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작형 애니메이션 교과목개발 연구

        최돈일 ( Donill Choi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2 예술과 미디어 Vol.11 No.2

        교육중심의 애니메이션교육은 특성화, 전문화, 세 분화된 교과과정을 통해 진행되어야한다. 따라서 대 학의 전문교육은 관련 산업체와의 학·산연계를 통 한 교육과정개발 등 새로운 산업 구조에 부합되는 교육내용의 변화가 요구된다. 이번연구에서는 산업 현장의 변화된 디지털 미디어중심의 제작구조와 교 육중심인 세계 각 대학의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애니메이션산업현장과 대학교육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디지털제작구조와 세부 제작 파트를 도출하고, 이에 맞는 제작 교과목을 개발함으로써 효과적인 애니메이션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 용하고자하였다. Animation course focusing on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hrough specialized, professional, and segmented curricula. Therefore, professional education in a university requires changes in curricular that correspond to new industrial structure through cooperation with related industries. This study analyzed production structure which has been changed in digital media-oriented industrial site and curricula of universities in the world focusing on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will induce digital production structure and detailed production parts that are required in university education and animation business site in common and develop curricula for production. By doing so, it aims to utilize them as the materials for effective animation education.

      • KCI등재후보

        <케르체네츠 전투>의 충돌몽타주 연출 연구

        최돈일 ( Donill Choi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1 예술과 미디어 Vol.10 No.2

        <케르체네츠전투>는 내러티브보다는 이미지에 우선하여 쇼트의 연속적 전개를 통해 표현한 대표 적인 애니메이션이라 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의 전개에 있어 전투준비과정, 격렬한 전투 그리고 전후 복구와 평화과정을 서술적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러 나 표현방법에 있어서는 프레스코기법, 그리스정교 의종교적 색감 등의 조형적 실험, 컷 아웃이미지, 다층레이어 등의 영상실험, 러시아풍의 국민악파의 음악활용 등, 다양한 실험을 통해 긴박감 넘치는 입 체적 영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케르체네츠전투>에서는 소비에트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담론 속에 서전투에서 등장한 붉은 종, 하얀 여인, 병사, 전 투, 농부, 아이들 등의 주요언어를 충돌몽타주로 연 출하여 관객과 영상의 상호작용을 확대하고 ``전투 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수 있었다. <The Battle of Kerzhenets> is a representative animation expressed through serial development of short stories focusing on images rather than narration. In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it describes the preparation process of the battle, fierce battle, and the postwar restoration process and peace time. However, as for the expression method, it expresses three-dimensional images giving a sense of tension through various experimental techniques including the Presco technique, figurative experiments such as Greek Orthodox religious colors, cut-out images, image experiment such as multiple layers, use of Russian type Nationalism Music, etc. Also, <The Battle of Kerzhenets> directed the main languages such as red bell, white woman, soldier, battle, farmer, and children shown in the battle through colliding montages in a realistic discourse on Soviet Society in order to expand the mutual interaction of audiences and images and to emphasize the "appropriateness of the battle."

      • KCI등재후보

        <미개행성>의 초현실주의적 영상연출 연구

        최돈일 ( Donill Choi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2 예술과 미디어 Vol.11 No.1

