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후 저수지 하류지역 재해 취약성 분석

        최병한 ( Choi¸ Byounghan ),이백 ( Lee¸ Baeg ),홍재주 ( Hong¸ Jae-joo ),원동현 ( Won¸ Dong-hyu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2

        시설 노후화 지속과 극한강우로 인한 국내 지자체 저수지의 붕괴 취약성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지자체 저수지의 시설관리 전담인원의 부족과 효용적 대응정책과 기술이 미흡하여 매년 지자체 저수지의 손상 및 하류부 피해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자체가 관할 저수지 13,000여개를 대상으로 내구연한 및 하류부 피해규모를 기준으로 8가지 영역을 분류하고 주요 안전관리사항을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저수지의 잠재적 위험특성을 분석하고, 안전관리방향을 수립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향후 지자체 저수지 안전관리의 체계적 기초자료 구축에 활용될 수 있다.

      • 댐 긴급방류기술 적용을 위한 노후 여수로 콘크리트 내구성 연구

        최병한 ( Choi Byounghan ),이백 ( Lee Baeg ),권승희 ( Kwon Seunghe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1

        최근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국내 노후 댐 저수지의 홍수배재능력 향상은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 그러나 토목공사 위주의 구조적 개선은 막대한 비용문제를 야기하여 보조 여수로 설치 둥은 매우 한정적이다, 이에 여수로에 사이폰을 활용한 비상 방류장치 활용이 일부 활용되고 있으나, 이는 여수로 노후 콘크리트에 구조적 재료적 내구성 저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역학특성에 대한 국내외 연구자료와 기존 연구에서 수행한 노후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성 평가 방법을 토대로, 긴급 방류장치 적용을 위한 댐 구조물의 노후 콘크리트 검토 항목을 정립하였다.

      • 관수로 설계지원시스템 개발 및 검증

        김영화 ( Younghwa Kim ),최병한 ( Byounghan Choi ),이성희 ( Sunghee Lee ),구대근 ( Daegun Koo ),전건영 ( Geonyeong Jeon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최근,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농촌용수 개발사업, 밭기반 정비사업 등에서 농업용수로를 관수로로 시공하는 지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대단위 간척개발사업에서도 간척지를 복합농업단지, 시설원예단지 등 다각적으로 이용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용수로를 압력관개가 가능한 관수로로 설계하고 있다. 관수로 설계는 노선선정, 관조직 구성, 관경산정, 관망해석, 설계도, 사업비 등 일련의 설계과정을 거쳐야 완성된다. 특히, 관수로 설계에서 조직을 구성하고 필요수량을 공급할 수 있는 관경을 선택하고 관망해석을 하여 적정한 관수로 조직을 설계하는 것은 경험이 없으면 최선의 안을 도출하기가 쉽지 않다. 이와 같은 관망설계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AutoCAD상에서 관망을 계획하고 설계할 수 있는 관수로설계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AutoCAD상의 수치지도에서 수원공, 절점 등 관망심볼을 이용하여 다양한 관 조직을 구성하여 검토할 수 있으며, 최적화 기법으로 관경을 산정하고 EPA-NET으로 관망을 해석할 수 있으며 구조해석, 부대 시설 표준도 D/B가 내장되어 있어 설계도면 작성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은 A사업 지구에 적용하여 실용성을 검증하였다.

      • 간극수압비를 활용한 저수지 제당 계측관리기준 설정

        서동욱 ( Donguk Seo ),최병한 ( Byounghan Choi ),김성필 ( Seongpil Kim ),허준 ( Joon Heo ),전건영 ( Keonyoung Jeon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연약지반 위에 저수지 제당을 축조할 경우 성토진행에 따른 제체의 침하와 지반의 활동 전단파괴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체와 연약지반의 안정을 꾀하면서 성토를 하기 위해서는 침하량과 간극수압, 수평변위량 등을 측정하여 지반공학적인 분석을 통해 성토고 및 성토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침하량과 수평변위량을 통한 전통적인 침하관리와 성토 안정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나 간극수압을 고려하지 않아 보다 정확한 분석이 어려웠다. 따라서, 간극수압비(Ru)를 이용한 관리기준을 설정하여 계측안정관리를 수행하였다. 간극수압비(Ru) 값과 사면안정해석으로부터의 안전율과의 회귀식을 이용하여 간극수압비(Ru)에 대한 관리기준치를 산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제체의 경우 간극수압비(Ru)가 0.8이상일 때 사면안전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간극수압비(Ru)가 0.75 이상이면 사면안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측시스템은 신설되는 저수지 제당 축조현장에 무선기반 인터넷 통합 자동계측관리로 설치하여 설치된 센서들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Network 서버와 DB서버에 전송하고, 저장된 자료는 웹서버와 연결하여, 설정된 계측관리기준에 따라 실시간으로 이상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구성하였다. 제당 준공 후에는 연속적인 계측자료를 활용하여 시설물 안전관리 등의 유지관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수로교량의 미학적 설계에 관한 연구

