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상담에서의 자기연민 프로그램의 가치

        최동선 ( Choi¸ Dong-s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7

        본 연구에서는 자기연민 개념의 불교상담적 배경을 살펴보고 자기연민 프로그램이 갖는 치유적 가치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자기연민은 불교의 자리이타(自利利他) 사상의 바탕이 되는 불교적 정서로서 심리적 어려움에 놓인 자신과 타인을 동시에 구제할 수 있는 치유적 개념이다. 초기불교에서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자기연민은 불교적 자비심과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다. 초기불교의 사무량심은 자(慈), 비(悲), 희(喜), 사(捨)를 통해 한량없는 중생에 대한 연민을 담고 있다. 대승불교에서 보살의 자비심은 중생구제의 실천적인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난에 처한 중생에 대한 정서적 공감과 자애의 감정이 수반되어야 한다. 어려움을 겪는 이들이 고통에서 벗어나기를 간절하게 바라는 마음이 곧 중생을 구제하는 수행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자기연민에 의한 수행은 단지 고통에서 벗어나거나 치유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치유 이후의 성장에 주목하는 점에서 일반적인 치유와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연민을 활용한 대표적인 명상프로그램으로서 MSC의 사례에 주목하였다. MSC는 기존의 마음챙김 기반 프로그램(MBSR)에 자기연민의 내용을 강화시켜 8단계의 명상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8회기에 걸친 과정들을 단계별로 명목화 한다면 각각 동기유발 단계, 알아차림 단계, 정서순화 단계, 심층정서 단계, 목표인식 단계, 정서수용 단계, 관계직면 단계, 행복배양 단계로 설명될 수 있다. 이들 단계에서는 각각 자기연민이 요구되는 조건과 실제적인 치유 활동으로 구성되고 있다. 자기연민을 통한 불교 상담의 연구는 서구의 심리치료와 같은 맥락에 있으나 치료를 넘어서 불교적 수행의 단계로 끌어 올릴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Buddhist counseling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self-compassion and to discuss the healing value of the self-compassion program. Self-compassion is a Buddhist emotion that is the basis of the Buddhist ideas of Self-Benefit and Benefit for Others(自利利他). It is a healing concept that can rescue oneself and others from psychological difficulties at the same time. Buddhist meditation and healing programs(MBSR, MBCT, DBT, ACT. MSC), which are actively developed and used in the West, are recognized for their value through the verification of clinical effects. All of these programs have in common the use of Buddhist concepts of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in psychotherapy, and pursue the practical benefits of Buddhist meditation by excluding religious characteristics. From early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self-compassion is inextricably linked with Buddhist compassion for Sentient Beings(衆生). In early Buddhism, as Four Unlimited Hearts, maitrī(慈), karuņā(悲), muditā(喜), and upekșā(捨,) contained compassion for infinite sentient beings. In Mahayana Buddhism, the compassion of a bodhisattva must be accompanied by emotional empathy and loving-kindness toward beings in hardship in order to carry out the practical task of salvation for all living things. It is said that the earnest desire for those who are suffering to be free from suffering can lead to the practice of saving Sentient Beings. The practice of self-compassion differs from general healing in that it focuses on growth after healing rather than just getting out of pain or heal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case of MSC as a representative meditation program using self-compassion. MSC consists of an 8-step meditation program by strengthening the content of self-compassion in the existing Mindfulness-Based Program (MBSR). If the processes over the eight sessions are nominally staged, they can be explained as the motivational stage, the awareness stage, the emotional purification stage, the deep emotional stage, the goal recognition stage, the emotional acceptance stage, the relationship facing stage, and the happiness culturing stage. Each of these stages consists of a condition that requires self-compassion and a practical healing activity. The core skills of these stages are mind-calmness, mindfulness, and self-compassion, which are ways to reduce anxiety and stress while leading to satisfaction and peace. The study of Buddhist counseling through self-compassion is in the same context as Western psychotherapy, but it is expected that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levate it to the stage of Buddhist practice beyond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