        <미개행성>은 애니메이션을 예술적 매체로 인 식시킨 대표적인 애니메이션이다. 스토리를 보면 이 암행성의 문명족 드라그(traag)와 문맹족 옴(om) 의 지배구조관계, 드라그에 대한 옴들의 저항, 각기 다른 행성에서 두 종족의 평화 공존 등의 3단계구 성으로 전개하고 있다. 다만 스토리텔링에 있어 사 건의 개연성과 다소 느린 영상전개는 아쉬움으로 남는다. 한편 영상표현연출에 있어서는 초현실주의적 이 미지표현과 펜 드로잉의 페이퍼애니메이션기법, 구 성적 몽타주에의 유기적 결합을 통한 메시지전달, 전자음의 실험음악 등 표현주의적인 완성도가 돋보인다. 즉 <미개행성>은 문명사회에 대한 작가의 예리 한 통찰력을 초현실적 세계관과 실험적 장인정신으로 표현한 판타지영상아라고 할수 있다. <The Fantastic Planet> is a representative animation that makes people recognize the animation works as artistic media. Reviewing the structure of the storytelling, it consists of three phases - The dominance relationships between Tragg and Om, the cultural tribes in Ygam Planet; resistance of Om against the Traag; and peaceful coexistence of two tribes being in each planet. However, considering that the characters of the Traag are the keypoint of this storytelling, it is a little bit insufficient in describing the process that Terr acquires major knowledge and explains core events through narration without telling that how Terr (Om) could learn Traag characters. As for the direction on image expression, it demonstrates expressionistic perfection such as surrealistic image expression, paper-animation technique through pen drawing, delivery of messages through organic combination of image arrangements, mysterious captivating electronic sound for background music, etc. In conclusion, <The Fantastic Planet> is an animation movie that expresses the sharp insight of the artist on cultural society in animated pictures through surrealistic view on the world and experimental artisan spirit.

      • KCI등재후보

        클래식음악을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영상연출 연구 -판타지아와 알레그로 논 트로포 비교를 중심으로-

        최돈일 ( Donill Choi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1 예술과 미디어 Vol.10 No.2

        애니메이션이 스토리를 바탕으로 이미지의 연속 적 전개를 통해 표현되는 예술방식이라고 볼 때 <판타지아>와 <알레그로 논 트로포>는 새로운 방 식의 연출을 통해 스토리텔링을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즉 두 작품은``공통적으로 듣는 영상````보는 음악``이라는 애니메이션연출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두 작품에서 <판타지아>는 디즈니 특유의 연출된 유머를 바탕으로 개별 에피소드의 완결성을 강조한데 반해, <알레그로논 트로포>는 개별 에피소드가 비판적 해학이라는 주제의식을 강조하는 요 소로서 작용케 하는 작품연출의 차이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Assuming that animation is a kind of art that is expressed through serial development of images based on stories, <Fantasia> and < Allegro non troppo> are felt to be a little bit strange in that they develop images through completed music. In this study, these two works show a unique animation form of "listening image" and "seeing music". While <Fantasia> emphasizes the completion of each episode based on directed humor that is characteristic of Disney, < Allegro non troppo> directed each episode as an element in order to emphasize a theme called critical wit.

      • KCI등재

        홍길동, 목적(牧笛), 철완아톰(鐵腕アトム) 영상미학 연구

        최돈일 ( Donill Choi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1 예술과 미디어 Vol.10 No.1

        본 연구는 동아시아적인 애니메이션특징을 형성 하기 시작한 1960년대 한국, 중국, 일본의 대표적 인 애니메이션인 한국의 ``홍길동``과 중국의 ``피 리 부는 목동(牧笛)`` 일본의 ``철완아톰(鐵腕アト ム)``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작품에 반영된 타(他)와 물(物)까지도 나(我) 와 동일시하는 동양적인 휴머니즘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영상표현에 있어서도 해학적 리얼리즘과 동양적 공간연출 미학 그리고 독창적인 표현기법은 서구애니메이션과는 차별화되는 동아시아 적인 애니메이션의 특징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iod of the 1960s, which the East Asian animation characteristics started to form. This study analyzes the representing animations of Korea, China and Japan, which are <Hong, Gil-Dong>, <The Cowherd`s Flute>, and the <Astro boy>. According to the study, Oriental humanism, which is the concept of one`s own body equating with other objects can be found. Also, in terms of the visual image expression, humorous realism, Oriental spacial directing esthetics, and creative expressing techniques` development are differentiated compared to Western animation. These three animations represent unique East Asian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