        전건영 ( Keonyoung Jeon ),최병한 ( Byounghan Choi ),김남희 ( Namhee Kim ),서동욱 ( Donguk Seo ),송재도 ( Jaedo So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교량형태는 설계목표를 어떻게 정하고 설계를 진행했는지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디자인 시대에 접어 들면서 국내 교량설계 목표도 디자인 지향적 설계로 나아가고 있으며, 그 결과로 다양한 교량형태들이 설계 시공 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이수목적만을 만족하는 수준에서 설계 시공된 수로교의 경우, 대부분 30여년에 걸쳐 심한 노후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지역사회의 대표적인 경관저해요소인 수리시설로 인식되고 있다. 교량형태가 고유의 기능과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면서 아름다운 형태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학적 설계방식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미학적 형태를 창조할 수 있는 사고의 확장의 필요하다. 더욱이 수로교량은 전국 수백 개의 지구수와 여러 지역에 걸쳐서 다양한 입지조건으로 분포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면 미학적 사고의 도입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존 수로교량 설계를 미학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또한 실제 교량사례의 미학적 분석을 수행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교량과 주변환경을 총체적으로 고려한 문맥적 설계기법을 활용한 수로교량 리모델링 설계안을 제시한다. 이는 국내 지역사회 실정에 적합한 수로교량의 미학적 설계방향을 제시하는 최초의 연구라고 판단된다. 이 연구의 미학적 분석은 국내 기존 수로교량 사례조사(2011년도 농어촌연구원 50개소 선정)와 학술적 연구결과(김남희와 고현무 2007)에 근거하여 수행한다. 기존 수로교량의 입지여건을 고려하여 관문형(마을 입구, 도로횡단 등), 가로형(도로와 연접하여 가로경관형성), 자연형(농경지, 하천, 구릉 횡단) 및 문화형(관광자원 인접)로 분류 후, 교량 구조 시스템에서 힘의 흐름, 통일된 부재의 형상, 기하하적 공간구성의 비례 등 전체 수로교량형상 및 규모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들은 수로교의 미학적 설계개념을 정립하는데 사용한다. 현재 국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농어촌 지역의 경관개선을 위해 요구되는 수리시설의 미학적 설계로 나아가기 위해, 본 연구는 대표적 지역 경관 저해요소인 수로교량을 대상으로 미학적 측면에서 기존 국내 수로교량 사례를 분석 후, 문맥적 설계법(Context-based Approach)을 제시하여, 구조적 안전성, 경제성, 기능성이 주요 설계목표였던 공학적 설계방식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미학적 형태를 창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실무적용에 용이하며 향후 국내 지역 실정에 적합한 수로교량의 미학적 설계 방향을 제시하는데 큰 도움을 주리라 기대한다.

      •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이동식 사이펀의 개발 현황

        송명훈 ( Song¸ Myeong-hun ),최병한 ( Choi¸ Byounghan ),김재수 ( Kim¸ Jae-soo ),김승욱 ( Kim¸ Seung-wook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7 No.2

        국내 산재하고 있는 지자체 저수지 13,000여 개소의 노후화 지속과 기후위기로 인한 저수지 제체의 붕괴 취약성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집중호우 및 홍수 대비 지자체 저수지의 비상방류 시설은 거의 전무한 상태로 운영 중에 있다. 저수지 제체의 붕괴사례는 2020년 이후 노후 중소규모 저수지에 집중해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매년 지자체 저수지의 손상 및 하류부 피해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집중호우 대비 위험 저수지의 수위를 사전에 저하시킴으로써 붕괴를 예방할 수 있는 개념의 이동식 사이펀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개발기술은 실제 현장에 적용시, 실 사용자가 편리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 해체 및 조작의 간편성 등을 고려하여 경량화, 제품의 모듈화 기반 운반의 용이성, 보관의 편의성 등을 우선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되는 기술은 실제 저수지 현장의 테스트베드 적용을 통해 지자체관리 저수지에 즉시 적용이 가능하여야 하며, 개발과정에서 실 사용자의 다양한 의견이 반영됨으로써 보다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과정에 있다.

