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간큐레이팅을 통한 콘텐츠의 공간화 사례 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수제화 장인’ 특별전‘을 중심으로 -

        최미옥 ( Choi Cindy Miok ),강진영 ( Kang Jinyou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8 전시디자인연구 Vol.15 No.2

        문화담론의 장으로서 오늘날의 뮤지엄에서 전시는 하나의 질적 커뮤니케이션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시 구현에 있어서도 주제와 메시지의 공간화에 대한 새로운 모색 필요성이 제기된다. 전시공간 자체도 의미를 가진 일종의 미디어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전시디자인이라는 행위가 전시를 위한 심미적인 공간화를 넘어 보다 적극적인 메시지의 수신과 발신 장치일 필요가 있다. 콘텐츠의 공간화를 위해 디자인이 큐레이팅에서 부터 출발한 작업 영역의 확장성을 가져야하며, 그 과정에서 전시가 제시하는 다양한 콘텐츠의 인과관계 및 스토리를 함의하기 위한 보다 섬세하고 미분화된 방법론이 구상되고 적용되어야 한다. ‘공간큐레이팅’이라고 명명될 수 있는 이와 같은 작업은 전시 공간자체를 커뮤니케이션 체계이자 모델로서 완성시키는 보다 진일보된 전시의 보여주기 방식이 될 것이다. In the aspect of cultural discourse, an exhibition in museum is a qualitative communication. Therefore, in exhibition designing,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new methods to spatialize the subject and message. Furthermore, the exhibition space itself should be a kind of media with own meaning. Thus, the exhibition design should go beyond the aesthetic spatialization for exhibition and should become a kind of medium for receiving and sending active message. For the spatialization of contents, the design should have the expandability of work field started out from curation. Also, to imply the casual relationships and stories of various contents provided by the exhibition, more delicate and undifferentiated method should be planned and applied. Such work can be named 'Space Curating' and it will make a great step forward on exhibition designing method by completing the exhibition space as the system and model for communication.

      • KCI등재후보

        박물관 상설전시 공간큐레이팅 사례 연구 - ‘차경’개념으로 접근한 국립민속박물관 상설1전시관 개편을 중심으로 -

        최미옥 ( Choi Cindy Miok ),강진영 ( Kang Jin You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1 전시디자인연구 Vol.18 No.1

        박물관이 갖는 사회·문화적 역할과 정체성이 변화해오면서 주요 기능이라고 할 수 있는 ‘전시’의 변화는 너무도 자연스럽고 당연하다. 그리고 이에 따라 박물관 전시 공간에서도 새로운 주제 해석과 경험방식에 대한 고민이 요구된다. 공간큐레이팅은 전시디자인에서 보다 확장되고 더 미분화된 콘텐츠의 공간화 작업으로 박물관의 ‘공간적 전환’이란 관점에서 유의미한 작업방식이라 하겠다. 본 연구는 ‘차경’ 개념으로 접근한 박물관 상설전시의 공간큐레이팅 사례 연구로, 디자인 컨셉 도출과 적용의 일련의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전통건축의 ‘차경’이 어떻게 해석되고 동시대 박물관의 전시 공간에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는 전시의 지속적 변화와 발전을 위한 모색 과정으로써 의의를 가지며, 미학적, 현상학적 관점을 아우르는 박물관 전시 방법론에 유의미한 담론이 될 것이다. As the social and cultural roles and identities of museums have changed, the change in "exhibition," which can be said to be a major function, is all too natural. As a result, new topic interpretation and experience methods are also required in the museum's exhibition space. Space curating is a meaningful way of working in terms of 'spatial transformation' of museums by working on spatialization of expanded and more undifferentiated contents in exhibition design. This study is a space curating case study of permanent museum exhibitions approached with the concept of 'next diameter', which considers a series of processes in the derivation and application of design concepts. Through this, we looked at how the "Cha-Kyoung(Borrowing view)" of traditional architecture was interpreted and applied to the exhibition space of contemporary museums. This is significant as a process of seeking continuous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exhibition, and will be a significant discourse on the museum's exhibition design methodology encompassing aesthetic and 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 공간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전시디자인 사례 연구 - DTC 대구섬유박물관 특별전 ‘100년의 테일러 그리고 대구’를 중심으로 -

        최미옥 ( Choi Cindy Miok ),최상명 ( Chae Sang Meou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7 전시디자인연구 Vol.14 No.2

