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의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최영미(Choi Yeong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디지털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성별, 쓰기 불안, 쓰기 동기에 따른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차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컴퓨터 기반의 작문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 고등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쓰기 불안 검사, 쓰기 동기 검사 및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 조사는 Likert 척도 9개 문항과 개방형 문항 1개로 구성되었으며, 쓰기 변인 별로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을 분석하였다. 결과 설문 응답에서 명사와 동사를 추출하여 빈도와 단어 쌍 관계를 통해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을 알아보았다. 또한 성별 변인에 따른 인식 차이는 여학생은 대체로 디지털 글쓰기와 손글씨 쓰기가 다르다고 인식하며 쓰기 동기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남학생은 쓰기 수행과 쓰기 불안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쓰기 불안 변인에 따른 인식은 쓰기 불안이 높은 상 집단은 쓰기 불안과 쓰기 윤리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중 집단은 쓰기 수행에 대한 인식이, 하 집단은 쓰기 동기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쓰기 동기 변인에 따른 인식은 쓰기 동기가 높은 상 집단은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쓰기 수행 및 쓰기 불안, 쓰기 동기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중 집단은 쓰기 수행에 대한 인식이, 하 집단은 쓰기 불안과 쓰기 윤리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결론 디지털 글쓰기에 대해 고등학생들은 편리성과 효율성, 정보화, 개인 정보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성별 변인의 경우 인식 차이는 있었지만 쓰기 동기에 대한 인식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쓰기 불안 변인의 경우 쓰기 불안 집단에 따라 인식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쓰기 동기 변인의 경우 쓰기 동기 집단에 따라 인식 차이는 있었으나, 쓰기 수행과 쓰기 불안의 일부 문항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쓰기, 쓰기 능력, 쓰기 동기, 쓰기 불안에 관한 선행 연구와 유사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according to gender, writing anxiety, and writing motiv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recent changes in digital environment,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computer-based writing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140 high school students in Changwon, Gyeongsangnam-do were surveyed to measure their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The survey consisted of 9 questions on the Likert scale and 1 open-ended question, and analyzed the specific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by writing variables. Results The general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was examined through the frequency and word pairing by extracting nouns and verbs from the questionnaire response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variables was that female students generally perceived digital writing and handwriting writing differently, and the perception of writing motivation was high, and male students perceived writing performance and writing apprehension, The middle group was higher in the perception of writing performance and the lower group was higher in the perception of writing motivation. The high-motivation group showed high perception of digital writing, writing performance and writing apprehension, and writing motivation, and the middle group had high perception of writing performance, and the lower group had high perception of writing apprehension and writing ethics. Conclusions For digital writing,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convenience, efficiency, inform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keyword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in gender variables, but only the perception of writing motiv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writing apprehension variables,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writing apprehension group, but not all of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writing motivation variable, but only some items of writing performance and writing apprehens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was similar to previous studies on writing, writing ability, writing motivation, and writing apprehension.

