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열성 경련이 있던 환아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

        최병준(Byung Joon Choi) 황경태(Kyung 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4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2 No.1

        목적 : 열성 경련은 소아 경련에서 가장 흔한형으로 생후 9개월 전과 5세 이상에서는 드물다. 열성 경련은 간질로 발전하는 경우가 비교적 적고 특별한 치료 없이도 저절로 호전된다. 그러나, 열성 경련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분야 중 하나는 간질의 발생률이다. 특히 신경학적 이상, 발달 이상, 간질의 가족력, 복합 열성 경련 등은 간질로 이행 할 수 있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의사와 부모의 또 다른 지대한 관심 사항은, 열성 경련 후에 올 수 있는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열성 경련 후 유발 원인 없는 발작으로 발전할 수 있는 위험도와 예측 인자를 조사하였다. 방법 : 초 회의 열성 경련이 있어 내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병력상 혹은 응급실 내원 당시 체온이 상승하여 열이 있을 때 전신적인 경련이 생긴 경우로 연령은 6개월에신 3세 사이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과거 병력 비열성 경련, 간질, 뇌의 염증, 신생아 경련, 대사성 질환 등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1993년부터 2002년까지 10년 동안 강남 성모 병원에서 추적이 가능했던 3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완전 추적은 이루어졌지만 처음 내원시의 기록이 차트 혹은 인터뷰로 확인되지 않은 41명은 제외하여 총 333명만을 분석 대상에 포함시켰다. 결과 : 신경학적 이상 유무에 따른 비교를 살펴보면, 신경학적 이상이 긴는 경우 310명 중 15명(4.8%), 신경학적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23명 중 10명(43.5%)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발생하였다. 단순 열성 경련과 복합 열성 경련에 따른 비교를 살펴보면, 단순형은 213명 중 13명(6.1%), 복합형은 120명 중 12명(10.0%)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발생하였다. 복합 열성 경련 위험 인자를 비교하여 보면, 위험 인자 1개인 99명 중 9명(9.1%), 2개 이상인 21명 중 4명(19.1%)에서 발생하였다. 직계 가족에서 열성 경련 병력을 살펴보면, 열성 경련 병력이 없는 256명 중 17명(6.6%), 열성 경련 병력이 있는 77명 중 8명(10.4%)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있었다. 친척 중에서 열성 경련 병력을 살펴보면, 열성 경련 병력이 없는 170명 중 14명(8.2%), 열성 경련 병력을 가진 163명 중 11명(6.8%)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있었다. 직계 가족에서 간질 병력을 살펴보면, 간질 병력이 없는 299명 중 22명(7.4%), 간질 병력이 있는 34명 중 3명(8,8%)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있었다. 친척 중에서 경련 병력을 살펴보면, 경련 병력이 없는 257명 중 18명(7.0%), 경련 병력을 가진 76명 중 7명(9.2%)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있었다. 열성 경련의 숫자를 살펴보면, 1회 210명 중 9명(4.3%), 2회 64명 중 6명(9.4%), 3회 35명 중 4명(11.4%), 4회 이상 24명 중 6명(25%)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있었다. 발열 기간을 비교하여 보면, 1시간 미만 69명 중 7명(10.1%), 1시간 이상 24시간 미만 200명 중 16명(8%), 24시간 이상 54명 중 2명(3.1%)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발생하였다. 체온을 비교하여 보면, 38.5℃ 미만 57명 중 6명(10.6%), 38.5℃ 이상 276명 중 19명(6.9%)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인 발생하였다. 발생 연령을 비교하여 보면, 6개월 이상 12개월 미만 77명 중 5명(6.5%), 12개월 이상 24개월 미만 170명 중 14명(8.2%), 24개월 이상 36개월 미만 73명 중 4명(5.5%), 36개월 이상 13명 중 2명(15.4%)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발생하였다. 성별을 살펴보면, 남자 202명 중 16명(7.9%), 여자 131명 중 9명(6.9%)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발생하였다. 결론 : 복합 열성 경련은 특히 신경학적 이상이 있는 경우 의미 있게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증가 하였는데, 한 가지보다는 2개 이상의 복합 열성 경련이 연관이 있는 것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좀더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를 시도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을 한 환아의 반수 이상에서 2번 이상의 원인 없는 발작을 나타냈는데, 발달 이상이나 혹은 신경학적 이상이 같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따라서 이러한 인자는 간질의 고 위험 재발 인자라고 생각된다. 신경학적으로 정상인 경우 여러 위험 인자가 의미 있게 관련을 보이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The greatest concern for children with febrile seizures is not only the possibility of epilepsy, but also unprovoked seizur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isk and predictors of unprovoked seizures. Study factors include three identified factors of unclear significance-family history of febrile seizures and the number of recurrent febrile seizures and two new factors that are important predictors - the height of temperature and the duration of fever prior to the initial febrile seizure. Methods : Children(n=333) between 6 months and 5 years of age with first febrile seizures were reviewed to determine the risk and predictors of unprovoked seizures for 10 years. Children with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s(meningitis or encephalitis), past history of febrile seizures or epilepsies were excluded. Results : 10(43.5%) of 23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had epilepsies. 12(10%) of 120 children with complex febrile seizures had epilepsies. 17(6.6%) of 256 children without family history of febrile seizures in 1° relative and 8(10.4%) of 77 children with family history of febrile seizures in 1° relative had epilepsies. Conclusion : In our results, there exist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unprovoked seizures and complex features in neurodevelopmentally abnormal children compared with normal children.