      • 사용자 수요요구에 따른 농업생산기반 설계기준 시스템 기능 설정에 관한 연구(2)

        원동현 ( Donghyun Won ),홍재주 ( Jeajoo Hong ),박찬기 ( Changi Park ),최병한 ( Byounghan Choi ),이백 ( Baeg Lee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2020년부터 5개년도로 구성된 「농업 재난,재해 대응 농업생산기반 설계기준 및 운영체계 개발」연구는 기존 국가건설기준센터에서 제공하는 농업생산기반 설계기준 내용을 분석하고, 다양한 객체와 관련 신규 문서 간의 연계를 고려하여 각 객체요소에 대한 관계를 정의하거나 인터페이스 요소를 가미하여 기능을 구현하였다. 인터페이스는 사람과 전자매체 사이의 상호작용을 원활히 하기 위한 가시화 기능을 구성하고 명령을 최소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게끔 하는 사용자 도구이다. 이번 2022년(3차년도)기능 설정 연구는 농업생산기반시설에 해당하는 분류에 따라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역할과 설계기준 내용을 개요도와 연계 배치하여 사용자의 이해를 돕고자 기능화하고자 하였다. 개요도와 연계배치하는 대상은 본 연구과제로 개정되는 5종(농지관개, 농업용 댐, 양배수장, 농지배수, 농업용관수로)의 설계기준 외 최근까지 개정된 2018년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 체계로 취입보, 용배수로, 농도, 경지정리, 개간, 해면간척, 농지보전, 농업 수질 및 환경 등의 설계기준과 연계하고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농업생산기반 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이고 설계기준을 검색하는데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 시간변동성 절대누적속도를 이용한 댐의 지진위험도 예측

        타미나나하르 ( Tahmina Tasnim Nahar ),카오안투안 ( Anh-tuan Cao ),김두기 ( Dookie Kim ),최병한 ( Choi Byoungha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1

        The earthquake risk prediction for dam structure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analysis. The dam has to interact with water in its lifetime, which maybe induces the chemo-mechanical phenomenon on the aging concrete and damage the capacity of the structure. The main aim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a procedure to predict the operant condition of the dam based on Cumulative Absolute Velocity (CAV) values after some decades. CAV is a method ordinarily used in Nuclear Power Plant (NPP) fields, but in case of a concrete gravity dam, it will be the new addition along with the aging effect of concrete material.

      • 저수지 위험도평가를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원동현 ( Won Dong-hyun ),홍재주 ( Hong Jae-joo ),이백 ( Lee Baeg ),최병한 ( Choi Byoungha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0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4 No.1

        기후변화에 따라 강우강수환경 예측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온실가스 증가, 지구온난화 등으로 인한 집중강우 활동 증가로 저수지 등 기반시설의 피해사례가 발생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 재해예방계측사업과 USN 저수지 예경보시스템, 지방자치 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소류지 모니터링시스템 등은 현재의 상황을 모니터링 하여 위험상황을 제공하는 관점의 시스템이 대부분으로 장기적 예측과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과정에 직접적 정보제공을 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 해결을 위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성이 대두되고 실정이다.

      • 농어촌정비사업 산지복구 적정 설계지침 연구

        서동욱 ( Donguk Seo ),김영화 ( Youngwha Kim ),손용만 ( Yongman Son ),최병한 ( Byounghan Choi ),송재도 ( Jaedo Song ),전건영 ( Keonyoung Jeon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현재 농어촌정비사업에 필요한 토석을 채취한 후 친환경적으로 산지를 복구하고 있으나 복구비 산정기준이 없어 지구별 사업비에 편차가 많고, 잦은 사업비 변경이 발생하는 등 사업추진에 애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농어촌정비사업과 관련한 산지복구비 산정기준 및 품셈, 비탈면녹화 설계 및 시공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어촌정비사업에 의한 산지복구와 관련된 조사, 설계, 시공 및 평가지침을 만들고자 하였다. 국내외 산지복구 사례를 조사하여 문제점 및 복구 방법 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비탈면 녹화시공지에 대하여 암질, 경사도 등 요인별로 유형화하고, 유형별로 복구표준공법 및 시공요령 등을 제시하였다. 도로비탈면 녹화공사 설계 및 시공지침 등 관련기준을 검토하여 농어촌정비사업에 따라 발생된 도로비탈면의 복구녹화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였다. 또한, 토석채취 후 복구에 가장 적합한 18개 공법에 대하여 도면, 시공요령, 품셈 등을 작성하여 농어촌정비사업의 산지복구 설계 및 시공지침(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침은 농어촌정비사업 뿐만 아니라 산림에서 발생하는 비탈면녹화나 산사태 복구 등에도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