      • KCI등재

        학생 논설문에 나타난 단어의 추상성 정도 분석 및 사전 구축

        최영미(Choi Yeongmi),박영민(Park Yo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이 연구는 고등학생이 쓴 논설문에서 명사 488개를 추출한 후, 교사 148명과 중·고등학생 383을 대상으로 하여 이 명사의 추상성 정도를 측정하여 구체어, 중립어, 추상어로 분류하고, 추상성 정도를 바탕으로 한 ‘단어 추상성 사전’을 구축하였다. 측정한 추상성 정도(지수 M)을 바탕으로 학생 논설문의 단어를 분류한 결과, 구체어는 교사는 219개, 학생은 370개, 중립어는 교사는 1개, 학생은 0개, 추상어는 교사는 268개, 학생은 118개로, 추상성 정도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가 존재하였다. 이는, 교사는 전문가로서 단어의 추상성과 구상성의 정도를 폭넓게 인식하였지만, 언어 발달 과정에 있는 학생은 추상성 정도에 대한 이해가 교사와 달랐기 때문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교사는 단어의 개념이나 구체적인 대상의 대응 여부에 따라 구상성 정도를 인식하였지만, 학생은 구체적인 사물, 신체 등 대응되는 사물의 존재 여부, 상황과의 관련성, 단어의 친숙함과 익숙함 여부에 영향을 받아 구상성 정도를 인식하였다. 추상성의 정도에 대해서는, 교사는 개념, 사태, 상태, 상황 등을 고려하여 추상성 정도를 인식하였으나, 학생은 자신의 상태나 감정과의 관련성, 영어나 한자어 및 단어의 친숙함과 익숙함, 가정된 상황이나 부사어의 성질 여부, 보문이 올 수 있는 환경이나 ‘-하다’와 결합하여 동작성이 인식되는 경우 추상성의 인식에 영향을 받았다. 이후 연구에서는 학생 글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글의 단어까지 확대하여 추상성 정도를 측정하여 한국어 추상성 코퍼스나 단어 추상성 사전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추상성 정도에 대한 사전이 구축된다면 작문 분야에서는 학생 글에 나타난 필자의 인지 과정, 글 특성 및 언어 능력 발달 정도를 파악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어휘 분야에서도 학생의 어휘 교육에 중요한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를 응용한 자연언어처리 분야, 전산 언어학, 지식 정보 분야에서도 중요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degree of abstraction of 488 nouns extracted from essays written by high school students with 148 teachers and 38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classified them into concrete, neutral, and abstract words, and constructed abstract dictionary. Based on this, the perception of the degree of abstrac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words, concrete words and abstract words category. As a result of classifying words based on index M, there were 219 teachers in concrete words, 370 students in neutral words, 1 teacher in neutral language, no student, 268 teachers in abstract words, and 118 students in abstraction. In detail, teachers are experts who recognize the degree of abstraction and globularity of words widely, but students thought that specific objects, bodies, words related to situations, and familiar words were more conceivable than teachers. Also, the degree of abstraction was judged to be more abstraction than the meaning of the word itself, and the words, emotion, state, and events related to the word, Chinese characters, and familiar words were judged to be more abstraction. After that, it will be possible to build Korean abstract corpus or abstract dictionaries by measuring the degree of abstraction by expanding not only student writing but also general words. A abstract dictionaries can contribute to grasping the cognitive process, writing characteristics, and language ability development of the author in the writing field of the student, and it will b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vocabulary education of the student in the vocabulary field. It will also be an important cornerstone in the field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computer linguistics, and knowledge information.

      • KCI등재

        작문 과정 측정을 위한 글쓰기 프로그램의 개발과 사용자 경험 분석

        최영미(Choi Yeongmi),박영민(Park Yo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이 연구에서는 작문 과정 측정을 위한 Python 기반의 글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에 대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였다. 방법 글쓰기 프로그램은 프로그래밍 언어인 Python을 활용하여 2020년 9월 20일부터 10월 10일까지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글쓰기 과정을 반영하여 ‘예비 연습, 쓰기 준비, 실제 작성’의 3단계로 이루어졌다. 이때 ‘쓰기 준비’와 ‘실제 작성’ 단계에서 생성된 글은 Keystroke log를 적용하여 글 작성 시간, 단위 문장 작성 시간, 전체 글자 수, 단위 글자 수와 함께 문장 단위로 자동으로 누적하여 저장되도록 하였다. 또한 개발된 글쓰기 프로그램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조사하기 위해 2020년 10월20일부터 12월 20일까지 경남 창원의 고등학생 23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사용한 후 선택형 문항 5개와 개방형 서술 문항 3개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이때 선택형 문항은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쓰기 효능감, 컴퓨터 활용 효능감,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에 대한 항목으로 6점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개방형 문항은 프로그램의 코스, 프로그램의 장점과 보완점에 대한 항목으로 자유롭게 서술하도록 하였다. 결과 그 결과 글쓰기 프로그램에 대해 고등학생 사용자들은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기대감은 보통 이상으로 높았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장점으로 쓰기 활동에 대한 편리와 유용성을, 프로그램에 대한 보완점으로 인터페이스의 강화, 쓰기 단계의 긴밀한 연계성, 정밀한 피드백의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결론 Python 기반의 글쓰기 프로그램은 쓰기 인지 과정 측정을 위해 ‘예비 연습, 쓰기 준비, 실제 작성’ 단계의 쓰기 과정이 드러나도록 구성되었으며, Keystroke log를 적용하여 생성된 글은 문장 단위를 중심으로 작성 시간, 글자 수와 함께 자동으로 누적하여 저장되도록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 Python-based writing program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writing process and the user experience of the 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was analyzed. Methods The writing program was developed from September 20, 2020 to October 10, 2020 using the programming language Python., This program was composed of three steps, ‘preliminary practice, preparation for writing, and actual writing’ reflecting the writing process., At this time, the writings generated in the steps of ‘writing preparation’ and ‘real writing’ were automatically accumulated and stored in sentences along with writing time, unit sentence writing time, total number of letters, and number of unit letters by applying Keystroke log. In addition, to investigate the user experience of the developed writing program, 23 high school students in Changwon, Gyeongnam were asked to use the program from October 20 to December 20, 2020, and then 5 selective questions and 3 open narrative questions were answered., The selection type questions were measured by 6-point scale as items about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writing efficacy, computer-utilized efficacy, and expectation for the program. The open type questions were freely described as items about the program course, the merits and supplements of the program. Results As a result,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and expectation about the program were higher than normal, and the advantages of the program were convenience and usefulness of writing activities, enhancement of interface as a complementary point to the program, close connection of writing stage, and strengthening of precise feedback. Conclusions The Python-based writing program was developed to be able to write in the stage of ‘preliminary practice, preparation for writing, and actual writing’ to measure the writing cognitive process. The writing generated by applying the Keystroke log was automatically accumulated and stored along with the writing time and the number of letters centered on the sentence unit.