        전시품과 관람자간에 교감의 장을 제공하여 최적의 감상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전시디자인의 주요 역할로 이를 위한 전시디자인 방법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 스토리텔링 개념을 적용한 DTC섬유박물관 특별 전 사례를 통해 박물관 전시에서 디자인의 역할과 효용성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스토리텔링 개념의 공간적 적용은 세가지 방식으로 가능하였는데 내용적 측면의 스토리텔링, 공간적 측면의 스토리텔링, 연출적 측면의 스토리텔링이 그 내용이며 이와 같은 방식이 고루 적용된 스토리텔링된 전시공간은 단순한 유물 관람형 전시보다 전시의 메시지 및 콘텐츠의 표현이 풍부해짐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전시주제와 연결, 하나의 이야기가 공간안에 펼쳐짐으로써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고 관람의 몰입 분위기를 조성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f the ultimate goal of exhibition design is to enable the optimal appreciation, by providing a place of consensus between the exhibition and the spectator, through which the information or message of the exhibition is delivered fully, constant research about the role and methodology of the exhibition design is on demand.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and utility of design for the museum exhibition, through the case study of an special exhibition of museum, which recently employed the storytelling concept for its improvement. The spatial application of storytelling concept was possible in three ways: the storytelling of contents, the storytelling of the space, and the storytelling of presentation. The exhibition place where such ways are evenly applied appeared to have more plentiful expression of contents and message of the exhibition than previous simple relics-focused exhibitions. Moreover, by keeping the consistently storytelling tone in line with the theme of exhibition, it supported emotional communication, as well as forming immersive atmosphere for watching.

      • KCI등재후보

        뮤지엄 전시의 맥락적 서사 구현 사례 연구 - ‘우들 살던 섬 영종 용유와 바다’ 특별전 공간큐레이팅을 중심으로 -

        최미옥 ( Choi Cindy Miok ),김수연 ( Kim Su Yeo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1 전시디자인연구 Vol.18 No.2

        뮤지엄 전시에서 ‘서사’라는 개념은 간과해서는 안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된다. 이러한 배경과 목적에서 진행한 본 연구는 ‘맥락적 서사’ 개념으로 접근한 뮤지엄 특별전시 공간큐레이팅의 실제 사례를 대상으로, 콘텐츠 서사를 시각화·공간화 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맥락적 서사 구현이라는 관점에서 기획내용에 따른 공간화 시각화의 중요성을 모색한 점이다. 이러한 연구는 뮤지엄 공간큐레이팅에 대한 탐구 과정으로서, 콘텐츠와 디자인이 어떻게 조우되어야 할지에 대한 유의미한 사례가 될 것이다. 이는 전시라는 행위가 단순한 정보의 전달만이 아닌 철학적 사유의 결과물이며 동시에 사유를 이끄는 장치로서 역할 할 수 있도록 미학적 현상학적 방법론이 치열하게 고민되어야 하는 대상임을 확인시켜 준다. In museum exhibitions, the concept of 'narrative'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This study, conducted with this background and purpose, examined the process of visualizing and spatializing the narrative of content targeting the actual case of the museum's special exhibition space curating approached with the concept of 'contextual narrativ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ought the importance of visualizing spatialization according to the planning contents from the perspective of implementing contextual narratives. These studies will be a significant example of how content and design should be encountered as an inquiry process for museum space curating. This confirms that the act of exhibition is not just the delivery of information, but also the result of philosophical reasons, and that the aesthe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must be fiercely considered so that it can serve as a device that leads thinking.

      • KCI등재후보

        플롯(Plot)개념으로 접근한 전시 공간큐레이팅 - 국립민속박물관 ‘끈질긴 삶과 신명, 경상남도’특별전을 중심으로 -

        최미옥 ( Choi Cindy Miok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0 전시디자인연구 Vol.17 No.1

