citizens. As a result,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al-time variable road guidance information that reflects user needs such as traffic, weather, and local ev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formatize digital road signs such as reflecting maps with precision. Third, it is necessary to demonstrate road guidance in a virtual environment that reflects various future mobility and road environments. 자율주행, 전동 킥보드, 드론, 스마트도로 등의 출현에 따라 도로안내체계에서의 도로교통환경변화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하지만 도로를 안내하는 도로표지는 내비게이션, 스마트폰등의 디바이스 등장으로 예전에 비해 활용도가 감소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사회의 변화 환경에 적용될 도로표지 관련 이슈 및 활용방안을 도출하고자 대국민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시민의 도로표지 활용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도로표지 기능다변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통, 기상, 지역행사 등 사용자 요구를 반영한 가변형 도로안내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야 된다. 둘째, 도로표지정보의 정밀도로지도 반영 등디지털 도로표지 정보화 작업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및 도로환경이 반영된도로정보 안내 가상환경 실증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향후 각 전략별 심도 깊은 구체화 방안, 현장에 반영하기 위한 실증/정책 연구 등 후속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국민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도로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공간정보기반 지능형 방범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개발

        최우철,나준엽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3 No.6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구현가능한 방범 관련 기능 및 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도출하고, 도출된 기준별 상대적 중요도를 계산하여 최종적으로 공간정보 기반 지능형 방범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의 적용 기능/서비스 대안에 대한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또한 현재 정부 및 지자체 주도하에 운영 중인 10여개의 국민안심서비스의 연계방안과 세부 서비스 구현방안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실질적인 사업화 및 실증화가 가능한 공간정보 기반 지능형 방범 앱서비스 모델을 제시하였다. 최종 평가기준은 1계층에 속하는 3가지와 2계층에 속하는 12가지의 평가기준에 따라 AHP 중요도 평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긴급상황 시 대처방안, 보호자 실시간 위치파악 및 미아/치매환자 전용 단말 사용, 사용자 참여 및 정보제공 등의 지능형 방범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구현방안을 모색하였다. In this study, The criteria for assessing the security-related functions and services using spatial information is deduced, and orders of priority a priority for the applicable alternatives of functions/services of intelligent security service application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are suggested by calculating relative importance. Also this study suggested connection plan about service implementation of national security services by government ministry & local government. And, the intelligent security app service model which has possible substantiation and commercialization is proposed. This study performed the AHP as the final assessment criterions by 3 item in 1st class and 12 item in 2nd class. And, tried to implementation methods of the intelligent security service application(ex. control of emergency and the crime opportunity, real-time location tracking of protector, the device for missing child & dementia patient, user participation & provision of information).

      • KCI등재

        Evaluating economic values of intelligent security service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in South Korea

        최우철,나준엽 대한공간정보학회 2018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6 No.4

        In this study, feasible future-oriented security service models were proposed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his study has an academic and practical value in that it analyzed the economic values of the intelligent security service models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by the national or local governments as basic data for deciding which projects to support in the security field based on which service models are considered important by the citizens. Future studi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ployment of intelligent security services to local governments and to active policy support for those services by proposing the economic-value analysis of the integrated intelligent security services and detailed strategies for such for their deployment to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실시간 범죄 모니터링을 위한 CCTV 협업 추적시스템 개발 연구

        최우철,나준엽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2

        Typically, 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monitoring is mainly used for post-processes (i.e. to provide evidence after an incident has occurred), but by using a streaming video feed, machine-based learning, and advanced image recognition techniques, current technology can be extended to respond to crimes or reports of missing persons in real time. The multi-CCTV cooperation technique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program model that delivers similarity information about a suspect (or moving object) extracted via CCTV at one location and sent to a monitoring agent to track the selected suspect or object when he, she, or it moves out of range to another CCTV camera. To improv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local government CCTV control centers, we describe here the partial automation of a CCTV control system that currently relies upon monitoring by human agents. We envisage an integrated crime prevention service, which incorporates the cooperative CCTV network suggested in this study and that can easily be experienced by citizens in ways such as determining a precise individual location in real time and providing a crime prevention service linked to smartphones and/or crime prevention/safety information. 본 논문에서는 CCTV를 통해 실시간 범죄에 대응할 수 있도록 CCTV 카메라 간 협업이 가능한 기술과 이를 활용한 실시간 범죄대응 서비스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CCTV 협업 기술은 한 곳의 CCTV에서 추출된 이동 객체(용의자)가 범위를 벗어나 다른 CCTV로 이동했을 때 객체의 유사도 정보를 관제자에게 전달하여 선택된 객체를 추적하는 프로그램 모델이다. 일련의 유사도 정보 획득 과정은 객체 감지(object detection), 사전 분류(pre-classification), 특징 추출(feature extraction), 분류(classification)의 4단계의 프로세스로 진행된다. 이는 주로 사후처리용으로 사용되던 CCTV 모니터링을 긴박한 실시간 범죄에 대응하도록 개선시켜 범죄발생 초기대응 체계를 강화 할 수 있다. 또한 관제요원의 모니터링에만 의존하는 CCTV 관제시스템을 부분 자동화하여 지자체 관제센터 운영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해당 기술 및 서비스는 안양시 테스트베드에 구축하여 시범운영할 예정으로, 서비스가 안정화가 되면 전국 지자체에 확산하여 상용화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CCTV 협업 뿐 아니라 실시간 개인 정밀위치결정, 스마트폰 연계 등 통합 방범서비스 연구가 진행되어 시민들이 보다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