      • KCI등재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사용자 경험 분석

        최영미(Choi Yeongmi),김수미(Kim Sumi),이소현(Lee So hyeon),박영민(Park Yo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이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개발·제안한 Python 기반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을 개선한 후 2019년 5월 1일부터 6월 17일까지 현직 국어교사 및 예비 국어교사를 대상으로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의 사용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사용자 에게 더 친숙하고 효과적인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사용 경험을 수집한 대상은 2년~30년의 교직 경력을 가진, 30명의 현직 국어교사, 교사 양성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30명의 예비 국어교사이다. 이들에게 개선한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을 사용하게 한 후,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 조사와 개별 인터뷰 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6점 척도 선택 문항 3개, 개방형 서술 문항 6개로 이루어졌으며, 이 응답을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 교육 자료, 교육 환경을 중심으로 범주화하여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의 효과, 장점 및 보완점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의 만족도, 쓰기 평가 전문성에 대한 기대는 현직 국어 교사보다 예비 국어교사가 더 높았다. 반면 쓰기 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현직 국어교가 예비 국어교사보다 더 높았다. 현직 국어교사는 채점 기준의 표준화, 반복적인 채점 연습을 이 프로그램의 장점으로 꼽았으며 채점 기준의 표준화, 점수 추정 연습 과정의 보완, 채점 결과 해설 등을 보완점으로 제시하였다. 예비 국어교사는 채점경험의 증가, 채점자 신뢰성 향상을 장점으로, 채점 기준의 표준화, 정답 제시, 급간의 명료화를 보완점으로 꼽았다. The Python-based Writing Assessment Practice Program is a computer-based program that implements rater training elements for writing assessment. This program was simplified to the grade judgment and score prediction process, and the number of practice was increased from 3 to 10 times per course to improve the practice to practice sufficiently. And The revised Writing Assessment Practice Program was used directly to 30 in-service Koran teachers and 30 pre-Korean teachers, and the user experience was analyz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s a result of user experience analysis, first, for the satisfaction of This Writing Assessment Practice Program, pre-Korean teachers were higher than in-service in-service Koran teachers. Second, for the efficacy of writing assessment professionalism, the in-service in-service Koran teachers were higher than the pre-Korean teachers. Third, for the expectation of improvement of writing assessment professionalism after using the Writing Assessment Practice Program, pre-Koran teachers were much higher than in-service in-service Koran teacher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by categorizing open questionnaire responses, the in-service in-service Koran teachers multiplied the standardization of scoring standards as the advantages of the Writing Assessment Practice Program, and the pre-Korean teachers chose the increase of scoring experience, the improvement of scorer reliability. On the other hand, as a supplementary point for the Writing Assessment Practice Program, the in-service Koran teachers and the pre-Korean teacher multiplied the standardization of the scoring standard.

      • KCI등재

        Python 기반의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 개발

        최영미(Choi Yeongmi),김수미(Kim Sumi),이소현(Lee So hyeon),박영민(Park Yo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이 연구는 쓰기 평가자 훈련을 바탕으로 쓰기 평가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8월에 경남과 경기 지역의 고등학생들이 쓴 학생 글 자료 40편 및 이 글을 대상으로 한 국어교사 50명의 채점 자료를 소규모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인 Python을 활용하여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은 3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1단계는 ‘채점 기준 확인 및연습 코스 선택’으로, 채점 기준을 확인하고 점수 예측’, ‘비교 판정’, ‘점수 차이 추정’, ‘상중하 분류’의 연습 코스를 선택하는 단계이다. 2단계는 ‘채점 연습’으로, 선택한 연습 코스에서 실제 학생 글 자료를 활용하여 연습을 한 후 국어교사의 채점 결과와 비교하며 연습하는 단계이다. 3단계는 ‘피드백’으로, 각 연습 코스가 끝난 후 ‘채점 시간’과 ‘정답 여부’에 대한 피드백을 평가자에게 제공하는 단계이다. 채점자는 자신의 채점 결과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국어교사 50명의 채점 점수를 비교하여 자신의 채점 경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쓰기 평가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연구는 쓰기 채점자의 평가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제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추후에 프로그램을 보완하여 활용한다면 쓰기 채점자의 실제적인 평가 전문성을 함양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developed a writing assessment exercise program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writing assessment expertise through the rater training of the write. To this end, we built a writing assessment exercise program using Python and used actual student writing materials and teacher scoring as a database for writing assessment exercises. The writing assessment exercise program consists of three steps: “Checking the scoring criteria and selecting the practice course,” this practice course consists of point prediction , comparative judgment , point difference estimation , and upper classification . Step 2 is Grading Practice , which gives you three opportunities per session and provides three practice opportunities depending on the course you choose. Step 3 is a feedback , and after each practice course, feedback on the scorer s scoring time and correct answer is provided. Also, after the practice course, you can choose another practice course to practice additional scoring.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practical programs to improve the assessment expertise of write scorers. It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ractical assessment expertise of the write scorer by supplementing the program later.