      • KCI등재후보

        열성 경련 환아의 뇌척수액내 Prostaglandin E-2값 변화

        최병준(Byung-Joon Choi),황경태(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5 No.2

        목적 : PG는 모든 조직에 존재하여 생물학적으로 상당히 광범위한 역할을 한다. 특히 중추신경계에서는 생리적인 환경에서 소량 존재하나 여러 가지 자극(고체온, 열성 감염, 뇌졸중, 정신분열증 및 간질)후에는 PG가 상당히 현격하게 증가한다. 따라서 저자들은 열성 경련 환아에서 뇌철수액내의 PGE-2를 정량하여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방법 : 가톨릭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초회의 단순 열성 경련을 주소로 내원한 만 6개월에서 만 5세 사이의 환 57명과 경련없이 열을 주소로 입원한 같은 연령군 환아 2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조군은 열이 없는 환아 7명이었다. 모든 환아에서 척수 천자를 시행하였고 열성 경련 환아는 경련 후 48시간 이내에 뇌척수액을 채취하여 -30℃로 냉장 보관후 방사 면역 측정법(Prostaglandin E₂[125I] assay system, Biotra Assays, Amersham Inc.)으로 검사하였다. 결과 : 1) 열성 경련 환아의 뇌척수액내 PGE-2의 값은 147.3±79.3pg/ml로 경련없이 열만 있었던 군의 72.4±75.4pg/ml에 비하여 2.0배 높았고 열이 없는 대조군의 19.2±28.4pg/ml 보다는 7.7배 높았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의의가 있었다. 2) 발열 및 연력과 뇌척수액네 PGE-2의 값과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3) 열성 경련환아에서 4시간 이내에 채취한 PGE-2의 값은 176.5±65.7pg/ml로 4시간 이후에 채취한 군의 93.3±74.9pg/ml 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p<0.05) 결론 : 열성 경련 환아의 뇌척수액내 PGE-2의 값은 열이 없는 대조군에 비해 높았고 경련없이 열만 있는 군에 비해서도 높았다. 특히 열성 경련 환아의 뇌척수액을 경련 후 4시간 이내 채취하였을 때 PGE-2의 값이 경련 후 4시간 이후에 채취한 뇌척수액에서 얻은 값에 비해 더욱 높았음을 알 수 있다. Purpose : Prostaglandins(PGs) are known to produce a remarkably broad spectrum of effects that embraces practically every biological function, and has a particular physiological role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Significant increases of PGs levels are seen in certain diseases, such as febrile infection, stroke, schizophrenia, and epilepsy. Prostaglandin is also increased in a response to rising body temperature, and prostaglandin E-2(PGE-2) in lumber cerebrospinal fluid is also increased in febrile convulsion.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PGE produces a rise in body temperature and also antagonizes convulsions induced by pentylenetetrazole, penicillin, electric shock. Therefore we studied PGE-2 levels in cerebrospinal fluid of afebrile children,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 and fevrile children without convulsion. Methods : The subjects comprised 57 cases with febrile convulsion, 24 cases of afebrile diseases and 9 febrile children without convulsion. All patients were undergoing lumbar puncture and PGE-2 levels in CSF were determined by highly specific radioimmunoassay(Prostaglandin E₂[125I]assay system, Biotra Assays, Amersham Inc.). Results : 1) The CSF PGE-2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147.3±79.3pg/ml) than those in febrile children without convulsion(72.4±75.4pg/ml) and afebrile children(19.2±28.4pg/ml)(p<0.05) 2)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of the CSF PGE-2 levels between age and fever in both groups. 3) The CSF PGE-2 levels within 4 hours(176.5±65.7pg/ml) after convuls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4 hours after convulsion(93.3±74.9pg/ml). Conclusion : The CSF PGE-2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 than those in febrile children without convulsion and those in afebrile children. The CSF PGE-2 levels within 4 hours after convul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4 hours after convulsion.

      • KCI등재후보

        비스테로이드계 PG 합성 억제제 전 처치가 Pentylenetetrazol로 유도된 경련에 미치는 영향

        최병준(Byung-Joon Choi),김영인(Yeong-In Kim),황경태(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6 No.1