        이제 우리는 뮤지엄의 양적 성장이 아닌 질적 성장에 대해 논의할 시기다. 이를 위해 뮤지엄 디자인도 그 대상의 하나로 역할과 범위가 확장 될 필요가 있다. 이렇듯 개발과 발전의 필요성을 내재한 디자인 중 특히 전시공간 구축에서의 디자인방법론은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가진다. 전시에서 디자인은 메시지를 발신하는 커뮤니케이션 체계로 기획의 부수적 작업이 아닌 기획을 완성시키고 관람 경험을 완성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시공간구성 방법론의 하나로 플롯개념을 적용한 국립민속박물관 특별전 ‘끈질긴 삶과 신명, 경상남도’전 사례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대상 전시의 주요 콘텐츠와 전시시나리오를 살펴보고, 그것이 어떻게 공간화 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구조적 측면(‘장소의 재현과 해석’, ‘동선과 시퀀스’)과 구성적 측면(‘상징적 서사구조’, ‘은유적 연출’, ‘예측된 관람행동 적용’) 두 관점에서 대상 특별전의 플롯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전시는 자연문화, 물질문화, 정신문화 세 카테고리로 존을 구성하고 각각 낙동강변, 시장(장터), 오광대 놀이마당 이라는 구체적인 장소를 모티브로 관람객의 예측되는 행태를 가미한 공간이 구성되었다. ‘장소의 재현과 해석’, ‘동선과 시퀀스’, ‘상징적 서사구조’라는 플롯 개념을 적용, 전시에서 의도한 네러티브가 공간화 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Now is the time for us to discuss qualitative growth, not quantitative growth of the museum. To this end, museum design also needs to expand its role and scope as one of its targets. Among the designs that embodied the need for development, the design methodology, especially in the construction of exhibition space, has the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In the exhibition, design is a communication system that sends messages, which serves to complete the planning and complete the viewing experience, not the incidental work of the planning.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examples of exhibitions applying the concept of plots, and was conducted o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s special exhibition 'Persevering Life and Exhilaration, Gyeongsangnamdo'. The progress of the study looked at the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scenario of the target exhibition and how it was applied to the exhibition space, and the layout, movement lines, and structural metaphors were examined as plots that were spatialized through the exhibition results. The progress of the study looked at the main contents of the target exhibition and the exhibition scenario, and examined how it became spatialized. Next, the plots of the grand prize special exhibition were analyzed from two perspectives: the structural aspects ("rep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location", the "direction and sequence") and the compositional aspects ("symbolic narrative structure", the " metaphorical production" and the "application of predicted viewing behavior"). The exhibition under research consisted of three categories: natural culture, material culture, and spiritual culture, and each spac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specific place called Nakdonggang River, market (marketplace), and Ogwangdae Playground, which was based on the predicted behavior of visitors. By applying the plot concepts of "rep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place," "movement and sequence," and "symbolic narrative structure,"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narrative intended for the exhibition was spatialized.

      • KCI등재후보

        맥락적 공간개념을 적용한 전시디자인 사례 연구 - 원광대학교박물관 ‘무속실’ 개편을 중심으로 -

        최미옥 ( Choi Cindy Miok ),박준현 ( Park Jun Hyun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6 전시디자인연구 Vol.13 No.2

        전시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전시품과 관람자간에 교감의장을 제공하여 최적의 감상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전시가 가진 정보나 메시지를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시디자인의 역할과 방법론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구되는데 본 연구는 맥락적 공간개념을 적용, 최근 개선을 진행한 대학박물관 사례를 통해 전시디자인 방법론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맥락적(contextual)'이란 용어는 하나의 정보나 대상이 총체적으로 이해되거나 설명되는 상황을 이르는데 이 개념은 전시흐름으로서의 맥락, 콘텐츠적 맥락, 색채·조형적 맥락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공간화가 가능하였다. 이렇게 디자인된 전시공간은 개선전의 단순한 유물나열식 전시보다 전시의 메시지 및 콘텐츠의 표현이 풍부해짐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전시주제와 연결하여 일관된 톤을 유지함으로서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고 관람의 몰입분위기를 조성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f the ultimate goal of exhibition design is to enable the optimal appreciation, by providing a place of consensus between the exhibition and the spectator, through which the information or message of the exhibition is delivered fully, constant research about the role and methodology of the exhibition design is on demand. this persp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and utility of design for the museum exhibition, through the case study of an university museum exhibition, which recently employed the contextual spatial concept for its improvement. The spatial application of contextualization concept was possible in three ways: the context of exhibition flow, the context of the content, and the context of color and formative. The exhibition place where such ways are evenly applied appeared to have more plentiful expression of contents and message of the exhibition than previous simple relics-focused exhibitions. Moreover, by keeping the consistently contextualized tone in line with the theme of exhibition, it supported emotional communication, as well as forming immersive atmosphere for watching.

      • KCI등재후보

        ‘반추反芻’ 개념을 적용한 뮤지엄 공간큐레이팅 - 국립민속박물관 ‘민속이란 삶이다’ 특별전을 중심으로 -

        최미옥 ( Choi Cindy Miok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3 전시디자인연구 Vol.20 No.1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patialized messages and viewing experiences in exhibitions, and on the premise of this, it aims to consider exhibition cases implemented in order to develop the spatialization of exhibition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a special exhibition called Folklore is our lives, which deals with Folklore, which is the foundation content of the museum's research and exhibition to mark the 90th anniversary of the history of folk studies and development. This exhibition was structured by considering not only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content but also how to visualize the intention of the plan, and presenting the concept of ‘Rumination’ as a methodology. Through this, the exhibition presented an experience of viewing a circulating structure that is continuously ruminated and ventilated. This series of processes is necessary to explore as one of the museum exhibition space curating methodologies, and considering the realistic conditions of the field, it is not only a concept but also a real implementation case, which is worth considering and recording. Through the ruminant device in the actual visual and structure, it was found that the act of viewing had the effect of deeply thinking and touching the presented subject, and the utility of the concept of rumination was confirmed through the methodology of spatial cura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