      • KCI등재

        읽기 능력 수준에 따른 읽기 동기 및 읽기 태도 분석

        서지영(Seo Jiyoung),최영미(Choi Yeongmi),박영민(Park Yo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읽기 능력 수준에 따른 읽기 동기 및 읽기 태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중학교 2학년 학생이며 2019년 6월 11일부터 11월 15일까지 읽기 능력 검사, 읽기 동기 검사, 읽기 태도 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Python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읽기 능력 수준에 따라 읽기 동기 및 읽기 태도의 차이는 읽기 능력이 높을수록 읽기 동기, 읽기 태도가 긍정적이었으며, 읽기 능력 상, 하 집단 간 읽기 동기 및 읽기 태도의 차이는 컸다. 읽기 동기 구인 중에서는 흥미 요인이 집단 간 차이가 가장 컸으며, 읽기 태도 구인 중에서는 학습-인쇄물 요인의 집단 간 차이가 가장 컸다. 동일한 읽기 능력 수준에서의 성별 차이는 읽기 동기 및 읽기 태도 모두 여학생이 높았으며, 남녀 집단 간 차이는 중간에 해당했다. 읽기 동기 구인에서는 여학생이 모든 구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차이는 중간 내지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태도 구인에서는 학습-디지털 요인을 제외한 구인들에서 여학생이 모두 높았으며, 남녀 집단 간 차이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differences in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level of literacy The study was conducted and data collected from June 11 to November 15, 2019, as well as the ability to read, motivation, and attitude.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Python programming language and the effect size was calculated from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reading ability, the more read ability, the more read motivation, the more positive the reading attitude, and the greater the reading ability, the greater the read motivation, the lower group read attitude, and the greater the read attitude. Among reading motivation workers, interest factors were the largest among groups, and learning-printing factors were the largest among reading attitude hires. Gender differences at the same reading level were high among female students in both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attitudes, whil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men and women were mid-way. In reading motivations, fe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high in all hires. The difference was found to be medium or small. In reading attitude recruiters, female students were all high in job openings except for learning-digital factors, and the gap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was small, the report showed.

      • KCI등재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학생 글 평가 특성의 비교

        김수미(Kim Sumi),이소현(Lee Sohyeon),최영미(Choi Yeongmi),박영민(Park Yo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이 연구는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의 평가 특성을 탐색하고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직국어교사 30명, 예비 국어교사 30명에게 Python을 기반으로 개발한 쓰기 평가 연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 글을 평가하게 한 후, 평가 시간 및 정답 수를 중심으로두 집단의 쓰기 평가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쓰기 평가의 특성을 세밀하게 파악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와의 개별 설문 및 심층 인터뷰를 추가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 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점수 추정 연습 과정에서 예비 국어교사가 현직 국어교사보다 쓰기 평가를 더 빨리 수행하였다. 컴퓨터 환경에 대한 익숙함의 차이가 평가 시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등급 추정 연습 과정에서는 현직 국어교사가 예비 국어교사보다 맞힌 정답의 수가 더 많았으며, 두 집단 모두 학생 글 수준에 따른 정답률 분포 차이는 크지 않았다. 횟수 누적에 따른 평가 특성에서 현직 국어교사와 예비 국어교사는 평가 경험 등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이후 평가자의 쓰기 평가 전문성 신장, 그리고 예비 국어교사 양성 과정의 내실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rading characteristics of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using the writing assessment practice program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 this purpose,a writing assessment practice program developed based on Python was applied to 30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30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to assess student writing, and the difference of writing assessment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assessment time and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performed writing assessment faster than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course of score estimation practice.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score estimation, In the course of grade estimation practice, the number of correct answers that the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hit more than the preliminary Korean language teachers was higher, and the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correct answer rate according to the student writing level was not large in both groups. Lastly, In the assessm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umulative numb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in-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according to the assessment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assessment professionalism of the rater and the improvement of the preliminary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