        목적 : 비스테로이드계 PG 합성 억제제는 cyclooxygenase 효소계를 방해하여 PG 합성을 억제하며, arachidonic acid 산물의 몇몇 유도형은 뇌에서 경련이 생긴 부분의 전기적 활동이 퍼지는 것을 억제하며 실험적으로 유도한 경련을 지연 혹은 억압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쥐에 비스테로이드계 PG 합성 억제제를 전처치한 후 실험적으로 PTZ를 사용하여 경련을 유발시켜 전기적 변화와 행동 양상이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 몸무게 250-300g의 Sprague-Dawley계의 흰쥐를 마취후 정위고정기(stereotaxic frame)위에 올려 놓고 고정후 두부에 절개술을 시행하여 두개골을 노출시켰다. 저자들이 고안한 경막외 전극을 양쪽 전두엽과 두정엽에 심은 뒤 골시멘트(bone cement)와 치과용 아크릴(dental acryl)로 고정시키고 피부를 봉합한 뒤 적어도 7일이 경과한 후 실험을 하였다. 대조군은 생리 식염수를 1시간 전에 복강 내에 투여하여 전 처치를 하였고, 실험군은 전 처치를 다음과 같이 각각 하였다: ibuprofen은 1시간 전, paracetamol은 2시간 전, mefenamic acid는 2시간 전에 각각 복강내로 투여하였다. 그 후 PTZ를 각각 30mg/kg과 60mg/kg를 복강 내로 투여한 후 투명한 plexiglass cage에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하면서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이와 동시에 행동 양상도 관찰하였다. 결과 : 1) PTZ 30mg/kg을 투여한 대조군은 고진폭파형이 616±72초 후에 나타났고 1시간 동안 관찰된 횟수는 368±31회이었다. 이때 나타나는 행동은 주로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근간대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었다. 2) Ibuprofen 90mg/kg을 1시간 전에 전 처치 후 PTZ 30mg/kg을 투여하면 고진폭 파형이 1118±35초 후에 나타나기 시작하며 생리 식염수 전 처치군과 비교하면 통계적으로 상당히 의의가 있었다. 또한 1시간 동안 관찰된 횟수는 173±17로 생리 식염수 전 처치군과 비교하면 통계적으로 상당히 의의가 있다. 3) Paracetamol 450mg/kg을 2시간 전에 전처치후 PTZ 30mg/kg을 투여하면 고발성 고진폭 파형이 665±112초 후에 나타났으며 1시간 동안 관찰된 횟수는 141±30으로 생리 식염수 전 처치군과 비교하면 통계적으로 상당히 의의가 있었다. 4) Mefenamic acid 50mg/kg을 2시간 전에 전 처치후 PTZ 30mg/kg을 투여하면 고진폭발파가 227±47초 후에 나타나기 시작하며 생리식염수 전 처치군과 비교하면 통계적으로 상당히 의의가 있었다. 1시간 동안 나타난 군발성 고진폭 파형은 522±42로 생리 식염수 전 처치군과 비교하면 통계적으로 상당히 의의가 있었다. 5) PTZ 60mg/kg을 투여하면 고진폭 군발파가 79±14초 후에 나타났으며 뇌파상 첫 번째 경련은 129±30호에 나타났다. 6) Ibuprofen 90mg/kg를 1시간 전에 전 처치후 PTZ 60mg/kg을 투여하면 고진폭 군발파가 217±38초 후에 나타났으며 생리 식염수 전 처치군과 비교하면 통계적 의의가 있었다. 뇌파상 경련은 Ibuprofen 90mg/kg에서는 한 마리에서 나타났다(287±30초). 7) Paracetamol 450mg/kg을 2시간 전에 전 처치후 PTZ 60mg/kg을 투여하면 고진폭 군발파가 143±36초 후에 나타나며 생리 식염수군과 비교하면 통계적 의의가 있었다. 뇌파상 경련은 나타나지 않았다. 8) Mefenamic acid 50mg/kg을 2시간 전에 전 처치후 PTZ 60mg/kg을 투여하면 고진폭 군발파가 35±5초에 나타나며 생리 식염수군과 비교하면 통계적 의의가 있었다. 뇌파상 경련은 58±10초에 나타났으며 생리 식염수군과 비교하면 통계적 의의가 있었다. 결론 : 저자들의 실험 결과를 살펴보면 ibuprofen과 p Purpose :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inhibit the synthesis of prostaglandin(PG) through inhibition of the enzyme, cyclooxygenase. Some of the arachidonic acid metabolites may influence the spread of electrocortical activity, and delay the pentylenetetrazol(PTZ)-induced seizur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systematically the effect of pretreatment with PG synthetase inhibitors on PTZ-induced seizures. Methods : To evaluate the effects of pretreatment with PG synthetase inhibitors on seizures produced by 30mg/kg, 60mg/kg PTZ, free-moving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50-300gm with chronically-implanted supracortical electrodes were used. Electrocorticogram was recorded for 1hr prion to pretreatment administration of either saline(control) or PG synthetase inhibitor and 1hr after administration of PTZ. Results : 1) A 30mg/kg dose of PTZ produced bursts of high voltage activity after a latency of 616±72sec. Although the animals showed spontaneous movements throughout the test period, they were motionless or myoclonus. The number of high voltage bursts during the first hr of the test period was 368±31. 2) A 30mg/kg of PTZ produced high voltage bursts after a latency of 1118±35sec which was significantly greater for the ibuprofen-pretreated groups receiving 90mg/kg when compared to the saline-pretreated group. In addition, the number of high voltage bursts(173±17) which occurred during the first hr of the test period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recorded from the saline-pretreated group. 3) After pretreatment with a 450mg/kg dose of paracetamol, a 30mg/kg of PTZ produced bursts of electrocortical activity with onset latencies of 665±112sec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ose recorded from the saline-pretreated group. The number of high voltage bursts during the first hr of the test period was 141±30 which wa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recorded from the saline-pretreated group. 4) A 50mg/kg dose of mefenamic acid pretreatment caused 30mg/kg PTZ-induced high voltage bursts after latency of 227±47sec which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recorded from the saline-pretreated group. The number of high voltage bursts during the first hr of the test period was 522±42 which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recorded from the saline-pretreated group. 5) A 60mg/kg dose of PTZ produced bursts of high voltage activity after a latency of 79±14sec. An electrocortical seizure with concurrent convulsions appeared subsequently by 129±30sec. 6) A 60mg/kg of PTZ produced high voltage bursts after a latency of 217±38sec which was significantly greater for the ibuprofen-pretreated groups receiving 90mg/kg when compared to the saline-pretreated group. An electrocortical seizure whit concurrent convulsions appeared subsequently by 287±30sec. 7) After pretreatment with paracetamol(450mg/kg), a 60mg/kg of PTZ produced bursts of electrocortical activity with onset latencies of 143±36sec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ose recorded from the saline-pretreated group. There was no convulsive or no electrocortical seizure. 8) A 50mg/kg mefenamic acid pretreatment caused 60mg/kg PTZ-induced high voltage bursts after latency of 35±5sec which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recorded from the saline-pretreated group. An electrocortical seizure appeared subsequently by 58±10sec whic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an that recorded from the saline-pretreated group. Conclusion : It is possible that the delay and/or block of convulsions induced by the higher doses of PTZ was the result of PG synthesis inhibition. However, the PG synthetase inhibitors had a more differential effect on general PTZ-induced excitation of the CNS evidenced by either through inhibition of the activity of cyclooxygenase in tissues which play a role in the manifestation of seizure activity or through an action not related to their common action on cyclooxygenase.

      • KCI등재후보

        Prostaglandin E-2와 열성 경련 재발

        이승희(Seung Hee Lee),최병준(Byung Joon Choi),이인구(In Goo Lee),황경태(Kyung 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1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9 No.2

        목 적 : PG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매우 미량으로 존재하지만, 열성 경련이 있는 경우에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PGE를 뇌실 내로 주입하면, 경련을 중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후에 경련 재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열성 경련시 PGE값을 알아보고 열과의 반응을 보았으며, 처음 열성 경련시의 PGE 값의 변화에 따라, 추후에 열이 나는 에피소드가 있을 때 생기는 열성 경련의 재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알아 보았다. 방 법 : 가톨릭 의과대학 부속병원에서 초 회의 열성 경련을 가지고 온 환아를 검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아에서 뇌 척수액을 채취하였으며, PGE를 방사면역측정법(Prostaglandin E2 [125I] assay system, Biotra Assays, Amershan Inc.)으로 측정하였다. 열성 경련 환아 중, 36개월까지 추적할 수 있는 경우를 결과 대상에 포함시켰고, 추적 검사 기간 동안 항경련제는 사용하지 않았다. 열성 경련 환아에서 얻은 PGE 레벨을 온도에 따라 다시 살펴 보았고, PGE 값에 따른 재발 시기의 변화를 알아 보았다. 결 과 : 열성 경련 환아 총 105명을 36개월까지 추적 할 수 있었다. 열성 경련이 있는 군에서 PGE 값은 열이 38.4℃ 이하인 경우는 27.7±21.0 pg/㎖, 38.5℃ 이상 39.4℃ 이하는 83.6±38.3 pg/㎖, 39.5℃ 이상인 경우는 205.6±40.0 pg/㎖, 4개월에서 6개월 재발군은 134.9±74.6 pg/㎖, 7개월에서 9개월 재발군은 118.9±39.6 pg/㎖, 10개월에서 12개월 재발군은 133.5±69.2 pg/㎖, 13개월에서 18개월 재발군은 106.5±106.4 pg/㎖, 19개월에서 24개월 재발군은 123.7±100.6 pg/㎖와 25개월에서 36개월 재발군은 142.1±172.5 pg/㎖이었다. 결 론 : 열성 경련 환아에서 증가한 PGE 값은 온도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재발군에 따른 PGE를 고찰하여 본 결과, PEG 값에 따른 재발 시간 변화의 연관 관계는 없었다. 앞으로 열성 경련에서 증가된 PGE 값 역할에 대한 좀 더 포괄적인 연구가 추후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되며, 아울러 열이 있을 때 흔히 먹이는 해열제와의 연관성을 밝히는 연구는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Concentrations of prostaglandin(PG)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is very low in physiologic conditions and are known to increase in response to febrile convulsions. And,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of prostaglandin E-2(PGE) in unanesthetized cats is accompanied by a rise in body temperature, a decrease in convulsions, and a modulation of the convulsive thresholds, but the possible physiological role of different PGs in induction, termination, and recurrences of seizure activity is not clear. We observed the change of PGE according to temperatures in first febrile convuls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currence of febrile convulsions and PGE. Method : In the present study, the body temperatures of patients with initial febrile convulsions were measured. Spinal taps were performed. All CSF samples were stored in a deep freezer at 30℃ until the time of analysis and tested by Prostaglandin E2 [125I] assay system, Biotra Assays, Amersham Inc. Most children were treated with antipyretics immediately and tepid water massage. 105 patients with febrile convulsions could be studied for 36 months and the times of recurrence after first febrile convulsion during those period were measured. During febrile convulsions, no anticonvulsants were used. Based on 105 children with febrile convulsions, we analyzed the result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levels of PGE at temperature 38.4 ℃, 38.5 ℃ temperature 39.4 ℃, and temperature 39.5 ℃ were 27.7±21.0 pg/㎖, 83.6±38.3 pg/㎖, and 205.6±40.0 pg/㎖. The levels of PGE during 3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79.1±15.8 pg/㎖, those during 4-6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34.9±74.6 pg/㎖, those during 7-9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18.9±39.9 pg/㎖, those during 10-12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33.5±69.2 pg/㎖, those during 13-18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06.5±106.4 pg/㎖, those during 19-24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23.7±100.6 pg/㎖, and those during 25-36 months recurrence group were 142.1±172.5 pg/㎖. Conclusion : Significantly elevated concentrations of PGE in febrile convulsions were found and related to increased body temperature. In the recurrent groups of febrile convulsion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PGE levels and recurrences time of febrile convulsions. It is not clear that increased PGE levels are, at least in part, to be related to recurrences of febrile convulsions. We think that more comprehensive research is needed to clarify the role of increased PGE in first febrile convulsion and the relationship to recurrences of febrile convulsions.

      • KCI등재후보

        페노바르비탈의 장기 투여가 흰쥐 뇌성장에 미치는 영향

        이원익(Won-Ik Lee),최병준(Byung-Joon Choi),김영훈(Young-Hoon Kim),황경태(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 No.1

        저자들은 페노바르비탈(phenobarbital, PB)의 용량(0.06 mg/g, 0.03 mg/g)과 관련하여 포유기와 유약기의 쥐에서 뇌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뇌부위(대뇌, 소뇌)에 따라 이 약물에 대한 뇌조직의 민감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포유기와 유약기 흰쥐(Wistar rats) 64마리를 고용량 PB투여 포유군, 조용량 PB투여 유약군으로 세분한 후, 이들 각 군에 PB를 장시간(포유기의 쥐, 생후 5일부터 생후 21일까지: 유약기의 쥐, 생후 3주부터 생후 6주까지) 피하주사하였다. 시일에 따른 체중변화를 축정하였고, 도살후에는 대뇌 및 소뇌의 중량을, 그리고 뇌조직에서는 DNA, RNA, 단백, 콜레스테롤 함유량을 각각 정량분석하였다. 포유기의 실험군 및 대조군의 쥐는 한배의 새끼 쥐들로 두 마리의 어미쥐에서 얻는 6마리를 각군에 배정하였다. 1. PB투여후 체중의 성장지연은 고용량 PB투여포유군의 쥐에서 현저하였으며, 대조군의 값과 비교하여 23.0%가 감소되었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를 보였다. 3. 뇌성장의 생화학적 지표인 DNA, RNA, 단백 및 콜레스테롤 함유량의 감소는 고용량 투여 포유군의 쥐에서 현저하였으며(P<0.05), 소뇌에서 이들 값의 감소는 대뇌에서 보다 더욱 심하였다. 4. 유약기의 쥐에서 고용량 도는 저용량의 PB투여후 체중, 대뇌 및 소뇌 중량, 그리고 DNA, RNA, 단백 및 콜레스테롤 함유량은 각각 대조군의 값과 비교하여 감소되어 있었고, 또한 고용량의 PB투여군의 쥐가 저용량의 PB투여군의 쥐와 비교하여 더욱 감소된 값을 나타냈으나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포유기에 있는 흰쥐에 소용량의 PB투여는 뇌세포분열의 속도를 지연시켜 뇌성장과 발달의 지연을 초래할 수 있으며, 또한 포유기에 있는 흰쥐에서 PB에 대한 뇌조직의 민감도는 대뇌에서 보다 소뇌에서 더 현저함을 알 수 있었다. 사람에서 PB의 지속적인 투여가 조기 뇌발육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는 아직 활실히 증명되어 있지 않으나, 경련발작이 있는 영아기의 소아에서 항경련제로 PB를 선택하는데는 충분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려되었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dose-related effects of phenobarbital on brain growth in two groups of rats, suckling and juvenile. We also attempted to find the most vulnerable area of the brain to phenobarbital. Material & Method : We used two groups of 12 suckling(from 5 to 21 days) and 20 juvenile(from 3 to 6 weeks) rats of Wistar strain, and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he high(0.06 mg/g) and low dose(0.03 mg/g) phenobarbital group. Phenobarbital was given to experimental group by subcutaneous injection, and saline solution to control group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se rats were sacrificed by decapitation, and then the brain was quickly removed from the cranial cavity and divided into cerebrum and cerebellum. The content of DNA, RNA, protein, and cholesterol were measured by modified Schmidt-Thannhauser-Schneider method with the tissue extraction. Result : 1. in the high dose phenobarbital group of suckling rats, there were significant reduction of body and brain weight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The reduction was 23.0% in body weight, 21.4% in cerebral and 26.3% in cerebellar weight. 2. Biochemical parameters of brain growth. such as content of DNA, RNA, protein, and 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high dose phenobarbital group of suckling rats. The reductions were more severe in cerebellum than in cerebrum. 3. In the group if juvenile rats, there was no significant reductions of all parameters in both high and low dose phenobarbital group. Conclusion :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administration of high dose phenobarbital inhibit the proliferation of brain sells, and eventually cause growth retarda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in the suckling rats.

      • KCI등재후보

        Septo-Optic Dysplasia 1례

        김종근(Jomg-Geun Kim),이윤경(Yoon-Kyung Lee),최병준(Byung-Joon Choi),이인구(In-Goo Lee),황경태(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9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6 No.2

        저자들은 우안의 외사시와 운동 발달 지연을 주소로 내원한 8개월된 여아에서 안저 검사상 우측 시신경 형성 부전과 뇌 자기 공명 영상에서 투명 중격의 무형성 소견이 관찰된 Septo-optoc dysplasia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septo-optic dysplasia, or de Morsier syndrome is a developmental anomaly characterized by involvement of the septum pellucidum, optic system and hypothalamic-pituitary axis. We experienced a case of septa-optic dysplasia in 8 month-old female.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brain showed isolated absent septum pellucidum. And ophthalmoscopic examination showed right optic nerve hypoplasia, exotropia of right eye.

      • KCI등재후보

        철 결핍과 열성 경련 역치와의 관계

        임소정(Sojeong Im),정경아(Jeong Kyong Ah),최병준(Byung Joon Choi),이인구(In Goo Lee),황경태(Kyung 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1 No.1

        목적 : 경련성 질환 발작 후 조직 병리적 소견이 헤모시데린 침착을 주 소견으로 보여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질 과산화가 비외상성 경련 질환에 영향을 미치면 철 함유 상태가 경련 역치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 생각할 수 있겠다. 이 가설을 연구하기 위해서, 열성 질환(열성 경련 유무와 상관없이)으로 야기된 소아의 열성 경련 환아를 대상으로 철 함유 상태를 관찰하였다. 방법 : 열성 경련이 있는 만 6개월에서 만 5세 사이 환아 중 외래에서 철 지표를 확인 할 수 있던 환아 45명과 열성 경련이 없는 열성 질환 환아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입원을 요하거나 중추 신경계 감염, 중추 신경계 기형, 발달 지연, 국소적 혹은 전반적 신경계 결함이 있는 경우 또는 비열성 경련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와 복합 열성 경련이나 간질 중첩증 등인 경우는 제외하였다. 결과 : 열성 경련 군과 열성 경련이 없는 대조군의 헤모글로빈은 11.99±0.96 gm/dL, 11.44±1.6 gm/dL이었다. 평균 적혈구 용적은 열성 경련 환아는 77.9±6.2 fL, 열성 경련이 없는 환아는 74.6±10.5 fL이었고, 평균 적혈구 혈색소량은 열성 경련 환아는 26.8±2.1 pg, 열성 경련이 없는 환아는 25.4±3.6 pg이었고, 혈소판은 열성 경련 환아는 348.6±141.4(X109/L), 열성 경련이 없는 환아는 382.3±107.3(X109/L)이었으며, 혈청 ferritin은 열성 경련 환아는 27.5±20.2 mg/L, 열성 경련이 없는 환아는 22.5±15.6 mg/L이었다. 가족 중 정신 지체력이 없는 경우를 살펴보면, 열성 경련 군과 대조군의 헤모글로빈은 12.2±0.9 gm/dL, 11.5±1.6 gm/dL이었다. 가족 중 열성 경련 과거력이 없는 경우를 살펴보면, 열성 경련 군과 대조군의 헤모글로빈은 12.0±1.0 gm/dL, 11.4±1.6 gm/dL이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나타난 철 결핍과 열성 경련 감소와의 연관성은 철 유발성 지질 과산화가 열성 경련과 같은 비외상성 경련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많으며 이를 통해 철 결핍이 경련의 역치를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가설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앞으로 이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열성 경련 빈도에 다른 항 산화제가 미치는 영향도 평가하여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Purpose : A part of seizure disorders, hemosiderin deposits are noted in epileptogenic lesions cytopathologically and iron status may affect the seizure threshold. To investigate this possibility, measures of iron sufficiency were evaluated. Methods : Children between 6 months and 5 years of age with febrile illness with (n=45) or without simple febrile seizures(n=50) were eligible for study. Children with the central nervous system(meningitis or encephalitis) infection, developmental delay, neurologic deficit, or past history of febrile seizures were excluded. Results : The hemoglobin level was 11.99±0.96 gm/dL in the febrile seizure and 11.44±1.6 gm/dL in the control group. The mean corpuscular volume was 77.9±6.2 fL in the febrile seizure group and 74.6±10.5 fL in the control group. The mean corpuscular hemoglobin was 26.8±2.1 pg in the febrile seizure group and 25.4±3.6 pg in the control group. The platelet count was 348.6±141.4(X109/L) in the febrile seizure group and 382.3±107.3(X109/L) in the control group. The ferritin was 27.5±20.2 mg/L in the febrile seizure group and 22.5±15.6 mg/L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A relationship between iron deficiency and a reduced risk of febrile seizures is consistent with the study hypothesis that iron deficiency may thereby raise the febrile seizure threshold. Therefore, the effects of antioxidants on the frequency of febrile seizures could be evaluated to test this hypothesis more directly. Studies using iron chelators would be necessary to delineate these possible effects.

      • KCI등재후보

        어린 흰쥐의 해마 박편에서 Mg-free Medium과 4-Aminopyridine에 의해 유발된 간질양 뇌파에 대한 Lamotrigine의 효과

        윤종서(Jong Seo Yoon),이인구(In Goo Lee),최병준(Byung Joon Choi),황경태(Kyung 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3 No.2

        목 적 : Lamotrigine(LTG)은 최근에 개발된 항경련제 중 하나로 작용 기전에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으며, 실험 모델에 따라 항경련 효과를 보이는 적절한 용량 역시 결정되어 있지 않다. 이에 저자는 뇌의 발육이 미성숙한 어린 흰쥐의 해마 박편을 제작하여 Mg-free medium 뇌척수액에서 4-aminopyridine(4-AP)으로 간질양 뇌파를 유발시킨 후 이를 가장 잘 억제할 수 있는 LTG의 농도를 알아보고, 또한 이를 통한 간질양 뇌파의 억제 양상을 관찰함으로써 밝혀진 LTG의 작용 기전 외의 다른 기전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이 실험을 시행하였다. 방 법 : 생후 19-23일 사이의 Sprague-Dawley 흰쥐를 이용하여 대조군(n=12)과 실험군으로 나눈 후 실험군은 LTG 농도에 따라 400(n=9), 800(n=7), 1,000(n=8) µM 투여군으로 분류하였다. 마취 상태에서 뇌를 꺼내어 기본 뇌척수액(NaC1 125 mM; KC1 2.5 mM; NaHPO 2 mM; MgSO 1.25 mM; NaHCO 25 mM; CaC1 mM; glucose 10 mM, pH 7.3-7.4)에 담그고 vibratome으로 400µm 두께의 해마 박편을 만들었다. 대조군은 해마 박편을 Mg-free medium 뇌척수액에 옮겨 놓고 200µM 농도의 4-AP를 첨가한 1시간 후에 CA1 영역의 피라미드 층에서 뇌파를 측정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과 같은 인공 뇌척수액에 각각 400, 800, 1,000 µM의 LTG를 첨가하고 뇌파를 측정하였다. 결 과 : 1) LTG의 간질 간기 뇌파에 대한 효과 : 간질 간기 뇌파는 대조군과 LTG 투여군 모두에서 나타났다. 첫 번째 간질 간기 뇌파가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시간은 대조군에서 52.7±26.9초이었으나 LTG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길어져 800 µM군에서는 225.0±28.2초, 1,000µM군에서는 322.1±116.4초였다(P<0.05). 간질 간기 뇌파의 지속시간은 대조군에서 64.6±35.6초였으나, LTG 800µM군에서 가장 짧아 39.9±12.6초였다. 2) LTG의 간질 뇌파에 대한 효과:간질 뇌파는 대조군과 LTG 400µM군의 모든 박편에서 나타났으나, LTG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발생 빈도가 줄어 800µM군에서는 57.1%, 1,000µM군에서는 12.5%에서만 나타났다. 첫 번째 간질 뇌파가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시간은 대조군에서 142.1±52.6초였으나 400 µM군에서는 304.4±84.5초, 800 µM군에서는 689.8±213.1초였다(각각 P<0.05). 그리고 1,000 µM군에서는 2,071초로 실험군 중 가장 긴 잠복시간을 보였으나 간질 뇌파가 발생한 경우가 1개의 박편 밖에 없어 통계적으로 의의를 구할 수 없었다. 간질 뇌파의 지속시간은 대조군에서 1,534.7±339.3초이었으나 LTG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짧아져 800 µM군에서는 126.5±76.1초이었고(P<0.05), 1,000 µM군에서는 42초였다. 결 론 : 어린 흰쥐의 해마 박편에서 4-AP와 Mg-free medium에 의해 유발되는 간질양 뇌파를 억제하는 LTG는 800 µM 이상의 농도일 때 가장 효과적인 항경련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LTG의 기본 약리 기전이 sodium 통로를 억제하는 것이지만 고농도에서는 potassium 통로에도 작용해 흥분성과 억제성 아미노산의 방출을 억제하고, 억제되었던 GABA의 활동을 증가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In order to elucidate the actual mechanism and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Lamotrigine(LTG) that suppresses epileptiform discharges, we observed epileptiform discharges from hippocampal slices of immature rat in 4-aminopyridine(4-AP) added Mg -free medium of artificial cerebrospinal fluid(aCSF) with various LTG concentrations. Methods : We divided 19-23 day-old Sprague-Dawley rats into 4 groups; control group(n=12) and 3 LTG group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s of LTG such as 400(n=9), 800(n=7), and 1,000(n=8) µM. The rats were anesthetized and their brains were taken, soaked in aCSF(NaC1 125 mM, KC1 2.5 mM, NaHPO 2 mM, MgSO 1.25 mM NaHCO 25 mM, CaC1 2 mM, Glucose 10 mM, pH 7.3-7.4). And then the brains were cut into 400 µm hippocampal slices by a vibratome. The slices of control group were soaked in 200µM 4-AP added Mg-free medium of aCSF for 1 hour, and then extracellular recordings were performed in hippocampal CA1 pyramidal region. The slices of LTG groups were soaked in the solution containing 400, 800, and 1,000µM LTG, then extracellular recordings were performed. Results : Interictal discharges were observed in all the control and the LTG groups. The latency to the first interictal discharges after 4-AP addition was 52.7±26.9 sec in control group, but was 225.0±28.2 sec in 800 µM and 322.1±116.4 sec in 1,000 µM group of LTG(P<0.05). The duration of interictal discharges was 64.6±35.6 sec in control group, but was the shortest in 800µM group of LTG at 39.3±12.6 sec. Ictal discharges were observed in all of control and 400µM group, but the frequency was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LTG increases, 57.1% in 800µM, 12.5% in 1,000 µM group. The latency to ictal discharge after 4-AP addition was 142.1±52.6 sec in control group, but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LTG increases, 304.4±84.5 sec in 400 µM group and 689.8±213.1 sec in 800 µM group(P<0.05). The duration of ictal discharges was 1,534.7±339.3 sec in control group, but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LTG increases, it was 126.5±76.1 sec in 800 µM group(P <0.05) and 42 sec in 1,000 µM group. Conclusion : The antiepileptic effects of LTG were most significant when the concentration, inhibiting epileptiform discharges induced by 4-AP and Mg -free medium in hippocampal slices of immature rats, was 800uM or higher. Although the basic pharmacologic mechanism of LTG is the inhibition of sodium channel, it may also work on potassium channel at higher concentrations.

      • KCI등재후보

        어린 흰쥐의 해마 박편에서 마그네슘을 제거한 매체와 4-Aminopyridine에 의해 유발된 간질파에 대한 Topiramate의 효과

        박소현(So Hyun Park),연영흠(Young Heum Yeon),이인구(In Goo Lee),최병준(Byung Joon Choi),김영훈(Young Hoon Kim),정승연(Seung Yun Chung),황경태(Kyung 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4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2 No.2

        목적 : Topiramate(TPM)는 가장 최근에 개발된 항경련제 중 하나로 임상에서 난치성의 부분발작 환자 뿐 아니라 전신성 강직-간대 발작 환자에서도 사용되고 있지만 작용 기전이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으며 실험 모델에 따라 항경련 효과를 보이는 가장 적절한 용량 역시 결정되어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어린 횐쥐의 해마 박편을 이용하여 마그네슘을 제거한 뇌척수액에서 4-amino-pyridine(AP)으로 유발되는 간질파를 억제할 수 있는 TPM의 농도와 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 실험을 시행하였다. 방법 : 생후 19-23일 사이의 Sprague-Dawley 흰쥐를 대조군(n=12)과 실험군으로 나눈 후 실험군의 TPM의 농도에 따라 6(n=11), 20(n=7), 60(n=10), 200(n=14) μM군으로 분류하였다. 마취한 후 뇌를 꺼내어 기본 뇌척수액(NaCl 125 mM; KCl 2.5 mM; NaH2PO4 2 mM; MgSO4 1.25 mM; NaHCO3 25 mM; CaCl2 2 mM, Glucose 10 mM, and pH 7.3-7.4)에 담그고 vibratome으로 400μM 두께의 해마 박편을 만들었다. 대조군에서는 해마 박편을 MgSO4를 제거한 기본 뇌척수액에 담그고 200μM 농도가 되도록 4-AP를 첨가한 1시간 후에 CA1 영역의 피라미드 층에서 뇌파를 측정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과 같은 조건을 유지하면서 TPM을 더 첨가하여 각각 6, 20, 60, 200 μM의 TPM 농도가 되도록 하고 뇌파를 측정하였다. 결과 : 1) 간질 간기 뇌파는 대조군 TPM 6 μM군과 20 μM군의 모든 박편에서 나타났지만 TPM의 농도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출현 빈도가 줄어 60μM군에서는 90%, 200 μM군에서는 35.7%에서 나타났고, 뇌파의 진폭은 대조군에 비해 TPM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현저히 작았다. 그리고 4-AP 투여 후 첫 번째 간질 간기 뇌파가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시간은 대조군에서의 52.7±7.5초였으나 TPM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길어져 60 μM군에서는 64.6±10.3초였고, 200 μM군에서는 568±113.1초였다. 또한 간질 간기 뇌파의 지속시간은 대조군에서 64.6±10.3초였고, TPM 60 μM군에서는 141±38.1초로 연장되었다(P<0.05). 2) 간질 뇌파는 대조군과 TPM 6 μM군의 모든 박편에서 나타났으나, TPM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출현 빈도가 줄어 60 μM군에서는 55.6%, 200 μM군에서는 28.6%에서 나타났고, 뇌파의 진폭은 대조군에 비해 TPM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현저히 작았다. 그리고 4-AP 투여 후 첫 번째 간질 뇌파가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시간은 대조군에서는 142.1±15.2초였으나 TPM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길어져 60 μM군에서는 431.8±157.4초, 200 투여군에서는 627.8±143.5초였다(P<0.05). 또한 간질 뇌파의 지속시간은 대조군에서 1534.7±97.9초였고, 실험군에서는 TPM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모든 군에서 의의있게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중 60 μM군에서 가장 짧아 155.2±65.5초를 보였다(P<0.05). 3) 간질 중첩 상태는 대조군의 58.3%와 TPM 6 μM군의 27.2%에서만 나타났다. 결론 : 어린 흰쥐의 해마 박편에서 마그네슘을 제거한 매체와 4-AP에 의해 유발된 간질파의 빈도와 잠복시간, 지속시간 및 진폭의 크기는 TPM의 농도가 20 μM일 때부터 억제되기 시작하여, 60 μM일 때 가장 큰 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이는 아마도 TPM이 GABAA 수용체에 대한 GABA의 활동을 증가시키면서, 포타슘 통로의 전도성을 강화시키는 기전에 의한 것으로 추측된다. Purpose: Topiramate(TPM), one of the newest antiepileptic drugs, has been prescribed not only to refractory partial seizures but to generalized tonic-clonic seizures. However, its action mechanisms are not well understood and the optimal dose of antiepileptic efficacy in animal seizure models is not determined yet. In order to elucidate the action mechanisms and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TPM that suppresses epileptic discharges, we observed ictal and interictal discharges from immature rat hippocampal slices in Mg(2+)-free, and 4-aminopyridine(AP) added artificial CSF with various TPM concentrations. Methods: We divided Sprague-Dawley rats of 19 to 23 days old into 5 groups; namely, a control group(n=12) and 4 TPM group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PM, 6 (n=11), 20(n=7), 60(n=10), and 200(n=14) micrometer. The rats were anesthetized and their brains were taken, and soaked in artificial CSF(NaCl 125 mM; KCl 2.5 mM; NaH2PO4 2 mM; MgSO4 1.25 mM; NaHCO3 25 mM; CaCl2 2 mM, Glucose 10 mM, and pH 7.3-7.4). Then the brains were cut into 400 micrometer hippocampal slices by a vibratome. The slices of the control group were soaked in 200 micrometer 4-AP added Mg(2+)-free medium for 1 hour, and then extracellular recordings were performed in the hippocampal CA1 pyramidal region. The slices of TPM groups were soaked in solutions containing 6, 20, 60, 200 micrometer TPM, and then extracellular recordings were performed. Results: Interictal discharge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and 6, 20 micrometer groups but the frequency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PM increased:90% in 60 micrometer group, and 35.7% in 200 micrometer group. And the amplitude of TPM groups wa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latency to the first interictal discharge after 4-AP addition was 52.7±7.5 sec in the control group, 290.2±78 sec in 60 micrometer group, and 568±113.1 sec in 200 micrometer group. Duration of the interictal discharge was 64.6±10.3 sec in the control group, but was prolonged to 141±38.1 sec in 60 micrometer group(P<0.05). Ictal discharges were observed in all of the control and 6 micrometer groups, but the frequency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PM increased:55.6% in 60 micrometer, and 28.6% in 200 micrometer groups. The amplitude of the TPM groups wa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latency to ictal discharges after 4-AP addition was 141±15.2 sec in the control group, but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PM increased:431.8±57.4 sec in 60 micrometer, and 627.8±143.5 sec in 200 micrometer group(P<0.05). The duration of ictal discharges was 1,534.7±97.9 sec in the control group, but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TPM increased, the shortest in 60 micrometer group, 155.2±65.5 sec(P<0.05). Status epilepticus was seen in 58.3% of the control and 27.2% of 6 microM groups. Conclusions: TPM suppresses the frequency, latency, and duration of epileptiform discharges induced by Mg(2+)-free, and 4-AP added artificial CSF in immature rat hippocampal slices, starting from 20 micrometer and reaching the maximal effect at over 60 micrometereter. This finding is presumably due to TPM enhancing of GABA receptor currents and/or K+ channel conductance in response to TP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